DOI QR코드

DOI QR Code

교사의 훈육유형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지각 일치도에 따른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between Teacher and Student - Focused on Special high school -

  • 투고 : 2012.10.25
  • 심사 : 2012.11.21
  • 발행 : 2012.12.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eachers increase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by comparing between the practical data of a group which have an accordant perception for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between teacher him/herself and student with another group which have a discordant perception for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between teacher him/herself and student. For this study, 1460 second grade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were selected. And 1273 students and 56 teachers'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while 5 questionnaires went uncomplet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compiling statistics of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about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between teacher him/herself and student were different. Second, the levels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s were different by two group. A group which has an accordant perception for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teacher him/herself and student shows the high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than B group which has an discordant perception. Last,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which affects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different by the two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increase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class teachers have to a mutual understanding first, and then approach their students with different discipline style by the level of their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their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윤정(2006). 아동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훈육유형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효숙(1990). 아동이 지각한 교사행동과 자아개념 및 학습태도와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기도교육청(2005). 경기교육통계연보.
  3. 계선자 외(2001). 청소년의 학교생활실태 및 학교생활만족도, 대학가정학회지 39(2), 57-72.
  4. 김달효(2006). 담임교사와 학생의 지각에 따른 초등담임교사의 훈육유형의 실증적 분류, 한국교육 33(1), 3-26.
  5. 김달효(2006). 담임교사의 훈육유형과 훈육효과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대성(2005). 특성화.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 비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명선(1997).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생들의 자아개념 및 학습태도와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묘정(2008). 담임교사의 훈육유형과 학생의 훈육문제와의 관계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미경(2000).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숙희(2003). 실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비교연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세환(2005). 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주연(2009).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진희(2008). 아동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훈육유형과 훈육효과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해룡(1994). 아동이 지각한 교사 행동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현숙(2007).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 훈육유형과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춘천교육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경란(1988). 노년여성의 생활만족도 연구: 장남부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7. 박계원(2003). 초등교사의 행동특성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관성(1998). 담임교사효능감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병량(2001). 훈육: 학교 훈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백희철(2004). 초등학교 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성병창.김세희(2003). 학급 훈육문제 발생 행동의 특성과 대처 전략에 대한 이해, 초등교육연구 16(2), 253-281.
  23. 송병숙(1998). 아동의 교사에 대한 지각이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송희숙(2002). 동아리 활동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양은정(2007).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에 따른 교사-학생 관계와 학교적응의 차이,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원진욱(2005).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유형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원효헌.조명임(2008). 중학교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수준과 조직효과성의 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20(2), 286-296.
  28. 윤광순(2005). 교사 행동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윤순홍(1988). 수업사태에서 교사 행동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 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미숙(2001). 교사의 훈육유형과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보미(1999). 부모의 양육방식과 교사의 훈육방식에 대한 학생의 지각과 학습태도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이선심(2004).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교사유형과 자아존중감 및 학습태도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선영 (2004). 초등학교 교사의 훈육유형과 아동의 자기통제 관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시연 (2007).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은주(2003).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재웅(2006).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현주(2002).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비교연구, 경희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임명숙(1997).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장신국(2002). 대안학교 고교생과 일반계 고교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비교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장한기.박종운.이상봉(2006). 컴퓨터 특성화고등학교애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수산해양교육연구 18(2), 183-193.
  41. 장한기.장홍석 (2001). 중등교사가 인식하는 유능한 교사의 자질, 수산해양교육연구 13(1), 37-62.
  42. 조병남(2009). 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조진용(2004). 인문.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분석,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최경소(2003).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최상미(2003).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문화와 학생의 학교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최정희(2006).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한종혜(1996).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역량지각 및 자아존중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한주희(2000). 인간관계 집단상담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홍계옥(2003). 유아교사의 훈육행동과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 영유아교육연구 6, 59-74.
  50. 황영덕(2008). 농업계 고등학교 담임교사의 훈육유형과 학교부적응 행동 수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Akgun, S., & Ciarrochi, J.(2003). Learned resourcefulnes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al Psychology 23, 277-294.
  52. Allen, S., & Hiebert, B.(1991). Stress and coping in adolescents, Canadian Journal of Counseling 5, 19-32.
  53. Arnstein, R. L.,(1980). The student, the family, the universtiy, and transition to adulthood, Adolescent Psychology 8, 160-172.
  54. Armsden, G. C., & Greenberg, M. T.(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 427-453. https://doi.org/10.1007/BF02202939
  55. Alderman, T.(2001). In good discipline, one size doesn't fit all. The Education Digest 66(8), 33-41.
  56. Baldwin, B., Slaton, E., Head, M., & Burns, J. (1990). Personality factor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26 522)
  57. Battisrich, V., Schaps, E., Watson, M., & Solomon, D.(1996). Prevention effects of the child development project: Early finding from an ongoing multisite demonstration trial,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1, 12-35. https://doi.org/10.1177/0743554896111003
  58. Bhushan, V.(1985). Relationship of teacher attitude to the environment of his/her clas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60 118)
  59. Bloom, B. S.(1972). Innocence in education, The School Review 80(3), 333-352. https://doi.org/10.1086/443036
  60. Brophy, J. E., Rohkrkemper, M.(1982). The influence of problem ownership on teacher's perceptions of and strategies for coping with problem student,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73(3), 295-311.
  61. Burr, W. R.(1970).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cts of marriage over the life cycle: A random middle class samples, Th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ies 32(1), 29-37. https://doi.org/10.2307/349968
  62. Campbell, A.(1976).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levels and standards of living, Journal of Home Economics 57(1), 4.
  63. Canter, L.(1992). Assertive Discipline: Positive Behavior Management for Today's Classroom (2nd ed.). CA: Canter & Associates.
  64. Charles, C. M.(1996). Building classroom discipline (5th ed.), New York: Longman Publishers.
  65. Charles, C. M.(2002). Building classroom discipline (7th ed.), New York: Longman Publishers.
  66.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1-314.
  67. Cohen, S., & Hoberman, H.(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68. Curwin, R., & Mendler, A.(1988). Discipline with dignity,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69. Dreikurs, R.(1968). Psychology in the classroom: A manual for teachers (2nd ed.), New York: Harper & Row.
  70. Driekurs, R.(1972). Coping with Children's Misbehaviour, New York: Hawthorne.
  71. Dreikurs, R., Grunwald, B., & Pepper, F.(1982). Maintaining sanity in the classroom. New York: Harper & Row.
  72. Edwards, C. H.(2000). Classroom discipline and management (3r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73. Emmer, E. T., Evertson, C. M., Sanford, J. P., Clements, B. S., & Worsham, M. E.(1989). Classroom management for Secondary Teachers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74. Feldhusen, J. F.(1978). Behavior problems i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11(4), 17-28.
  75. Flanders, N.(1960). Teacher influence, pupil attitudes and achievement,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76. Fraser, B. J., & Walberg, H. J. (Eds.).(1991). Educational environments: Evaluat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xford: Pergamon.
  77. George, L. K.(1979). The Impact of Personality and Social Status Factors upon Levels of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Gerontology, 33(1), 6.
  78. Ginott, H.(1971). Teacher and Child, New York: Macmillan.
  79. Glasser, W.(1986). Control theory in the classroom, New York: Harper and Row.
  80. Gottman, J., Declaire, J.(1997). The heart of parenting: raising an emotionally intelligent child. New York: Simon and Schuster.
  81. Harris, L. et al(1984). The New York state teather, The metropolitan life surve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55 512.
  82. House, J, S.(1982). Work sterss and social support,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
  83. Howes, C., Hamilton, C. E., & Matheson, C. C. (1994). Children's play in child care setting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4. Kounin, J. S.(1970). Discipline and group management in classroom, N. Y.: Holt, Renehart and Winston.
  85. Levin, J., & Nolan, J. F.(1996). Principles of classroom management: a professional decision-making model (2nd ed.), Boston: Allyn and Bacon.
  86. Lickona, T.(1991). Educating for character: how our schools can teach respect and responsibility, New York: Bantam.
  87. McGuire, K. D., & Weisz, J. R.(1982). Social Cognition and Behavior Correlates of Preadolescent Chumship, Journal of Child Development 53(4), 478-484.
  88. Pianta, R. C., Steinberg, M. S., & Rollings, K. B.(1995). The first two years of school: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deflections in children's classroom adjustment,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2), 295-312.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6519
  89. Purvis, J. J.(1994). Teacher attitude toward discipline, the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90. Shrigley, R. L.(1979). Strategies in classroom management, The National Association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Bulletin 63(8), 1-15.
  91. Tomal, D. R.(1998). A five-styles teacher discipline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Mid-Wester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IL, October, 14-17, (ERIC Dod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25 158)
  92. Tomal, D. R.(2001). A comparison of elementary and high school teacher discipline styles, American Secondary Education, 30(1), 38-45.
  93. Tulley, M., & Chiu, L. H.(1995). Student teachers and classroom disciplin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8(3), 164-172. https://doi.org/10.1080/00220671.1995.9941295
  94. Vaux, A.(1988).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New York: Preager.
  95. Wolfgang, C. H., & Glickman, C. D.(1986). Solving discipline problems: strategies for classroom teachers (2nd ed.), New York: Allyn and Bacon.
  96. Wolfgang, C. H.(2001). Solving discipline and classroom management problems: methods and models for today's teachers (5th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97. 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 http:// cesi .kedi. re.kr

피인용 문헌

  1. A Study of Changes in Direction, Focusing on Discipline Methods and Classroom Management in Korean Schools vol.25, pp.6, 2013,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6.1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