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eking the Meaning of Microteaching Experience to New Professors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신임교수에게 주는 의미 탐색

  • Received : 2012.09.11
  • Accepted : 2012.10.08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niversity authorities with substantial help in enforcing Microteaching to new professors based on qualitative study.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eleven new professors working for D college located in Busan and the study lasted for ten months from May 2011 to February 201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new professors took cognizance of Microteaching both as a burdensome task and as a teaching evaluation tool. Second, they had difficulties confronting their exposed teaching realities and accepting the results of teaching evaluation. Third, Microteaching contributed to the shift of professors' attitude from teacher's perspective to students' and the shift of their cognizance from the existing teaching attitude to the improved, innovative, and open teaching attitude. Lastly, this paper proposes that Microteaching enforcement should be made through professors' voluntary participation based on the change of professors' cognizance on Microteaching and Microteaching consulting should be a progress-oriented process rather than an evaluation-oriented process.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수(1989). 마이크로티칭 기법이 교생의 교수 기술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고수일.고은정(2004). 피드백 수용도의 결정 요인, 인적자원개발연구 6(2), 21-44.
  3. 구정모(2004). 교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원 원격 연수에 마이크로티칭 기법의 적용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권성호(1996). 마이크로티칭 시스템의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대학생활연구 14, 145-163.
  5. 권성호(1996). 마이크로티칭 시스템의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대학생활연구 14, 145-163.
  6. 김기범.김양하(2003). 자의식적 정서로서의 부끄러움의 사회문화적 기능분석, 한국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동계발표대회 및 심포지엄, 3-13.
  7. 김남희(2009).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변화, 생태유아교육연구 8(4), 85-114.
  8. 김상수.백웅기(2010). '대학가 교수 강의평가 공개제도 잇달아 도입', 헤럴드 경제, 2010년 3월 29일자.
  9. 김석우.윤미영(1996) 마이크로 티칭방식의 수업장학이 교사의 발문기술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 6(1), 31-49.
  10. 김성재(2011).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261-284.
  11. 김수영(2010). '지역전문대 생존경쟁 돌입', 대전일보 2010년 5월 28일자.
  12.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 I. 서울: 문음사.
  13. 김의웅(1990). 마이크로티칭 활동을 통한 수업기술 향상 가능성 탐색, 교육공무원교육훈련발전 연구대회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09-232.
  14. 김현자(2008). 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논의의 접근방법과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197-221.
  15. 박수경(1992). Microteaching방식의 수업장학이 교육실습생의 수업기술에 미치는 효과-질문기술과 피이드백 기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수경.김상달.조주환(1992). 마이크로티칭 방식의 수업장학이 지구과하과 교육실습생의 수업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학회지 13, 269-282.
  17. 서윤경(2009).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티칭의 효과와 운영 전략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6(4), 271-297.
  18. 석은조(2006). 저널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손연아.신종란.민병비(2007). 생물 예비교사의 수업 시연에서 나타난 과학 수업 모형의 적용 과정 분석 마이크로 티칭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3), 495-507.
  20. 신장미(2008). 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유신영(2005).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수업분석 모형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유혜령(1997). 마이크로티칭, 서울: 문음사
  23. 윤여각(1997). 태극대학교 대학원생의 학문적 수월성 유지 기제에 관한 문화 기술적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윤택림(2004).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아르케.
  25. 이기준(2011). '공교육을 바로 세워야', 예천신문, 2011년 3월 21일자.
  26. 정태희(2004).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발표수업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정연구 22(4), 189-208.
  27. 조 벽(2012). 조벽교수의 수업 컨설팅, 서울: 해냄.
  28. 조영남(1993). 마이크로티칭과 교사교육 교수행동 개선을 위한 체계적 접근, 교육학연구 31(5), 147-161
  29. 조용환(2000).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30. 최성욱(2010). '강의 인센티브 '1천만원 시대'... 숨가쁜 대학교육', 교수신문, 2010년 3월 8일자.
  31. Allen, D. W., & Ryan. K. A.(1969). Microteaching, Massachusetts: Addison-Wesley Reading.
  32. Amobi, F. A.(2005).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ity on the sequence and consequences of teaching actions in a microteaching experience, Teacher Education Quarterly, 52(1), 115-30.
  33. Benton-Kupper, J.(2001). The microteaching experience: Student perspectives, Education, 12J(4), 830-835.
  34. Bogdan, R. C., & Biklen, S. K.(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5th ed.). Boston, MA: Allyn & Bacon.
  35. Borg, W., Kallenbach, W., Morris, M. and Friebel, A.(1969). Videotape feedback and microteaching in a teacher training model,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37, 9-16. https://doi.org/10.1080/00220973.1969.11011141
  36. Brent, R., & Thomson, W. S.(1996). Videotaped micro teaching: Bridging the gap from the university to the classroom, The Teacher Educator, 31, 238-247. https://doi.org/10.1080/08878739609555115
  37. Greswell 저, 조홍식 외 역(2005).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38. Davis, O. & Smoot, B.(1970). Effects on verbal teaching behaviors of beginning secondary teacher candidates' participation in a program of laboratory teaching: Laboratory observation schedule and record. Educational Leadership, 28, 165-169.
  39. Gess-Newsome, J., & Lederman, N. G.(1990). The preservice microteaching course and science.
  40. Gibson, S., & Dembo, M. H.(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59-582.
  41. Hawkey, K.(1995). Learning from peers: The experience of student teachers in school-based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al 46, 175-183. https://doi.org/10.1177/0022487195046003003
  42. I' Anson, J., Rodrigues, S., & Wilson, G.(2003). Mirrors, reflections and refraction: The contribution of microteaching to reflective practice,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6(2), 189-199. https://doi.org/10.1080/0261976032000088729
  43. Jerich, K.(1989). Using a clinical supervision model for microteaching, experiences, Action in Teacher Education, 11, 24-32. https://doi.org/10.1080/01626620.1989.10462734
  44. Klinzing, H. G.(2002). Wie effektiv ist microteaching? Ein uberblick uber funfundreifsig jahre forschung (How effective is microteaching? A survey of fifty-three years of research), Zeitschrift fur Padagogik, 48(2), 194-214.
  45. Kpanja, E.(2001). A study of effect of video tape recording in microteaching train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2(A), 483-486. https://doi.org/10.1111/1467-8535.00215
  46. Lincoln, Y. S., & Guba, E. G.(1985). Natu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47. Mathison, S.(1988). Why triangulate? Educational Researcher, 17, 13-17.
  48. McDonald, F. and Allen. D.(1967). Training effects on feedback and modeling procedures on teacher performance,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49. Morse. K. and Davis. O.(1970). Effectiveness of teaching laboratory instruction on the questioning behaviors of beginning teacher candidates, University of Texas: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50. Nancy D. Bell(2007) Microteaching: What is it that is going on here? Linguistics and Education, 18, 24-40. https://doi.org/10.1016/j.linged.2007.04.002
  51. Wilkinson, G. A.(1996). Enhancing microteaching through additional feedback from preservice administrato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2), 211-221. https://doi.org/10.1016/0742-051X(95)00035-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