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nsideration of Progressive Urban Park and The Possibility of Urban Agricultural Park

도시공원 진화상의 비판적 고찰을 통한 도시농업공원의 발전 가능성

  • Yun, Hee-Jeong (Dept. of Tourism Administr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 Mi-Kyoung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s, University of Seoul)
  • 윤희정 (강원대학교 관광경영학과) ;
  • 조미경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대학원)
  • Received : 2012.05.25
  • Accepted : 2012.06.24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Urban parks are progressing but are in chaos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sider critically and classify the new paradigm of urban parks. Urban parks are one of the space products, and progressing aspects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supply, demand and market aspects. In the abstract, urban parks' progress represents process, openness or voidness, general and cultural ecology, productivity, experience program, identity or sense of place, carriers of urban regeneration, urban infrastructure, community space, multi-layered activity, active space, communication with urban space, tool of low carbon strategy and consilience. But urban parks have come under increased criticism about the long period development on trees growth, covering open space, limitation of general and cultural ecology, production, activity programs, identity and community space, visible urban regeneration, economic validity, urban sprawl, not using as the low carbon strategy, and finally negative consilience with contiguous fields. We collected these critical consideration about progressing urban parks, and proposed urban agricultural park as one of the alternative urban parks. This is closely connected with sustainable region development, low-carbon society, local food, well-being, Lohas paradigm and amenity of urban life.

Keywords

References

  1. 강기남, 이종근, 김기황, 이만형, 2007, 텃밭을 이용한 도시농업의 활성화방안,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26(1), 167-176.
  2. 강연주, 김정화, 배정한, 2008, 인천청라지구 조경설계공모를 통해 본 도시기반시설로서 도시공원의 설계 전략, 한국조경학회지, 36(5), 42-54.
  3. 권광식, 최덕천, 2005, 도시농업클러스터 지원을 위한 협동조합네트워크, 한국협동조합연구, 23(1), 59-77.
  4. 권오상, 2000, 가상순위결정법을 이용한 자연생태계의 경제적 가치평가, 경제학연구, 48(3), 177-196.
  5. 권오상, 안동환, 이성우, 2003, 농업 및 농촌의 유지에 의한 도시혼잡비용 감소효과의 계측, 농업경제연구, 44(1), 153-173.
  6. 김규일, 이창효, 이승일, 2010, DELTA 모델을 이용한 교통에너지 및 탄소배출 시나리오 분석, 국토계획, 45(6), 117-135.
  7. 김도경, 최원만, 홍형순, 2008, 강북 대형공원 기본 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6(4), 1-14.
  8. 김성균, 2003, 수원시 2002 월드컵 종합체육공원 기본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0(6), 119-127.
  9. 김성균, 2007, 면목역 만남의 광장 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5(1), 20-27.
  10. 김성진, 2009, 기후변화에 대응한 관광자원개발 지표의 개발, 관광학연구, 33(7), 227-244.
  11. 김수봉, 조진희, 정응호, 2002, 환경친화적 도시와 도시농업, 환경과학논총, 7(1), 71-91.
  12. 김아연, 2005, 브리지 파크 국제설계경기에 나타난 현대 조경설계의 경향, 한국조경학회지, 33(5), 15-30.
  13. 김아연, 2009, 공원화 사업을 통한 도시재생의 그늘, 뉴욕 런던 서울의 도시재생 이야기, 서울: pixelhouse.
  14. 김정윤, 2004, 대만 치치 지진 메모리얼: 접근과 설계과정, 한국조경학회지, 32(5), 129-136.
  15. 박근현, 배정한, 2008,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 공간 국제설계공모에 나타난 대형 공원의 설계 전략, 한국조경학회지, 36(5), 13-25.
  16. 박율진, 2010, 도시공원녹지 관리에 대한 주민참여 의식: 익산시 일반이용자와 환경단체의 의식비교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5(1), 199-209.
  17. 배정한, 2002, 다운스뷰파크 국제설계경기를 통해 본 조경설계의 새로운 전략, 한국조경학회지, 29(6), 62-71.
  18. 배정한, 2004a, Landscape Urbanism의 이론적 지형과 설계 전략, 한국조경학회지, 32(1), 69-79.
  19. 배정한, 2004b, 현대 조경 설계의 이론과 쟁점, 파주: 도서출판 조경.
  20. 배정한, 2007, 조경의 시대, 조경을 넘어, 파주: 도서출판 조경.
  21. 성현찬, 2007, 경기도 도시공원의 지정.조성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농촌계획, 13(3), 111-122.
  22. 안명준, 배정한, 2009, 통합적 환경설계 이론 기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7(2), 14-25.
  23. 윤희정, 변재상, 김인호, 2008, 학교숲 속성별 가치 평가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3), 29-38.
  24. 이경진, 송병화, 2009, 예산군 농업.농촌 테마공원 계획, 농촌계획 15(1), 89-99.
  25. 이상경, 조경진, 2003, 열린 내러티브 구조를 이용한 환경설계 방법 연구: 용산 아리랑 문화공원을 설계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31(2), 12-27.
  26. 이상민, 조정송, 2004, 서울숲 조성 설계공모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6), 15-27.
  27. 이상민, 2006, 설계 매체로 본 한국 현대 조경설계의 특성: 현상설계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이승일, 2010, 저탄소.에너지절약도시 구현을 위한 우리나라 대도시의 토지이용: 교통모델 개발방향, 국토계획, 45(1), 265-281.
  29. 이주엽, 김용근, 2008, 체험형 농업테마파크 개발 잠재력 검토: 농협 안성목장 개발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4(3), 1-9.
  30. 장동헌, 2006, 생태지향형 도시농업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장동헌, 2009, 도시농업 육성의 정책적 함의, 산업경제연구, 22(2), 979-994.
  32. 장동헌, 소순열, 유찬주, 2006, 도시농업의 인식 및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전주시 도시민을 사례로, 지역사회연구, 14(3), 91-105.
  33. 장보경, 최윤지, 황정임, 2011, 도시농업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19(3), 511-529.
  34. 정영진, 정욱주, 2009, 지역정체성 구현을 위한 순천 교육문화 공간 조경계획, 농촌계획, 15(2), 9-17.
  35. 정욱주, 제임스 코너, 2005, 프레쉬 킬스 공원 조경 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3(1), 93-108.
  36. 주신하, 2008, 현대 대표 도시공원에 대한 평가: 만족도 및 경관이미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4), 36-47.
  37. 최수명, 김영주, 2005, 농업혁신도시의 표준 프레임 워크 도출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1(4), 17-24.
  38. 한소영, 조경진, 2010, 서울시 도시공원의 장소적 재현: 기념성, 상징성, 장소기억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8(2), 37-52.
  39. 홍성권, 1998, 여의도공원의 경제적 가치 평가: 이단계 이선 가치 평가추정법을 적용하여, 한국조경학회지, 26(3), 90-103.
  40. Ashebir, D., M. Pasquini, W. Bihon, 2007, Urban agriculture in Mekelle, Tigray state, Ethiopia: Principal Characteristics,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for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Cities, 24(3), 218-228. https://doi.org/10.1016/j.cities.2007.01.008
  41. Bezemer, D., 2007, Agriculture, development, and urban bias, World Development, 36(8), 1342-1364.
  42. Hidding M. C., A. T. J. Teunissen, 2002, Beyond fragmentation: new concepts for urban-rural developmen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297-308. https://doi.org/10.1016/S0169-2046(01)00228-6
  43. Kaplan, R., M. E. Austin, 2004, Out in the country: sprawl and the quest for the nature nearb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9, 235-243.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09.006
  44. Lynch, K., T. Binns, E. Olofin, 2001, Urban agriculture under threat, Cities, 18(3), 159-171. https://doi.org/10.1016/S0264-2751(01)00008-7
  45. Memon, P. A., Lee-Smith, D., 1993. Urban agriculture in Kenya, Canad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27(1), 25-42. https://doi.org/10.2307/485438
  46. Mireri, C., P. Atekyereza, A. Kyessi, N. Mushi(2007) Environmental risk of urban agriculture in the Lake Victoria drainage basin: A case of Kisumu municipality, Kenya, Habitat International 31, 375-386. https://doi.org/10.1016/j.habitatint.2007.06.006
  47. Racodi, C., 1988, Urban agriculture: Research questions and Zambian evidence, The Journal of Modern African Studies, 26(3), 495-515. https://doi.org/10.1017/S0022278X00011745
  48. Page, B., 2002, Urban agriculture in Cameroon: an anti-politics machine in the making?, Geoforum, 33, 41-54. https://doi.org/10.1016/S0016-7185(01)00022-7
  49. Pasquini, M. W., 2006, The use of town refuse in urban agriculture around Jos, Nigeria: health and environmental risk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54, 43-59.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04.12.025
  50. Schultz, T., 1966, Urban development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griculture,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15(1), 1-9. https://doi.org/10.1086/450193
  51. Sullivan, W. C., S. T. Lovell, 2006, Improving the visual quality of commercial development at the rural-urban fring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7, 152-166.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5.01.008
  52. Wilson, E. O., 1998,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New York: Random House.
  53. Yu, X. J., C. N. NG, 2007, Spatial and temporal dynamics of urban sprawl along two urban-rural transacts: a case study of Guanzhou,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9(1), 96-109.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6.03.008

Cited by

  1. The Current Status of Use and the Difference of Awareness by User Groups in the Cheongryongsan Vegetable Garden Park vol.20, pp.2,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2.071
  2. 도시농업공원 조성에 대한 선호와 가치평가 vol.21, pp.2, 2013, https://doi.org/10.11625/kjoa.2013.21.2.125
  3.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위한 전략 및 기본계획 연구 - 대구광역시 고산골마을을 대상으로 - vol.45, pp.4, 2012, https://doi.org/10.9715/kila.2017.45.4.023
  4. Proposal of Urban Agricultural Park Management and Operation Plan Using the Public Service Design Process vol.24, pp.2, 2021, https://doi.org/10.11628/ksppe.2021.24.2.153
  5. What is an Agricultural Park? Observations from the Spanish Experience vol.112, pp.None, 2012, https://doi.org/10.1016/j.landusepol.2021.105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