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Waterfalls in Jeju Island Based on Properties of a Lava Flow

용암류 특성에 의한 제주도 폭포의 유형화

  • Kim, Tae-H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2.04.17
  • Accepted : 2012.05.21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In order to examine geomorphic characteristics such as form and retreat process of waterfalls in Jeju Island, 26 waterfalls were classified based upon materials forming a fall face. The waterfall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such as single unit, multiple units and basal soft-rock based upon the number and type of a lava flow. A block fall, composed of a pile of large blocks, could be added to the typology of waterfalls in Jeju Island. While the single unit fall is distributed in a region of trachyte or trachyandecite, the multiple units fall and basal soft-rock fall are largely developed in a region of basalt or trachybasalt. A retreat process of the single unit fall is an inclination or a replacement, but the basal soft-rock fall shows a parallel retreat. The multiple units fall exhibits three types of a retreat process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lava flow. The fall face is generally vertical due to well-developed vertical joints of a lava flow.

제주도 폭포의 지형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라산 산록과 서귀포 해안지대에 소재하는 26개 폭포를 대상으로 용암류의 형태와 물리적 성질에 의해 폭포를 분류하고, 후퇴프로세스를 검토하였다. 폭포벽과 폭호를 구성하고 있는 용암류 유형과 매수에 근거하여 단일 용암류형, 복수 용암류형, 기저부 연암형 및 용암류 암괴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단일 용암류형 폭포는 조면암이나 조면안산암 분포지역에, 복수 용암류형 폭포와 기저부 연암형 폭포는 현무암이 나 조면현무암 분포지역에 잘 발달하여 폭포 유형에 용암류의 암질이 반영되고 있다. 폭포의 후퇴프로세스는 단일 용암류형 폭포에서는 감경사적 후퇴나 교체후퇴가 나타나는 반면 기저부 연암형 폭포는 전형적인 평행후퇴를 한다. 복수 용암류형 폭포는 용암류의 물리적 성질에 따라 세 후퇴 유형을 모두 보인다. 수직절리가 잘 발달한 용암류가 폭포벽을 만들고 있으므로 대부분의 폭포는 수직에 가까운 폭포벽을 지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