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a Three Dimensional Concept of Intangibility on Consumer's Uncertainty, Perceived Risk and Emotion after Purchase : The Moderating effect of Needs for Touch

세 가지 차원의 무형적 속성이 소비자의 불확실성, 위험지각과 구매 후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 촉각욕구의 조절효과

  • Ju, Seon-He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oo, Dong-Mo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g-Yup (Korea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Private School)
  • 주선희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 구동모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 이성엽 (한국사학진흥재단)
  • Received : 2011.11.14
  • Accepted : 2012.03.09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Consumption is the most important cultural keyword in the modern society. This study tried an exploratory comparison of consumer culture of Korea, USA and Sweden in response to the needs on cultural comparison research perspective. Triandis's cultural dimensions were adopted to explore each country's cultural characteristics. A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nsumers who lived both in Korea and USA, or in Korea and Sweden, which enabled them to get familiar with each country's consumer culture. The research found that the culture is projected to the consumer culture in a micro domain. The individualism allowed consumers in USA and Sweden to be unconscious of other's eyes. But collectivism in Korea made Korean consumers locked in other's judgement. In contrast, in a macro domain of consumer culture such as donation and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consumption practices were in a dissonance with their cultural orientation, where includes interaction with society and environment. In addition, in a post-materialistic society, symbolism of consumption goods gets weakened and experiential consumption evolves with a transition from mass consumption society to plural culture society. Lastly, consumer culture functions as a creative mechanism of new culture by consumer's reflexive planning, which is one of the clues of an autonomous consumer culture.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consumer culture of Korea, USA and Sweden as an exploratory trial for the comparison of consumer cultures. To increase empirical consumer culture study, refined questionnaire item pool is to be extracted through various exploratory researches, which can be utilized commonly in various cultures. Moreover, an additional research is in need about a consumer culture in a macro domain and experiential consumer culture in a post-materialism society.

본 연구는 제품과 서비스의 무형적 속성을 물리적 무형성, 일반성, 정신적 무형성 등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무형성이 불확실성과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과 불확실성과 위험지각이 소비자의 구매 후의 감정인 만족과 후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무형성과 불확실성 및 위험지각 관계에서 개인특성인 촉각욕구가 미치는 조절적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적 무형성은 불확실성과 위험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물리적 무형성과 일반성은 불확실성과 위험지각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불확실성은 위험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성과 위험지각 모두 후회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연구 결과, 수단적 촉각욕구가 높은 사람일수록 무형성과 불확실성, 위험지각 사이에 미치는 영향이 높을 것이라고 예측했는데, 정신적 무형성과 위험지각 간의 가설을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수단적 촉각욕구가 높은 사람일수록 정신적 무형성이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높게 지각한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그리고 자기 목적적 촉각욕구가 높은 사람은 무형성과 불확실성, 위험지각 간의 영향이 없거나 수단적 촉각욕구보다 낮을 것이라고 예측했는데,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목적없이 즐기는 욕구가 높은 소비자는 무형적 속성의 제품과 서비스에서 불확실성, 위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가 무형적 속성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탐색, 의사결정시의 불안정한 심리와 구매 후의 감정에 이르기까지 소비자의 구매 전 과정의 심리를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촉각욕구의 성향에 따라 무형적 속성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불확실성이나 위험을 감지하는 수준의 차이를 살펴볼 수 있어 기존의 집단세분화와는 다르게 새로운 집단세분화의 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2012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1-B00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