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 기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conomic Impacts of Korean Climate Industry - Focusing on Renewable Energy Industry -

  • 홍준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 박성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 박중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Hong, Jun-Suk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Sung-Hwan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Jung-Gu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투고 : 2012.02.15
  • 심사 : 2012.03.09
  • 발행 : 2012.03.31

초록

기후산업은 세계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할 수 있는 산업으로서 기후변화를 창출하거나 이에 대응하는 모든 산업군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중 신재생에너지산업에 한정하여, 2011년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2009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2009년 현재 한국 신재생에너지산업은 1원의 생산량 증가를 통해 1.1644원의 생산을 유발하였으며, 0.3544원의 부가가치를 유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취업유발효과는 10억원의 생산량 증가를 통해 10.065명의 취업을 유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산업구조 전체 속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상대적 위치를 설정하는 산업연쇄효과는 아직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신성장동력으로 지정한 신재생에너지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이 더욱 활발하게 추진되고,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부가가치사슬망(value-chain)에 관련된 산업들에 대한 정책도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limate industry could be defined as the group of industries responding to world climate change compacts. This study confined it to renewable energy and analyzed the economic impacts of Korean renewable industry, using 2009 Input-Output Table. This study estimated that Korean renewable industry made the production-induced impact of 1.1644 won(Korean money), and the value-added-induced impact of 0.3544 won through an increase in output growth of 1 won. Its job-creation impact is analyzed to correspond to 10.065 labors through an increase in output growth of 1 billion won. And its industrial linkage effects including forward and backward ones are analyzed not to be so great as expect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some policies vitalizing Korean renewable industry and relating industries to its value-chain as new growth engines are recommen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국제에너지기구(IEA) : "World Energy Outlook", (2011).
  2. 최기련 : "녹색성장 환상에서 빠져 나와야", 매일경제신문, (2012).
  3. 이준행, 노용환 : "남해안 지역 조력.조류 에너지 개발사 업의 경제성에 관한 소고", 에너지경제연구, 제8권, 제1 호, pp. 1-32, (2009).
  4. 오형나 : "더반회의,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공조의 한계와 가능성", (2012).
  5. 한국광해관리공단 : "녹색성장시대의 신재생에너지 클러 스터 발전방안", 녹색성장제안공모전 장려상, (2010).
  6. 한국마케팅연구소 : "2012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산업 동향과 사업전략", (2012).
  7. 진상현, 김성욱 :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의 에너지원별 산업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0권, 제 2호, pp. 309-333, (2011).
  8. 한국은행 : "2009년 산업연관표", (2011).
  9. 곽승준, 유승훈, 유태호, "원자력발전의 산업파급효과 분 석 : 투입산출분석을 이용하여", 경제학연구, 제50권, 제3 호. pp. 83-109, (2000).
  10. 김덕한, 박성환, 박중구 : "한국 태양에너지기업의 가치사슬별 경제적 성과 요인분석", 에너지공학회", 제 18권, 3호, pp. 175-190, (2009).
  11. 황문성, 박종현, 김영민 : "신․재생에너지산업 현황 및 발전방향", 한국은행, (2008).
  12. 지식경제부 : "신재생에너지산업 현황조사 결과",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1).
  13. 이철용, 이상열 :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수출전략 및 파급효과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0-14, (2010).
  14. 산업연구원 : "녹색성장을 위한 친환경 부품.소재 육성전략", (2009).
  15. 산업연구원 : "신재생에너지 설비산업의 역량 분석 및 정책 지원방향", e-KIET 산업경제정보, 474호(2010- 06), (2010).
  16. 한국수출입은행 : "국내 풍력산업 수출화 애로점 및 지원 방안", (2009).
  17. 경기개발원 : "경기도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방안", 경기개발연구원 정책자료, (2009).
  18. 강광하 :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000).
  19. 한국금융위원회 : "녹색성장회계와 구조분해분석, 한국 경제의 분석", 제16권, 제2호, (2010).
  20. ILO : "Promoting Decent Work in a Green Economy", (2011).

피인용 문헌

  1. An Analysis on the Economic Effects of the Uni-materialization Related Industry in Korea vol.35, pp.4, 2018, https://doi.org/10.9786/kswm.2018.35.4.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