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and the Assessment of Exterior Design of Functional Sandals for Stature of Achilles Tendons

아킬레스건 신장용 기능성 샌들의 외형 디자인 평가 분석

  • 양근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Received : 2012.01.02
  • Accepted : 2012.05.29
  • Published : 2012.06.28

Abstract

Based on the study, the issues and trends in the current functional sandal designs on the same product line will be examined for the future developments for the functional sandals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the sandals must have a high front heel with wide floors that meet the ground.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hromatic colour is stronger than the achromatic colors. Third, the sandals must be designed in curves in terms of the height and shape of the heels and design must consider the shoe's balance. Fourth, the product must appear big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However, the sandals must not be designed too big to make them look crude or cause inconvenience while exercising. Fifth, the sandals must not be designed in too complex way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external design of functional sandals and the user reviews on the actual sandals were not done. Through more detailed studies, the diversity in the design of functional sandals must be south and Korea's competitive edge in the industry and design must be secured for the future.

현대인의 생활은 굽이 높은 슬리퍼, 샌들, 하이 힐 등의 과다 사용에 따른 수축된 아킬레스건이 보행 또는 운동 중에 파열되는 사고로부터 예방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민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서 운동부족과 과잉섭취에 의한 국민비만은 심각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아킬레스건의 신장과 이완된 종아리 근육을 풀어주거나 키워주는 역할의 기능성 샌들에 대한 외형 디자인에 대하여 현재 시제품에 대한 분류와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어떠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한 지 알아보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조사를 통하여 동일 제품군을 대상으로 현재 기능성 샌들 디자인 문제점과 경향으로 향후 개발되어질 기능성 샌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앞굽이 높고 바닥이 넓으며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많아야 한다. 둘째, 무채색 계열보다는 유채색 계열에 대하여 선호도가 높다. 셋째, 굽의 높이와 형태를 곡선 적으로 제작하고 신발의 균형에 대하여 디자인 고려해야 한다. 넷째, 기능성 샌달로써 형태가 너무 커 투박하거나 운동에 불편을 주지 않는 가운데 될수록 크게 보여 안정감을 주도록 한다. 다섯째, 형태를 디자인하는데 너무 복잡하게 디자인하지 않도록 한다. 연구는 기능성 샌들의 외형 디자인에 대해서 조사 분석한 것으로 실제 샌들의 사용 평가 등에 대해서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통해 건강을 위한 기능성 샌들 디자인의 다양화를 모색하고 우리나라의 산업과 디자인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동렬, "기능성 향상을 위한 안전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동의대 대학원, pp.28-30, 2006.
  2. 주인탁, 족부 및 족근 관절의 신체 검사, 영창출판사, p.27, 2007.
  3. 하민주, "신발디자인이 생활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pp.56-57, 2001.
  4. 김창희, 박대식, 송정기, 이창기, 황영호, 현대사회와 환경, 삼우사, pp.66-67, 2001.
  5. 김은경, "20세기 신발 디자인 연구", 이화여대대학원, p.17, 2001.
  6. 정석길, "노인의 발 유형 및 보행특성에 따른 신발디자인의 인간공학적 연구", 동아대대학원, pp.88-89, 2000.
  7. 박헌애, "어린이용 신발류 Design에 관한 연구 : 9세미만 아동의 봄.가을 신발디자인을 중심으로", 이화여대대학원, p.45, 1993.
  8. 이윤정, 김영봉, "신발 곡면의 3차원 격자 데이터 의 평면화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