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iographical Study of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 Focused on the Physical and Cerebral Palsy Disabled -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지체와 뇌병변 장애인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2.26
  • Accepted : 2012.04.05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with the disabled through a biographical study. It is analysed the interview date conducting an interview about 10 focused on the physical and cerebral palsy disabled with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The results show that it is multi-social exclusion including the inequality of approach opportunity of education, labor, education, medical, social participation, information, social service, space, health etc. It shows their life neglected and marginalized resulted from not providing social right as citizenship. And their social relationship is isolated by social exclusion and Other-directed identity is to be shaped in accordance to the method to define as regulated social ideals. Also, there is their painful and heavy life bound with double risky factors of disability and poverty. They share common historical experiences and social events impacted on their recognition and value among participants generation in biographical narrative. On the other hand, their life is reconstructed according to each their resource and standard to interpreter and evaluate on it. It suggests poli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bled's social exclusion, which is based on practical and vivid experiential dates from the participants.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사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에 지체와 뇌병변 장애인 10명의 사회적 배제 경험을 중심으로 심층 면접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참여 장애인들은 교육, 노동, 사회참여, 정보, 사회서비스, 공간, 건강관리 등의 다차원적인 사회적 배제에 직면해 있는 주변인으로 시민권적 권리가 부재한 삶을 지내왔다. 이러한 배제로 인해 사회적 관계가 단절되고 해체되었으며, 그들의 정체성 또한 규범화된 사회적 관념에 의해 타율적인 방식으로 정형화되어 갔다. 또한 장애와 빈곤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참여 장애인들의 삶 가운데 이들 세대의 인식과 가치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경험들이 제시되었다. 한편 사회적으로 배제된 이들의 삶의 의미는 스스로 평가하고 해석하는 원천에 따라 새롭게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극복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