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00 kW급 조류발전용 터빈의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n 100 kW Class Tidal Current Turbine

  • 김부기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
  • 양창조 (목포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
  • 최민선 (목포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 Kim, Bu-Gi (Graduate School,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Yang, Chang-Jo (Division of Marine Engineering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Choi, Min-Seon (Division of Marine Engineering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투고 : 2012.02.17
  • 심사 : 2012.04.23
  • 발행 : 2012.04.30

초록

최근 지구온난화 문제가 대두되면서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여러 기술적인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산업적으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가 바로 해양에너지이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부존자원이 풍부하여 조력, 조류, 파력에너지에 대한 실용화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빠른 조류흐름을 이용하는 조류발전은 해양환경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친환경적인 발전 방법이다. 조류발전은 조수간만에 의해 발생되는 해수의 자연적인 수평 유체흐름을 로터 및 발전기를 설치하여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형태이다. 조류발전은 로터의 방향에 따라 크게 수평축 형태와 수직축 형태로 구별할 수 있으며, 발전량은 로터 단면의 크기와 조류속도에 따라 큰차이가 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수심형 100 kW급 수평축 조류발전 터빈의 성능해석을 위하여 상용 ANSYS-CFX를 이용하여 3차원 유동해석및 성능평가를 수행하였고, 유동해석을 통해 회전하는 로터 블레이드 표면 유선, 로터 주변 3차원 유동특성에 대해 고찰을 하였다. 그 결과 토크는 터빈의 날개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TSR 3.77에서 최대토크가 발생하였으며, 그 이후 날개끝 속도비가 증가해도 토크는 감소하였다. 또한, 설계유속에서 0.38의 최대 출력계수를 얻었다.

As the problems of global warming are brought up recently, many skillful solutions for developing new renewable energy are suggested. One of the most remarkable things is ocean energy. Korea has abundant ocean energy resources owing to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urrounded by sea on three sides, thus the technology of commercialization about tidal current power, wave power is demanded. Especially, Tidal energy conversion system is a means of maintaining environment naturally. Tidal current generation is a form to produce electricity by installing rotors, generators to convert a horizontal flow generated by tidal current into rotating movement. According to rotor direction, a tidal current turbine is largely distinguished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axis shape. Power capacity depends on the section size crossing a rotor and tidal current speed. We therefore investigated three dimensional flow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commercial ANSYS-CFX code for an 100 kW class horizontal axis turbine for low water level. Then We also studied three dimensional flow characteristics of a rotating rotor and blade surface streamlines around a rotor. As a result, We found that torque increased with TSR, the maximum torque occurred at TSR 3.77 and torque decreased even though TSR increased. Moreover we could get power coefficient 0.38 at designed flow veloc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평, 강호근, 이영호(2010), 외벽을 장착한 양방향 입출실 에너지 집적형 조류발전터빈의 성능평가, 한국 마린엔지니어링학회 논문집, pp. 455-457.
  2. 김종춘(2011), 기후변화 국제정책 동향, 한국자동차공학회지, 오토저널, 제33권, 제5호, pp. 55-57.
  3. 양창조(2011), 조류발전용 로터 블레이드의 최적 형상 설계,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17권, 제1호, pp. 75-82.
  4. 오민수(2009), 해양에너지(Ocean Energy) 기술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 3.
  5. 유기완(2009), 500 kW급 수평축 조류발전기의 수력 최적 설계,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제29권, 제5호, pp. 73-80.
  6. 유엔기후변화회의(2009), http://www.denmark.dk/en/menu/Climate-Energy/COP15-Copenhagen-2009/
  7. 이철훈(2009), 울돌목 조류발전 및 당진 해양소수력 현황 및 전망, 전기저널, 제392호, pp. 51-55.
  8. 조철희, 박노식, 임진영, 이강희(2010), 수평축 조류발전 로터의 유향변화에 따른 효율 고찰,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4권, 제4호, pp. 8-12.
  9.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2010), MW급 조류발전시스템 표준화 모델 개발, pp. 8-14.
  10. Burton, T., D. Sharpe, N. Jenkins and E. Bossanyi (2003), Wind Energy Handbook, John Wiley & Sons Ltd., pp. 1-56.
  11. Doherty, D. M. O., A. Mason-Jones, T. O. Doherty and C. B. Byrne(2009), Considerations of Improved Tidal Stream Turbine Performance Using Double Rows of Contra-Rotating Blades, European Wave and Tidal Energy Conference, Vol. 8, pp. 434-442.

피인용 문헌

  1. Performance study on a counter-rotating tidal current turbine by CFD and model experimentation vol.79, 2015, https://doi.org/10.1016/j.renene.2014.11.022
  2. Empirical Evaluation of Tidal Current Generation System at Ul-Dol-Mok in Jin-do vol.33, pp.2, 2016, https://doi.org/10.7736/KSPE.2016.33.2.157
  3. Performance investigation of a counter-rotating tidal current turbine by CFD and model experimentation vol.30, pp.2, 2016, https://doi.org/10.1007/s12206-016-0104-y
  4. A Study on the Performance Estimation and Shape Design of a Counter-Rotating Tidal Current Turbine vol.20, pp.5, 2014, https://doi.org/10.7837/kosomes.2014.20.5.586
  5. Geometry Design of a Pitch Controlling Type Horizontal Axis Turbine and Comparison of Power Coefficients vol.17, pp.3, 2014, https://doi.org/10.7846/JKOSMEE.2014.17.3.167
  6. P&O알고리즘을 이용한 조류발전 시스템의 최대출력 제어 vol.22, pp.3, 2012, https://doi.org/10.6113/tkpe.2017.22.3.199
  7. Maximum Power-Point Tracking Control Using Perturb and Observe Algorithm for Tidal Current Generation System vol.7, pp.4, 2012, https://doi.org/10.1007/s40684-019-00162-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