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figuration of GNSS CORS Network(EAREF) for Earth Observations in the East-Asia Region

동아시아지역의 GNSS CORS 지구관측 네트워크(EAREF) 구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2.02.06
  • Accepted : 2012.04.30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is paper is designed to put forth a proposal for configuration of an optimized observation network based on GNSS CORS with a view to continued monitoring of crustal deformation in the East-Asian region. For this purpos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testing of various forms of GNSS CORS observation network tentatively constructed based on the Asia-Pacific IGS station has confirmed that geometrically arranged minimum five and ten or more reference points and an EAREF, constructed with a baseline length no longer than 2,500km, can produce an optimum outcome. And an EAREF-applied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Great Eastern Japan Earthquake of March 2011 shows that there were conspicuous positional movements in Japan and Korea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movement in other regions.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지역의 지각변동 경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GNSS CORS 기반의 최적 관측네트워크 구성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아시아-태평양지역 IGS점을 기초로 다양한 형태의 GNSS CORS관측망을 시험적으로 구성하고 테스트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바, 최소 5점 또는 10점 이상의 기지점을 사용하여 기하학적으로 균등하게 배치하고 2,500km 이내의 기선장으로 구성하는 동아시아지역 관측네트워크(EAREF)가 최적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제시된 동아시아지역 관측네트워크를 적용하여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의 발생에 따른 위치변동을 해석한 결과 일본과 한국에서는 명백한 좌표이동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지역에서는 명백한 이동은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위성기준점 활용확대 및 지각변동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1), 동일본 대지진에 따른 지각변동관측 해석기법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3. 박필호, 안용원, 박종욱. 조정호, 임형철 (2000), GPS로 잰 한반도 주변의 지각운동 속도,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지,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제3권, 제3호, pp. 153-160.
  4. 박준규, 강준묵 (2010). IGS자료에 의한 한반도 주변의 지각변동 특성해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8권, 제6호, pp. 645-653.
  5. 백은기, 이영진(1991), 가중측점망 조정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1권, 제4 호, pp. 133-141.
  6. 이영진 (1993), GPS위성의 P코드/위상측정용 2주파수 수신기에 의한 정밀측위,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3권, 제2호, pp. 219-228.
  7. 이영진, 정광호(2011a), 동일본 대지진에 따른 일본의 기준점 성과갱신 사례,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8. 이영진, 정광호, 이명준 (2011b), 지각변동관측을 위한 동아시아지역 GNSS CORS 네트워크의 구성시험, The 18th GNSS workshop 논문집, GNSS기술협의회, p. 67.
  9. 윤홍식 (2000), 지각변동 파라메터의 정밀계산을 위한 2차원 필터링 기법의 적용",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Vol.18 No.1, pp. 75-83.
  10. 정광호, 이영진, 이흥규, 이명준 (2010), CORS 데이터처리에 의한 지각변동 벡터 산출 방안,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11. 정광호, 이흥규 (2011), GPS 측지망 조정을 통한 국가기준점 성과의 상시산정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9권, 제 4호, pp. 367-380.
  12. 최윤수, 고준환, 이기도 (2003), GPS장기선 해석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1권, 제2호, pp. 123-129.
  13. 한덕희, 윤희학, 박찬식 (2009), GNSS 반송파 위상을 이용한 정밀측위에서 미지정수 전파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한국항공우주학회, 제37권, 제7호, pp. 678-684.
  14. Altamini, Z. (2002), Discussion on How to Express a Regional GPS Solutions in the ITRF, Symposium of the IAG Subcommission for Europe (EUREF), Ponta Degada. 5-8 June.
  15. Cross, P.A. (1984), Advanced least squares applied to position fixing, Working paper, No.6. Department of Surveying, Ploytechnic of East London, 205pp.
  16. Dach, R., Hugenttobler, U., Fridez, P., Mei, M. (2007), Bernese GPS Software(Version 5.0), Astronomical Institute, University of Bern.
  17. Lee, Y.J. (2012), Deformation of South Korea as Estimated by GPS Data Processing Due to the Tohoku Great Earthquake, The 2012 International GPS/GNSS Showcase, Bangkok, Thailand, 16-18 January 2012.
  18. Park, K.-D., Nerem, R. S., Schenewerk, M. S, and Davis, J. L. (2004), Site-specific multipath characteristics of global IGS and CORS GPS sites, Journal of Geodesy, 77(12), pp. 799- 803. https://doi.org/10.1007/s00190-003-0359-9
  19. Rizos, C. (1996) Principles nad Practice of GPS Surveying. School of Surveying & SIS,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Australia.
  20. APREF 홈페이지 (2011), http://www.ga.gov.au/earth-monitoring/geodesy/asia-pacific-reference-frame.html.
  21. EUREF 홈페이지 (2011), http://epncb.oma.be.
  22. IGS 홈페이지 (2011), http://www.igs.org.

Cited by

  1. 위성기준점 안테나교체에 따른 수직위치 변동량의 정밀산정 vol.30, pp.4,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2.30.4.343
  2. 동아시아지역의 GNSS CORS 지구관측 네트워크(EAREF 2012.0) 좌표산정 연구 vol.31, pp.1,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3.3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