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요양보호사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지, 지식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Knowledge, and Self-Efficiency of the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Care Helpers

  • 이재민 (광주보건대학교 응급구조과)
  • Lee, Jae-Mi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Gwangju Health College)
  • 투고 : 2012.02.25
  • 심사 : 2012.04.12
  • 발행 : 2012.04.30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are workers to do their best as first respondents by analysing their recogniti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on basic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ives of patients and thus their education and methods can be improved for their positive basic lifesaving work. Method: For this purpose 360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the subjects in the eastern area of Jeonnam province from June 20 to July 4, 2011. Of these questionnaires 217 were used excluding 113 incomplete, 27 error, and 3 male on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the real number, the percentage, the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Tukey with SPSS WIN 18.0. Results: 1. In the view of subjects, those aged over 51 accounted for 96(44.2%) as the majority, high school graduates, 95(43.8%), worked for 1 or more than 1 year-less than 2 years, 66(30.4%), experienced to see persons collapsed losing their consciousness, 46(21.2%), took the education, 184(85.7%), had 1 session of education, 80(43%), got the last education for 2 or more than 2 years 68(37%), and practiced through mannequin for the education aids, 86(46.7%).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ew of recognition with the length of work (p=.010) and experienced to see persons collapsed losing their consciousness (p=.020), in the view of knowledge with academic background (p=.040) and the length of work, and in the view of self-efficacy with academic background (p=.002), the length of work (p=.010) and experienced to see persons collapsed losing their consciousness (p=.000).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ssion of education (p=.000), last education (p=.025) and education aids for basic CPR.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ssion of education for basic CPR (p=.001) and the time of education (p=.000). 4.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and self-efficacy (r=.41). The higher the recognition is, the better the self-efficacy improves.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self-efficacy was so low that the former did not have influence on self-efficacy. Conclusions: It needs to offer education to the lifesaving workers based on their experiences. If there is education more than 2 sessions in a year with mannequin and the simulation providing sufficient hours, care workers' recognition would be increased resulting in higher self-efficacy and thus they could keep the role of active lifesaving worker at the first practical sit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명갑, 김성진, 최대해, 진덕호, 유병대, 이동필. 비외상성 병원전 심장정지 환자의 심폐소생술 결과. 대한응급의학회지 2002;13(4):428-433.
  2. 통계청. 고령자 통계 http://kostat.go.kr. 2009.
  3.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2008.
  4. 노인복지법 제39조의 2항 http://www.law.go.kr. 2008.
  5. 박영훈, 정경운, 하영희, 이병국, 류현호, 윤종근 등. 병원전 심폐소생술 시나리오에서 훈련된 구조자에 의한 1인 심폐소생술과 훈련된 구조자 및 훈련받지 않은 일반인에 의한 2인 심폐소생술의 질 비교. 대한응급의학회지 2008; 19(6):617-626.
  6. 이재민, 윤형완. 일개지역 구급활동 중 병원전 심장정지 및 약물중독 환자 분석.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2010;14(3):83-93.
  7. 이재민. 현장에서 자동제세동 실시 후 환자소생사례 연구.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 2010;13(2): 95-98.
  8. 윤형완, 이재민, 정지연. 119구급대에 의해 소생한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 1례.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2010;24(5):142-149.
  9. Thomson RG, Hallstrom AP, Cobb LA. Bystander-initia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management of ventricullar fibrillation. Ann Intern Med 1979; 90(5):737-40. https://doi.org/10.7326/0003-4819-90-5-737
  10. Becker LB, Ostrander MP, Barrett J, et al. Outcome of CPR in large metroplitan area-Where are the survivors?. Ann Emerg Med 1991;20(4):355-61. https://doi.org/10.1016/S0196-0644(05)81654-3
  11. Gallagher EJ, Lombardi G, Gennis P. Effectiveness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survival follow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J Am Med Assoc, 1995;274(24):1922-5. https://doi.org/10.1001/jama.1995.03530240032036
  12. 황성오, 이부수, 김영식, 안무업, 임경수, 강성준. 응급실에서 시행된 심폐소생술 후의 생존율과 순환 회복률에 관여되는 요소. 대한응급의학회지 1993;14(1):15-25.
  13. 강경희, 한영수, 황정연. 심폐소생술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2006;18(3): 353-361.
  14. 백미례, 이인수. 일부 경찰공무원에게 실시한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2001;15(5):53-61.
  15. 최용철, 이창섭, 왕순주. 소방 2급응급구조사의 성인 심폐소생술에 대한 숙련도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2004;18(1):13-17.
  16. 정태녕, 박인철, 윤유상, 김승호. 목격자의 형태가 병원전 심장정지 환자의 병원 도착까지의 시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2005; 16(1):93-98.
  17. 이정은, 고봉연. 양호교사를 대상으로 한 최초 반응자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평가.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001;19(2):269-278.
  18. 오수일, 한상숙.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에 미치는 지속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8;38(3):383-392.
  19. 최향옥. 심폐소생술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및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0. 강경희. 현장응급처치(First Responder)를 위한 기본인명구조술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1. 이문희. 심폐소생술 교육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2. 보건복지부, 중앙응급의료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한심폐소생술협회. 공용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배포. 2011.
  23. 박세훈, 최혁중, 강보승, 임태호, 염석란. 일부 최초반응자 직업군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태도에 대한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2006;17(6): 545-558.
  24. 황성오, 임경수. 심폐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 제3판. 서울:군자출판사; 2006. p.3-56.
  25. 이원태, 오수일, 서길준, 사진으로 배우는 응급처치와 심폐소생술. 메디칼크로스. 2009.
  26. 김은수.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실태 및 지식과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7. 법제처. 노인복지법 39조 http://www.law.go.kr. 2008.
  28. 대한심폐소생술협회, AHA 심폐소생술과 응급심혈관치료를 위한 국제 지침 2000. 2006.
  29. 고종현. 시뮬레이션 교육이 응급구조과 학생의 기본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2007;11(3):31-45.
  30. Harris, L. A. & Dollinger, S. Participation in a course on aging: Knowledge, attitudes, and anxiety about aging in oneself and others. Educ Gerontol, 2001;27(8): 657-668. https://doi.org/10.1080/036012701317117893
  31. 유수정, 김신미, 이윤정. 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004;34(6):974-982.
  32. 정미현, 권선숙. 요양보호사 1급 교육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와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2009;11(1):51-61.
  33. 백미례. 최초 반응자를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결과의 분석.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2000;4(4):83-93
  34. 박대성, 윤영현, 김정술.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한국치위생과학회 2008;8(4):381-386.
  35. 박상섭, 박대성, 고종현, 김영아, 박재성. 일부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심폐소생술 교육 전후 비교 및 교육 후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2008;12(3):17-26.
  36. 이원웅, 조규종, 최석환, 유지영, 유지영, 유기철.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 후 목격자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신감 및 태도변화. 대한응급의학회지 2009;20(5):505-509.
  37. 황정인. 요양보호사를 위한 심폐소생술교육이 지식과 기술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