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mprovement of Evaluation Indicator System Geared towards Comprehensive Rearrangement Projects in Seats of Township and Town Offices -Based on the Existing Evaluation Indicator System of Small Town Promotion Projects-

읍.면 소재지 종합정비사업 평가지표 체계의 개선방안 -기존 소도읍 육성 사업의 평가지표 체계 분석을 바탕으로-

  • 김은정 (충북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설공학과) ;
  • 안유정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대학원) ;
  • 이만형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대학원)
  • Published : 2012.02.25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design of supplementary evaluation indicator system geared towards comprehensive rearrangement projects in seats of township and town offices. In the first phase, it tries to reveal major problems and issues related to evaluation of the existing small town promotion projects. In terms of analytical tools, this study depends on the Delphi and AHP techniques. In specific, after three rounds of the Delphi methods, it extracts a series of alternative evaluation indicators derived from the AHP methods. It covers 5 major evaluation criteria, under which 18 independent items are hierarchically interconnected. It expects that these alternative evaluation indicators would contribute to selecting appropriate small town promotion projects. Next, applying these evaluation indicators, we examine couples of comprehensive rearrangement projects in seats of township and town offices. From the comparative contexts, we believe that the proposed alternative evaluation criteria would improve the general satisfaction level of key stakeholders in deciding the priority order of the small town promotion projects.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수, 소도읍의 개발모형 설정과 발전전략, 지역개발논총, 15권, 2003. pp.7-32
  2. 김강섭, 이상정, 농촌지역 개발정책의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건설학회논문집, 22권, 2호, 2006. pp.3-10
  3. 김정연, 소도읍 종합육성계획 수립방안: 소도읍 육성 방안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2003.
  4. 김은정, 소도읍 육성사업 제안서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5. 노승용, "델파이기법 전문적 통찰로 미래예측하기", 국토연구, 통권 299호, 2006. pp.53-62
  6. 농림수산식품부, 광특회계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2011년도 주요 신규사업 사업성검토 회의 자료집, 2011.
  7. 농림수산식품부, 2010-2014 광특회계 포괄보조사업 계획수립 가이드라인 교육 자료집, 2010.
  8. 류철성, 소도읍 실태와 개발유형별 평가,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9. 송미령, 권인혜, 포괄보조금 제도 운영의 실태와 개선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10. 양상언, 여홍구, 소도읍 중심시가지 범위의 변화 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4권, 12호, 2008. pp.249-257
  11. 여홍구, 지남석, 김진영, 소도읍의 유형별 내부기능 특성 분석, 농촌계획, 13권, 4호, 2007. pp.9-22
  12. 윤준상, 이종상, 소도읍의 특성과 지표개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권, 2호, 2007. pp.119-126
  13. 이순배, 소도읍육성사업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지방자치연구, 13권, 1호, 2011. pp.31-54
  14. 이주용, 자율적 농어촌지역개발사업 평가지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 지역건설환경공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1. 2.
  15. 이중재, 소도읍의 유형별․지역별 인구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2.
  16. 이찬원, 소도읍의 성장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 자치행정학과 자치행정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4. 2.
  17. 조봉석, 소도읍 육성사업 평가를 통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2003년 선정된 14개 소도읍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2.
  18. 조승현, 하재룡, 소도읍의 성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2권, 1호, 2008. pp.143-164
  19. 한석희, 우리나라 읍면급 도시의 중심지 기능 변화에 관한 여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 도시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3. 8.
  20. 행정안전부, 2010년 소도읍 육성사업 선정지침,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