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정원에 구현된 풍수미학 연구 - 고산 윤선도의 원림을 중심으로 -

Pungsu Aesthetics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 Focused on Kosan Yoon Sun-Do's Gardens in Mountain-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Sung, Jong-S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12.12.31

초록

한국정원을 풍수적 시각으로 바라본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엄밀히 말하자면 풍수 이론이 적용된 정원을 열거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한국정원, 특히 산수간에 조영된 전통원림을 풍수와 관련시켜 고찰해 볼 필요성은 분명히 있다. 그 까닭은 첫째, 풍수나 정원 모두 자연에 대한 인간 대응 방식 내지 태도의 산물이라는 점과 둘째, 입지와 차경상 주변 산수와의 어울림을 중시하게 되는 전통원림에서는 풍수적 안목이 유용하게 작용하였을 것이고 셋째, 보다 구체적인 증거로서 풍수의 비보적 처방에 정원 또는 정원적 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루어졌음에 기인한다. 이 글에서는 풍수와 한국정원과의 상관성을 풍수미학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정원은 물론 풍수의 동시대적 의미와 효용을 풍부히 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산 윤선도의 부용동과 금쇄동 원림에 구현된 풍수미학으로 풍수 형국에 입각한 공간 구도상의 틀과, 각 요처들 간의 시각구도에서 발견되는 감상 차원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전자는 보길도 섬 전체의 형국을 읽으면서 핵심 요처를 찾아내어 풍수적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서 심적 이미지로서의 풍수형국이고, 후자는 각 요처에서 주변을 보다 편안한 시선으로 감상하도록 해주는 차경과 관련된 시각구도이다. 그렇게 탁월한 안목으로 풍수적 의미망과 미학 가득한 정원 부용동을 조영하면서 고산 윤선도는 아름다운 자연 속 체험을 예술로 승화시켰다고 할 수가 있다.

There isn't much of discussion about survey of traditional Korean garden with a perspective of Pungsu. Strictly speaking, it is difficult to list the names of gardens in which Pungsu theory is applied. But it is necessary to study in depth the Korean garden in mountain in relation with Pungsu. The reason is as follow; First, Pung-su and gardening both reflect man's responsive attitude and approach toward nature. Second, selecting a site for a garden requires aesthetic eyes to consider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its compositions, where the perspective of Pungsu can play as an important component at work. Third, Pungsus complementary function justifies the correlation between Pungsu and Korean gardens. Gardens can be viewed as a solution to complement negative elements of Pungsu on site. This article trie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ungsu and Korean garden in mountain in terms of Pungsu aesthetics. In Kosan Yoon Sun-Do's Buyong-dong garden, excavated perspectives of Pungsu aesthetics are fell into two categories; the spatial frame based on Pungsu topography and the dimension of enjoyment through visual angles between essential points. The former can be said as Pungsu topography as a mental image which was constructed by selected points and given Pungsu meanings; the latter is visual angles between those points by which make it possible to see and enjoy in comfortable sights. In such way making and enjoying Buyong-dong garden with full of Pungsu oriented meanings and aesthetics, Kosan Yoon Sun-Do enjoyed and sublimated his experience in nature into art.

키워드

참고문헌

  1. 孤山遺稿.
  2. 金鎖洞記
  3. 弘齋全書 <卷五十七>.
  4. 윤위. 甫吉島誌 .
  5. 강영조(2003). 풍경에 다가서기. 효형출판.
  6. 김두규(1998). 우리 땅 우리 풍수. 동학사.
  7. 김두규(2000).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본 면앙정 입지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2):63-70.
  8. 김두규, 김용기, 김현욱(2001). 풍수지리 관점으로 해석한 귀래정 입지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9(4):39-47.
  9. 김문환(2001). 자연미학의 전개과정과 현대적 의의-환경미학의 정초와 연관하여. 미학 30집:35-115.
  10. 문영오(1997). 고산의 문학 정신과 그 의의. (해남문화원. "고산문학과 해남").
  11. 문영오(2003). <면앙정가>의 풍수지리적 접근. 도교문화연구 19집: 143-163.
  12. 문영오(2001). 고산문학상론. 태학사.
  13. 민주식(2001). 풍경의 미학-풍경미의 구조와 원리. 미학 31집.
  14. 백기수(1971). 응용미학의 기초학으로서 일반 미학의 기초개념. 미학 1집.
  15. 성종상(2003). 조경설계에 있어서 '생태-문화'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고산 윤선도 원림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성종상(2005). 고산 윤선도 원림의 생태적 수경연출기법. 환경논총 43(23)서울대학교.
  17. 성종상(2010). 고산 윤선도 원림을 읽다. 나무도시.
  18. 신영훈(1999). 보길도와 윤선도. 조선일보사.
  19. 이대우(2003). 풍수조경. 청동거울.
  20. 장동수(2003). 한국 전통도시숲의 풍수적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1):43-50.
  21. 장동수(2005). 전통도시조경의 비보풍수적 기법에 관한 연구:조산숲과 원지 제방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3):41-49.
  22. 장영훈(2006). 대학풍수강론. 도서출판 담디.
  23. 장파(1999). 동양과 서양, 아름다움을 비추는 두 거울을 찾아서. 푸른 숲.
  24. 정재훈(1993). 보길도 부용동정원. 열화당.
  25. 조인철(2008). 우리시대의 풍수. 민속원.
  26. 최원석(2004). 한국의 풍수와 비보:영남지방 비보경관의 양상과 특성. 민속원.
  27. 최창조 편역(1992). 터잡기의 예술-서양인이 본 풍수사상. 민음사.
  28. 최창조(2000). 땅의 눈물, 땅의 희망. 서울:궁리.
  29. 홍성담(1998). 화가 홍성담의 청와대 풍수미학 (김두규, "우리 땅 우리 풍수"). 서울:동학사. pp. 368-390.
  30. Bell, Simon(1999). Landscape: Pattern, Perception and Process. Taylor& Francis.
  31. Bishop, Claire(2004). Antagonism and Relational Aesthetics. October. Vol. 110. The MIT Press, pp. 51-79.
  32. Bourriaud, Nicolas(1998). Relational Aesthetics. Les Presse Du Reel, Franc.
  33. Carlson, Allen(2000). Aesthetics and the Environment-The Appreciation of Nature, Art and Architecture. Routledge: London..
  34. Clack, K. (1979). Landscape into Art, London:J. Murray.
  35. Dreyfuss, HenryS. (2003). Designing for People. Allworth Press.
  36. Godlovitch, Stan(1998). Evaluating nature aesthetically.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56:113-125. https://doi.org/10.2307/432250
  37. Higuchi, Tadahiko(1988). The Visual and Spatial Structure of Landscapes(Tr. by Terry, Charles, The MIT Press.
  38. Pennings, Mark(2005). Relational aesthetics and critical culture. In Proceedings Transforming Aesthetics. pp. 1-9. 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
  39. Sung, Jong-Sang(2011). Thoughts on walk atgarden of Joseon dynasty: Focused on Scholar garden in mountain.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N.9-1:41-52.
  40. Zhou, Lai-Xiang(1985). A Comparison between Eastern and Classical Aesthetics. in Peter J. McCormiced., The Reasons of Art. University of Ottaw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