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in Bukchon-streetscape - Focusing on the Samchung-dong 35, Gahoe-dong 31, Gahoe-dong 11 -

서울북촌 가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 삼청동 35번지, 가회동 31, 11번지를 중심으로 -

  • Kim, Dong-Cha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 Kim, Shin-Wo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 Kim, Mi-Ra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김동찬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 김신원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 김미래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oretical reviews of streetscape and to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properties and preference of streetscape in Bukchon around Gahoe-dong which is a dense Hanok area. Therefore we analyzed a relation between visual quantities and preference intended Samcheong-dong 35 street, Gahoe-dong 31 street and Gahoe-dong 11 street the representative streetscape in Bukchon. Also we extracted common factors of images of the streetscape in Bukchon and figured out a relation between the visual image evaluation and the preference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t was the streetscape of Gahoe-dong 31 street which get more scores than any other streetscape in preference. And we figured out that the higher the ceiling and the visual quantities of planting the more preference. Second, streetscape in Bukchon was explained by 'aesthetics', 'amenity' and 'orderliness' in psychological view. And there was noticeable difference in aesthetics aspect between Gahoe-dong 31 street the highest preferred place and the Samcheong-dong 35 street the lowest preferred place. Thir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preference and factor scores about psychological variables, we figured out that the factor which explains aesthetics effects most on the preference.

본 연구는 북촌의 가로 중에서도 특히 한옥밀집지역인 가회동을 중심으로 가로경관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북촌 가로경관의 대한 시각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북촌의 가장 대표적인 경관 삼청동 35번지, 가회동 31번지, 11번지를 대상으로 가로경관의 시각량과 선호도의 관계를 기술분석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북촌가로경관의 이미지 특성의 공통요인을 추출하였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이미지평가와 선호도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는 첫째, 시각량과 선호도 관계에서 가회동 31번지의 가로경관이 가장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북촌가로경관의 천장면과 식재의 시각량이 높을수록 높은 선호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북촌의 가로경관은 '심미성', '쾌적성', '정연성'의 특성으로 설명되었으며, 가장 선호가 높게 나온 가회동 31번지와 낮게 나온 삼청동 35번지는 '심미성' 항목에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심리변수 요인에 대한 요인점수와 선호도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미성'을 설명하는 인자가 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체 경관과 조화를 이루어 지역적인 특성을 잘 살린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북촌의 가로 정비 방안이 체계적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연, 박수옥, 이명훈(2010). 인사동길에 대한 가로경관 중요도 및 만족도 평가.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5(8): 179-190.
  2. 김지혜, 이명훈, 전병혜(2009). 가로경관의 이미지 평가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 삼청동길을 대상으로,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4(1): 273-286.
  3. 송인호(2002). 북촌가꾸기 기본계획: 연구와 실천, 서울시정연구원 연구보고서.
  4. 송인호, 김영수, 조은주(2009). 서울 북촌한옥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북촌 가꾸기 사업에 따른 2002-2007한옥대수선사례를 대상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지. 18(2): 47-63.
  5. 우상기(2009). 보행자 중심의 도시가로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0(2): 273-284.
  6. 조준범(2003). 필지 분합을 통해본 서울 북촌 도시조직의 변화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2): 125-132.
  7. 고아라(2008). 가회동 31번지 '앙상블 보전'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도연(2008). 북촌 비주거용 한옥의 역사적 장소성을 위한 보전 및 활용방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도난주(2003). 전통한옥지역의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시 북촌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상희(2008). 도심내 문화공간의 경관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유진(2009). 인지특성을 고려한 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삼청동 길을 사례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안은실(2004). 서울 북촌지역의 건축적 특성을 통한 지역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미하(2007). 역사지구의 가로경관개선에 관한 연구: 북촌의 가로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해란(2009). 서울시 북촌의 경관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유규상(2011). 도시가로 보행자의 시간 인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차동성(2011). 이용자 측면의 북촌 한옥마을 이미지 영향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내국인과 외국인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한무엘(2009). 지역문화의 고유성 창출을 위한 가로경관에 대한 연구: 서울 북촌 가회동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