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다화(茶畵)에 나타나는 경관요소

The Landscape Components Illustrated in Tea-drinking Pictures of the Joseon Dynasty

  • 최미영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홍광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Choi, Mi-Young (Dept. of Landscape of th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 Hong, Kwang-Pyo (Dept. of Landscape Architecure, Dongguk Universrty)
  • 발행 : 2012.03.31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다화들을 살펴 그림 속의 다양한 장면들을 통해서 음다공간의 독특한 경관성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에 그려진 다화들은 다수 있으며, 그림을 그린 화가들도 대부분 알려져 있어 음다공간에 대한 당시 선비들의 취향과 자연성 및 장소성 등과 같은 경관요소를 알 수 있다. 한국에 차가 도입된 것은 삼국시대로 매우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다. 지금까지 차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전개되고, 연구결과도 많이 발표되었지만, 조경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조선시대에 그려진 다화가 한국인의 차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문화적 코드라는 전제하에 다화에 나타난 다양한 장면들을 분석하여 한국인들이 형성하였던 음다공간이 가진 경관요소의 특징을 밝혔는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조선시대 다화에서 나타난 구성요소를 건축요소, 수요소, 석요소, 식물요소로 나누었으며, 첫째, 건축요소는 일본의 경우처럼 전용다실 특정한 건물이나 특별히 정해진 장소가 없이 어느 곳에서나 행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와 연관된 건축물이나 정원이 없다는 것은 한국인이 가진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을 좋아하는 문화와 연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수요소는 자연스러운 수경관을 연출하고 있었다. 셋째, 석요소는 완상이나 실용의 목적을 겸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식물요소는 수목들이 기품 있는 형태미를 가지고 있으며, 수목들의 내재적인 상징성을 고려하여 식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다화를 통해 한국 사람들은 차를 마시는데 있어서 일본과 달리 다도라는 어떤 특별한 격식을 따지지 않았으며, 한정된 공간을 정하지 않고 앉은 자리가 음다공간이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look into the tea-drinking pictures of the Joseon Dynasty in order to find the unique landscape traits of tea-drinking spaces of the era. A number of tea-drinking pictures were drawn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in most cases, the names of the painters are stated as well. These factors make tea-drinking pictures a seminal source that illustrates the landscape traits of the last Dynasty of Korea. For those pictures contain the main components of landscape such as the tastes of 'Yangban'(noblemen), natural characters, and space traits. Since tea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 tea-drinking culture has a long history in the country.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about tea and many study results have been presented. Few research, however, have looked into tea culture from the point of landscape. Under the premise that tea-drinking pictures of Joseon Dynasty can be a cultural code that explains Korean tea-drinking culture, this thesis looked into those pictures from various angles and analyzed them in order to elucidate the attributes of scenery components of tea-drinking spaces that Koreans have forged and developed, and following results could be found. The Landscape components illustrated in tea-drinking pictures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he element of architecture, the element of water, stone and plants. First, for the element of architecture, it was found that tea-drinking took place in anywhere in Korea without specific tea-drinking buildings or gardens unlike the case of Japan. This has to do with traits of Koreans who were not bound by formality and truly loved nature. Second, for the element of water, water contributed to making harmonious landscape. Third, for the element of stone, it was clear that stone had a practical role in providing comfortable place for lying and enjoying tea-drinking and scenery. Fourth, plants made elegant figure in the landscape and were planted in accordance with their inner meaning. Tea-drinking pictures of the Joseon Dynasty elucidates that when it comes to tea-drinking, Koreans were not obsessed with a formality of tea-drinking, or a set of tea ceremony, which is profoundly different with Japanese, and Koreans did not put a limit on a place for tea-drinking because for Koreans any place they sat could be a great place for tea-drink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연미(2006). 韓.中.日차 그림(茶畵) 比較硏究.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성아(1996). 詩.畵를 통해 본 韓國 茶庭의 原形에 關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소영(2004). 소당 이재관의 회화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재임(2004). 조선시대 다화에 나타난 차 문화 연구. 한국다회지. 10(2): 13-37.
  5. 박경자(2005). 조선시대 석가산 연구. 서울: 학연문화사. pp. 8-14.
  6. 박희성(1997). 정약용의 자연관과 다산초당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송희경(2008). 조선후기 아회도. 서울: 다할미디어. pp. 260-262.
  8.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서울: 수류산방. pp. 88-655.
  9. 이정아(2008). 김홍도.이인문의 작품을 통해 본 조선후기 차문화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정민(2011). 새로 쓰는 조선의 차문화. 서울: 김영사.
  11. 주명희(2010). 18.19세기 서울 문인지식인층의 고동서화 취미에 나타난 차문화.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하보숙(2008). 朝鮮朝 茶文化의 美意識에 관한 考察.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홍광표(2005). 한국 사찰(寺刹)의 다문화와 차경(茶景).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4): 94-103.
  14. 이랑(2010). 옛 그림 속 茶 이야기. 현대불교 제 767호.
  15. 木村三郞(1986). 茶之湯庭苑正流論考. 日本造園學會. 造園雜誌 49(4):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