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drinking Pictur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조선시대 다화(茶畵)에 나타나는 경관요소 (The Landscape Components Illustrated in Tea-drinking Pictures of the Joseon Dynasty)

  • 최미영;홍광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45
    • /
    • 2012
  •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다화들을 살펴 그림 속의 다양한 장면들을 통해서 음다공간의 독특한 경관성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에 그려진 다화들은 다수 있으며, 그림을 그린 화가들도 대부분 알려져 있어 음다공간에 대한 당시 선비들의 취향과 자연성 및 장소성 등과 같은 경관요소를 알 수 있다. 한국에 차가 도입된 것은 삼국시대로 매우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다. 지금까지 차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전개되고, 연구결과도 많이 발표되었지만, 조경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조선시대에 그려진 다화가 한국인의 차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문화적 코드라는 전제하에 다화에 나타난 다양한 장면들을 분석하여 한국인들이 형성하였던 음다공간이 가진 경관요소의 특징을 밝혔는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조선시대 다화에서 나타난 구성요소를 건축요소, 수요소, 석요소, 식물요소로 나누었으며, 첫째, 건축요소는 일본의 경우처럼 전용다실 특정한 건물이나 특별히 정해진 장소가 없이 어느 곳에서나 행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와 연관된 건축물이나 정원이 없다는 것은 한국인이 가진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을 좋아하는 문화와 연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수요소는 자연스러운 수경관을 연출하고 있었다. 셋째, 석요소는 완상이나 실용의 목적을 겸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식물요소는 수목들이 기품 있는 형태미를 가지고 있으며, 수목들의 내재적인 상징성을 고려하여 식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다화를 통해 한국 사람들은 차를 마시는데 있어서 일본과 달리 다도라는 어떤 특별한 격식을 따지지 않았으며, 한정된 공간을 정하지 않고 앉은 자리가 음다공간이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교복착용 여부와 청소년 비행행동간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Uniform and Juvenile Delinquency)

  • 이인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5-96
    • /
    • 1992
  • The purop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whether the juvenile delinquency could be decreased by the revival of school uniform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difference and frequency of juvenile delinquency between uniformed students and none·uniformed students were surveyed. In addition, the relation among the students, social classes, receiving attitude for the sub-culture, with juvenile delinquency were also surveyed. For this study, 728 high school students were' studied with a questionaire. They were 328 ' uniformed students from 6 schools and 400 none-uniformed students from other 6 school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order of juvenile delinquency is resistance to their parents and teachers, cunning in examination, drinking, watching shameful video tapes, possession of dirty books and pictures, gambling, entering to thea rooms, billiard rooms, the prohibited cinema houses aild drinking houses, and smoking. The students' delinquency was chiefly misdeed against the public order and social position and most of them were without any victims. And there were no misdeed such as drug addiction, robbrry and bodily harm. 2. The difference of juvenile delinquency between uniformed and non·uniformed schools was not found. 3. More nisdeed were occurred when they were without uniform; especially in cases of entering to shameful video shops, drinking houses, tea rooms and billiard rooms. 4.The logical propriety that the juvenile delinquency would be decreased by putting on uniform to all students is scarce, because Ell misdeed were occurred when they were without uniform after school. Uniform were worn only when they go to school. 5. A negative effect between student's affection toward their parents and schools, and juvenile deliquency was found. Much they love their parents and schools, less misdeed occurred. 6. Positive effect between sub·culture and juvenile delinquency was found. The friendship with delinquent students gives a great influence to juvenile delinquen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