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mbolism and Formal Embodiment Lighted in Seokgasan of Seong-im in the Early Joseon

조선 초 성임의 석가산에 조명된 상징성과 형태적 구현

  • Yoon, Young-J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oon, Young-Hwa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윤영조 (강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윤영활 (강원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Seokgasan(石假山) is originated in Goryeo, is a Korean traditional technique handed down to Joseon and Seokgasan is the Korean creative culture of gardening by artificial stones, which replicates small artificial mountain of natural landscape in the garde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Seokgasan made by Seong-im(成任), who was a civil minister in Joseon and lived from 1421 to 1484, in his residence located in Inwang Mountain, Hanyang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meaning and symbol of Seokgasan made by Seong-im on the base of the relative old literatures and embody its shape a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on Seokgasan of Seong-im, it can find out some facts as follows; Seokgasan of Seong-im in the early Joseon succeeded to the structural form of Seokgasan of the artificial rock mountain type connected pond, which was made-up firstly in the garden of the Palace of Manwoldae in the Middle Goryeo, and it was called firstly as 'Seokgasan' in the garden of Seong-im's house. Seong-im's Seokgasan in the early Joseon had more concentrated philosophical meanings, including the idea of taoist immortal, than those in the Goryeo dynasty and was be emblematic of an imaginative space. Also there were lots of gardens modeled on the famous mountains and famous lakes in China much the same as the Goryeo dynasty. In addition, there was an exceptional purpose for building Seokgasan which could not be found in the Goryeo dynasty. That was practicality for emotional stability and cure. Seong-im's Seokgasan is record-relics with high value of landscape architecture history, which can identify its historical meanings, shapes and structural frames succeeded from the Goryeo dynasty.

석가산(石假山)은 고려시대 창안되어 조선시대로 전승, 발달된 한국전통기법으로 산수자연의 풍치를 축경적으로 재현한 한국의 창조적 석정문화(石庭文化)이다. 이 연구는 조선 초 문신인 성임(成任, 1421-1484)의 한양 인왕산 저택에 조영한 석가산을 대상으로 관련 옛 문헌을 근거로 하여 성임이 조영한 석가산의 역사적 의미와 상징성 그리고 형상과 구조를 구현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성임의 석가산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구명할 수 있었다. 조선 초 성임의 석가산은 고려 중기 만월대 본궐 뜰에 처음 조성한 지변형(池邊形) 석가산의 구조적 형태를 계승하고 있고, 석가산이란 명칭도 성임의 저택 원림에서 처음 '석가산'이라고 명명되고 있다. 그리고 조선 초 성임의 석가산에는 신선사상 등 여러 철리적(哲理的) 함의(含意)가 고려시대보다 더 응축되어 상상의 공간으로 표상되고 있으며, 중국의 여러 명산명호의 모사가 고려조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고려시대 보이지 않던 석가산 조영목적에 정서적인 안정과 치유를 위한 실용성이 나타나고 있다. 성임의 석가산은 고려시대 석가산의 계승적 차원의 역사적 의미와 형상과 구조적 틀을 확인 해 볼 수 있는 조경사적 가치가 높은 기록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2003). 고농서국역총서4. 증보산림경제1(국역). 유중림 저. 서울: 민후아트.
  2. 민족문화추진회(1989). 사숙재집(영인본). 강희맹 저. 한국문집총간.
  3. 민족문화추진회(1989). 사가집(영인본). 서거정 저. 한국문집총간.
  4. 민족문화추진회(1989). 삼탄집(영인본) 이승소 저. 한국문집총간.
  5. 민족문화추진회(1989). 식우집(영인본). 김수온 저. 한국문집총간.
  6. 민족문화추진회(1989). 이요정집(영인본). 신용개 저. 한국문집총간.
  7. 민족문화추진회(1989). 점필재집(영인본). 김종직 저. 한국문집총간.
  8. 민족문화추진회(1989). 허백당집(영인본). 성현 저. 한국문집총간
  9. 민족문화추진회(1996). 해동역사(영인본). 한치윤 저. 한국문집총간.
  10. 민족문화추진회(1997). 나재집(영인본). 채수 저. 한국문집총간.
  11. 박경자(2001). 조선시대 석가산 연구. 문화재 제 14호: 61-79. 국립문화재연구소.
  12. 박경자(2008). 조선시대 석가산 연구. 서울: 학연문화사.
  13. 보경문화사(1983) 임원경제지(영인본). 서유구 저. 서울: 보경문화사
  14. 아세아문화사(1976) 용재집(영인본). 이행 저. 서울: 아세아문화사.
  15. 이종묵(2005). 한국 한문학 연구의 새 지평. 집안으로 끌어들인 산수. 서울: 소명출판사. pp. 387-497.
  16.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1. 서울: 휴머니스트. pp. 45-47.
  17. 윤영조, 윤영활(2010). 한국 전통석가산의 유형과 역사적 변천. 한국조경학회지. 38(3): 83-97.
  18. 윤영활(2009) 고려시대 석가산의 시원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0-18.
  19. 한국정신문화원(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2. 서울: 웅진출판사.
  20. 해동명적(영인본). 이제현 등서. 간사지미상. 국립중앙도서관 古朝 82 p. 102.
  21. http//cafe.naver.com/mountainchina/48.
  22. http://ko.wipedia.org/wiki
  23. http//100.naver.com/100.nhn?docid=51460
  24. http//100.naver.com/100.nhn?docid=182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