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 Studies on the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Sajikdan

서울 사직단(社稷壇)의 입지(立地)와 공간구성특성(空間構成特性)에 관한 기초연구(基礎硏究)

  • Choi, Seung-Sik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Shim, Woo-Kyung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Korea University) ;
  • Yoo, Jong-Ho (Sajikdan Offic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 Jeon, Hye-Won (Jongmyo Offic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 Choi, Jong-Hee (Division of Environmental Design & Urban Horticultural Science, Paichai University)
  • 최승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
  •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 유종호 (문화재청 사직단관리소) ;
  • 전혜원 (문화재청 종묘관리소) ;
  • 최종희 (배재대학교 생명환경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i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the Seoul Sajikdan that has significance as one of national ceremonial place in Joseon Dynasty to understand its landscap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o do this, we studied in two ways; review of historical documents and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s and photographing, research materials about the form of physical structure. Through these way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construction, Sajikdan took fundamental shape in Tae-jong 16 year(1416), since then it had been changed during Imjin War, reign of Suk-jong, and Japanese Colonial Era. It took present shape through restoration of Seoul Sajikdan in 1998. Second, in case of location, Sajikdan abuts onto southeastern range of Mt. Inwang that is Wubaekho(右白虎) of inner four mountain(內四山) of Hanyang, and it has a topography of west-high-east-low type. Also its territory is up to Maedong elementary school, the office of Sajik-dong, and a Dangun shrine. Third, in case of spatial organization, Sadan and Jikdan are in harmony of Yin-Yang(陰陽) and arranged in the center. As making Yumun and Sinmun(神門) at the center of four side of Yuwon and Juwon(周垣), they show organization of the Five Elements. And subsidiary buildings are thought that its arrangement was considered functional similarity and use convenience. Finally, in case of spatial component, Danyu structures are Sadan and Jikdan that hold a Sajikdaeje(社稷大祭), Yuwon that surround two altars, and Juwon that is outer fence of Yuwon. Architectures are Sajikdan Jeongmun, Sinsil, and Anhyangcheong. Also Prunus yedoensis, Zelkova serrata, Acer palmatum, are planted, but Pinus densiflora was main species and there needs to be replanted suitably to the site.

본 연구는 조선시대 국가대사 중 하나인 사직대제를 행하는 장소로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서울 사직단의 조경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능론적 단계로 조영실제, 입지, 공간구성 특성을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로 구분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영의 경우 태종16년(1416) 사직단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후 임란, 숙종, 일제강점기 때 공간구성의 변화를 거쳤으며, 복원사업 (1988)이 이루어져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입지의 경우 사직단은 한양의 내사산(內四山) 중 우백호(右白虎)인 인왕산의 남동쪽으로 뻗어내려 온 산맥과 연접하며, 서북쪽이 높고 동남쪽이 낮은 서고동저의 지형을 보이며, 매동초등학교, 사직주민센터, 단군성전 등이 공간을 한정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공간구성의 경우 중앙에 사단과 직단이 음양을 이루어 배치되고, 유원과 주원(周垣)의 사면에 유문과 신문(神門)을 두어 중심과 사방위를 가진 오행적 구성을 보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사직단의 부속건물들은 기능의 유사성과 이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배치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구성요소의 경우 단유시설로는 사직대제(社稷大祭)를 봉행 시 제사를 올리는 사단과 직단과 두 단을 위요하는 유원, 유원 밖의 담인 주원 등이, 건조물로는 사직단 대문, 신실, 안향청 등이, 조경수목으로는 소나무가 주수종이었으나, 왕벚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등 일반적인 조경수가 식재되어 정비가 요구된다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2.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
  3.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4.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5. 고려사. 국사편찬위원회 DB.
  6. 국악전집 제20집 아악보(2009). 국립국악원.
  7. 김영모, 임의제(2001). 조선시대 종묘와 사직의 구성관념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9(4): 1-13.
  8. 김웅호(2008). 조선 태조대 단묘의 건립과 운영. 인천학연구. 8: 1-32.
  9. 문화재청(2005). 사직단 정문 실측조사보고서. 중요목조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제43호.
  10. 사직대제보존회(2009). 사직대제 전수교육교재.
  11. 삼국사기. 국사편찬위원회 DB.
  12. 삼재도회 영인본(2004). 王圻. 민속원.
  13. 서울특별시(1985). 서울사직단 고증조사 및 복원기본계획 보고서.
  14. 안계복(2008). 경산 사직단 유적 정비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8-16.
  15. 장지연(2011). 조선 초 중앙 사직단 단제의 형성과 그 성격. 서울학연구. 43: 103-148.
  16. 채미하(2003). 신라 선덕왕대 사직단 설치와 사전의 정비. 한국고대사 연구. 30: 113-142.
  17. 한형주(2000). 조선 초기 국가제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