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pectiv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 of a Traditional Ecological Landscape as Dangsan Forest and Dangsan Ritual Place in Seoseong-ri, Wando-gun

완도군 서성리 당산숲.당산제 공간의 전통생태경관적 특성 및 의미 고찰

  • Choi, Jai-U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Dong-Yeob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Mi-Heui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Jo, Lock-Wha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최재웅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동엽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김미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조록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raditional village forests called Dangsan forests and Bibo forests in Korea represent an unique cultural landscape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Feng-shui forest in China, Satoyama and Shinto shrine forest in Japan are recognized internationally as 'traditional ecological landscapes'. Dangsan forests and Bibo forests have been preserved through generations in the villages, and are no less valuable than Feng-shui forest, and Satoyama. However, the names of Dangsan forest and Bibo forest have not been well recognized worldwide. Dangsan forest in Seoseong-ri, Wando-gun is located on a mountain slope at a riparian forest. It consists of an evergreen broadleaf forest and Carpinus laxiflora forest. The characteristics of Dangsan forest in Seoseong-ri could be found at 10 sacrifice offering places. Two Dangsan trees on the coastal area are included in the sacrifice offering places. Cultural heritage can retain their value when they are fully sustained. Additional construction, demolition or modification should be banned. Furthermore, all means must be taken to facilitate the preservation of monuments and the value and meanings pertaining to them should not be distorted. In a respect of authenticity, Dangsan forest in Seoseong-ri, Wando-gun seems to have original Dangsan culture based on animism with a philosophic background, where a religious service for the mountain god is held at rock of mountain god, and Dangsan ritual is held at shrine on January 8 at 4:00 am by lunar calendar. Relating to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in international discussion, the importance is that whether there is sustainability on the right to the enjoyment of cultural heritage. Dangsan forest in Seoseong-ri is leaved alone to the public. The forest need a social mechanism to support the recovery of deformed shrine and to heighten public awareness of Dangsan forest in order to claim the value as a unique traditional ecological landscape in Korea.

전통마을숲인 당산숲 비보숲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문화경관(traditional cultural landscape)이며, 국가적문화자산이다. 중국의 feng-shui forest(풍수림, 風水林), 일본의 satoyama(里山), shinto shrine forest(신사림, 神祠林) 등은 '전통생태지식'(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으로서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중국, 일본이 많은 연구 축적과 노력을 통해 유지 관리하고 있는 이러한 전통문화경관은 세계로부터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매력있는 관광자원으로 연결되고 있다. 마을주민들이 수백 년 간 대(代)를 이어 보전 관리해 온 한국의 전통마을숲 특히, 당산숲은 feng-shui forest와 satoyama에 필적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일반 시민들이 당산숲 비보숲이라는 이름과 그 실상을 잘 인식하고, 반드시 보전 관리 활용되어야 할 훌륭한 문화유산으로 간직한다면 중국, 일본의 예와 같이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완도군 서성리 당산숲은 마을 위쪽 산이 시작되는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계류 옆에 위치한 수변림으로서 상록활엽수림과 서어나무 군락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성리 당산숲 공간의 특징은 당산제 후에 샘물, 당산나무 등 10곳에서 지내는 헌식제 공간에서 찾아볼 수 있다. 헌식제를 지내는 10곳 중 2곳은 해안가 쪽에 있는 당산나무로서, 해안 지역에 위치한 전통마을숲의 유형 측면에서 넓게 보면, 당산숲이 두 개 있는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전통문화유산이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새로운 축조, 파괴, 변형이 허용되어서는 안되고, 거기에 부여된 의미, 가치가 변질되지 않아야 한다는 진정성(authenticity) 측면에서 볼 때, 매년 음력 1월 8일 새벽 4시에 정확하게 시간을 맞추어 산신바위에서의 산신제 및 당집에서 당산제를 지내고, 당산제를 지낸 후 마을의 10곳을 찾아 헌식제를 지내는 완도군 서성리의 당산숲은 물활론(物活論, animism)을 철학적 기반으로 하는 우리나라 당산문화의 원형(原形)을 간직하고 있는 곳으로 판단된다. 문화유산의 보전 관리와 관련한 국제적 논의에서 중요시 하는 것이 문화유산 향유권의 지속가능성 여부이다. 그 존재가 부각되지 않은 채 방치되어 있는 실정의 서성리 당산숲 공간이 한국 고유 전통생태경관으로서의 가치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변형된 당집의 복구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 메커니즘과 당산숲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 방광자, 이승제, 김학범(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 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63-74.
  2. 국립민속박물관(2007). 한국의 마을신앙(上.下). 국립민속박물관 보고서.
  3. 김종원, 임정철(2007). 전통 마을숲과 식물사회학. 계명대학교 한국학 연구 총서20 마을숲과 참살이. pp. 133-188.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4. 김학범, 장동수(1994). 마을숲: 韓國傳統部落의 堂숲과 水口막이. 서울: 열화당.
  5. 김효정, 김태식, 이재근, 서정영, 정근(2008), 천연기념물 및 시.도 기념물 노거수 실태 비교를 통한 지정기준 설정 기초연구. 2008년도 한국전통조경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 자료집. pp. 78-82.
  6. 남연화, 윤영활(2002). 시대적 배경을 통해 본 마을 숲의 변천과 보존: 성남리 성황림 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0(2): 23-32.
  7. 농림수산식품부(2011a). 농촌다움 제고를 위한 五感경관 만들기. 농림수산식품부 보도자료(2011. 12. 23).
  8. 농림수산식품부(2011b). 농어촌 고유의 자원을 살려 색깔 있는 마을 만든다. 농림수산식품부 보도자료(2012. 1. 19).
  9. 농촌진흥청(2010). 스토리가 있는 우리 마을 당산숲. 농촌진흥청 간행물.
  10. 문화재청(2003). 천연기념물 백서. 문화재청 간행물.
  11. 문화재청(2005).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III: 전라남도 도서지역. 문화재청 보고서.
  12. 문화재청(2007). 영양 주사골의 시무나무와 비술나무 숲 천연기념물 지정. 문화재청 보도자료(2007. 2. 21).
  13. 문화재청(2008). 천연기념물과 명승 지정명칭,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일제 정비. 문화재청 보도자료(2008. 4. 15).
  14.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2008). 부산 구포동 팽나무 명칭 및 유형 변경. 천연기념물분과위원회 제10차 회의 내용 및 결과(2008. 11. 12).
  15. 문화재청(2009), 전통 마을숲 보존관리 지침. 문화재청 훈령 제189호.
  16. 문화재청(2010), 문화재청, 생생(生生)사업으로 문화재를 살린다-문화재 활용 우수사업 20건 선정, 5억원 지원-, 문화재청 보도자료(3. 16).
  17. 문화재청(2011a), 민속마을 지정 다양화 워크숍 개최, 문화재청 보도자료(11. 9).
  18. 문화재청(2011b), 세계유산 역사마을 하회.양동, 민속마을 장인이 전통의 맥을 지켜 나간다, 문화재청 보도자료(12. 7).
  19. 박재철(1998). 전북 농어촌 지역 마을숲과 해안숲의 비교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6(2): 133-142.
  20. 신상섭(2004). 전통정주지의 환경적 건전성과 지속성에 관한 기초연구: 외암마을과 낙안읍성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27-38.
  21. 신상섭, 노재현, 박재철, 허준, 김홍균, 정명철, 유기종(2008). 호남의 아름다운 마을숲. 우석대학교 자원개발 및 환경계획연구소.조경도시디자 인학과 보고서.
  22. 안계복(2005). 풍류의 정원, 樓.亭.臺.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50-157.
  23. 완도문화원(2008). 청해진골 향토사감 모음. 완도문화원 간행물.
  24. 완도문화원(2009). 莞島郡所在堂祭.갯제 이야기. 완도문화원 간행물.
  25. 윤영활, 김학범, 장동수, 김정태(1998). 강원도 동해안지역 정주지 구성요소로서 풍숲(風藪)의 경관과 그 효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1): 59-81.
  26. 이상해(2012), 세계문화유산 등재 요건과 한국의 불교사찰. 동국대학교 사찰조경연구소 학술회의-한국사찰의 세계문화유산등재, 무엇이 필요한가-자료집. pp. 1-13.
  27. 이원열, 서호석, 이대섭, 조현제(1992). 전통생활환경보전림의 실태 및 보존대책. 임업연구원보고서. pp. 25-33.
  28. 朝鮮總督府(1919). 朝鮮巨樹老樹名木誌.
  29. 朝鮮總督府林業試驗場(1938). 朝鮮の林藪.
  30. 장동수, 김학범(1995). 韓國 傳統都市숲의 變遷特性과 要因에 관한 硏究.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3(1): 1-11.
  31. 주강현, 장정룡(1993). 朝鮮땅 마을지킴이. 서울: 열화당.
  32. 최원석(2004). 한국의 전통적 경관 보완론(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편, "한국의 전통생태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pp. 76-103.
  33. 최재웅, 김동엽(2005).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4(2): 31-55.
  34. 최재웅, 김동엽(2006). 농촌 문화경관 관련시책과 마을숲.당산숲의 위상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3): 41-58.
  35. 최재웅, 김동엽(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35-47.
  36. 최재웅, 김동엽, 김미희(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비보숲의 형태지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30-38.
  37. 최재웅, 김동엽(2010).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문화재. 43(1): 28-55.
  38. FAO(2010).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A Legacy for the Future, FAO 자료집.
  39. IALE(2011). Program and Information Handbook. The 8th Worl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Landscape Ecology,
  40. UNEP(2010). PARIS DECLARATION ON THE SATOYAMA INITIATIVE, UNEP 생물다양성협약 14차 회의 보고서.
  41. http://www.cha.go.kr(문화재청 홈페이지).
  42. http://www.culturecontent.com(문화콘텐츠닷컴).
  43.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69226. html(2006년 인터넷 한겨레신문-민족문화상징 100: 당숲)
  44. http://www.international.icomos.org/charters/nara_e.htm(진정성에 관한 Nara 문서).
  45. http://www.international.icomos.org/charters/venice_e.htm(베니스 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