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Participation Level of the Students of the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치위생학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학습참여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targeted students of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at 15 universities, which are operating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This study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students of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correlation was carried out. To verify influence of each variable upon participation leve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articipation motive, expectation for educational institu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were found to have influence upon participation level. Based on the resul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articipation motive of the students and to offer satisfaction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enhancing the expectation for education for educational institution. Especially, given striving to enhance the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the satisfaction with effect on advanced major courses, the university needs to make efforts to increase stature a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본 연구는 치위생학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각 변인들간의 상관관계와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교육만족도가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2010년 전국 전문대학에서 현재 치위생학 전공심화과정을 설치운영하고 있는 15개 대학의 치위생학 전공심화과정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치위생학 전공심화과정 학습자들의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교육만족도, 학습참여도 간에 정적상관이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학습자들의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교육만족도가 학습참여도에 모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치위생학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교육만족도가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교육만족도(t=5.101, p<.001), 참여 동기 (t=3.103, p<.01), 교육기관 기대(t=2.783, p<.01)순으로 학습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학습참여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은 교육만족도의 효과요인(t=2.754, p<.01), 교육기관 기대의 행정지원(t=2.246, p<.05), 교육만족도 교수요인 (t=2.417, p<.05), 참여 동기의 학습지향형(t=2.203, p<.05)순으로 학습참여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교육만족도가 학습참여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참여를 효율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참여 동기를 정확히 파악하여 학습자의 요구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교육기관 기대에 맞는 학교환경과 행정지원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교수의 만족도와 전공심화과정에 대한 효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치위생학 전공심화과정을 통해 대학은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호동: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한 직업교육체제의 완성. 교육마당 21(4): 2001.
  2. 유순규: 전문대학 계속교육의 필요성 및 전공심화과정 운영실태.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 운영방안 공청회 자료. 서울: 한국전문대학교육연구학회, 2006.
  3. 이주복 등: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의 발전방안.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1.
  4. 양한주 등: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운영실태 평가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8.
  5. 김호동 등: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 운영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6.
  6. 이숙원: 한국 대학부설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 결정요인 분석[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2.
  7. 이숙원: 대학평생교육 참여지속 과정에 따른 학습자와 교육기관 요인의 영향력 비교. 평생교육학연구 9(1): 117-148, 2003.
  8. 한승진: 대학평생교육학습자의 학습참여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아산, 2005.
  9. Houle CD: The inquiring mind: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1.
  10. Grotelueschen AD: Quality Assurance in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Atlanta: University of Georgia. 1986.
  11. 김애련: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 인식 연구[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4.
  12. 박미경: 지적사회복지관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와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1.
  13. 한은숙, 김종두: 사범대학생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0(3): 313-335. 2003.
  14. Jackson SA, Marsh 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on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8(2): 111-131, 1996.
  15. 김진호: 성인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분석[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3.
  16. 임숙경: 여성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부산, 2008.
  17. 김진호: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 영향요인 구조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4): 275-302, 2005.
  18. 이지혜: 메타학습을 통해서 본 성인의 학습자로서의 성장과정. 평생교육학연구 6(2): 23-46,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