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Bioethical Perception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Health Students

치위생(학)과와 비보건계 학생들의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비교

  • Ahn, Yong-Soon (Dept. of Dental Hygiene, Eulji University) ;
  • Kim, Myoung-Hee (Dept. of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n, Ji-Hyoung (Dept. of Dental Hygiene, Suwon Science College)
  • 안용순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김명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통계연구실) ;
  • 한지형 (수원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is study was practiced to provide basic data which is necessary for ethical educa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by comparing the bioethical perception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health students.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for 778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in Gyeonggi-Do province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ith SAS 9.2.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tastistic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ioethical perception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health students. 2. Students who have family member in medical field were more conscious of bioethics than students who doesn't. According to religion, the protestants were most conscious and no-religions scored the lowest. 3. In case of dental hygiene students, female was more conscious. According to religion,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Catholic and Buddhism, the Catholic and No-religion. 4.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more strongly opposed to let infant with fatal congenital disease die than non-health students. 5.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more strongly opposed to rejecting organ transplant, trade in human organs and using alternative organ of animal. Also, they estimated higher the possibility of medical irrationalities due to trade in human organs. From these results, a curriculum for bioethical education i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hould be developed to form and improve the more desirable bioethical percep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와 비보건계 학생들의 생명윤리의식 비교를 통해 치위생(학)과 생명윤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기지역 2개 대학의 77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AS 9.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생명윤리의식 평균이 88.49로 비보건계 학생들에 비해 약 0.89 점이 높았지만,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전체 학생의 경우 가족 중 의료관련 직종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에 비해 생명윤리의식이 높았고, 종교유형에 따라 개신교가 가장 높았으며 종교 없음이 가장 낮았다. 3. 치위생(학)과 학생의 생명윤리의식의 경우 여자가 높았으며, 종교유형에 따라 천주교와 불교, 천주교와 종교 없음에서 차이가 있었다. 4.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비보건계 보다 치명적 선천적질병아동을 사망하도록 내버려두는 것에 더 많이 반대하였다. 5.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비보건계 보다 장기이식거부, 장기매매, 동물 대체 장기 사용에 더 많이 반대 하였고 장기 매매로 인한 의료 부조리 가능성이 더 높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 국민의 구강건강을 다루게 되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좀 더 바람직한 생명윤리관 형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치위생(학)과의 생명윤리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장무: 의학의 발달과 생명윤리. 한국의학교육학회지 5(1): 27-30, 1993.
  2. 강혁준: 생명에 대한 윤리 신학적 고찰[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6.
  3. 한성숙: 간호 윤리 정립의 필요성. 간호학회지 33(2): 19-27, 1994.
  4. 정희자: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갈등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1995.
  5.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치과위생사 직업윤리, 1판, 군자출판사, 서울, pp.24-25, 2009.
  6. Darby ML, Walsh MM: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3rd ed, Saunders, St. Louis, pp.5-8, 2010.
  7. Susan ID et al.: Dental hygiene students' attitudes toward ethical dilemmas in Practice. Journal of Dental Education 73(3): 345-347, 2009.
  8. 김윤정 등: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윤리의식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5(1): 1-5, 2005.
  9. Gairola G, Skaff KO: Ethical reasoning in dental hygiene practice. Dent. Hyg. 57: 16-20, 1983.
  10. 이규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연구[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2002.
  11. 최창섭: 강릉시내 초등학교 교사들의 생명윤리의식[석사학위논문].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강릉, 2002.
  12. 이순희, 김숙영, 김정아: 간호학생의 간호 관련 특성과 윤리적가치관. 간호행정학회지 13(2): 145-155, 2007.
  13. 안혜영 등: 의료계열 대학생들의 생명윤리의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98-107, 2008.
  14. 이선미, 강부월, 김창희: 치과위생사의 윤리적 딜레마, 치위생과학회지, 10(4):259-264 , 2010.
  15. 김윤정, 최정미: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의 생명의료 윤리의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7(4): 433-439, 2007.
  16. 한성숙, 안성희: 간호 윤리 교육이 간호 학생의 도덕적 사고와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1(2): 268-284, 1995.
  17. Self, DJ, Olivarez M, Baldwin DC: Clarifying the relationship of medical education and moral development. Acad Med 73(5): 517-520, 1998. https://doi.org/10.1097/00001888-199805000-00018
  18. Homenko DF: Use of an inventory for ethical awareness in dental hygiene. J Am Coll Dent 69(1): 31-38, 2002.
  19. Bebeau MJ, Tomas SJ: The impact of a dental ethics curriculum on moral reasoning. J Dent Edu 65: 12-14, 1994.
  20.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의료윤리학. 2판, 계축문화사, 서울, pp. 83-85,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