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Policies

유아교육정책과 보육정책의 연구동향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jor journ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 an effort to determin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policies between 1995 and 2011. One hundred twenty-six papers included in journals that registered with Korea Research Foundation were analyzed to keep track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policies. A research trend in another area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policies were linked to each other in a broad sense was explored as well. Specifically, the year of the papers, their research themes, purposes, data gathering methods, form of research, number of researchers and financial assistance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lot of papers were presented in and after the mid-2000s, and that the most dynamic research efforts were channeled into childcare policies. As for research theme, a wide variety of themes were covered every year. The most dominant type of research was literature review, and the most common purpose of the studies was to examine the state of national policies. Literature analysis was the most prevailing data collection methods, and the most dominant form of research was case studies. In terms of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financial aid, the largest number of the papers was conducted by individuals and without any financial assistance.

본 연구는 유아교육 및 보육과 관련한 주요 학회지를 중심으로 1995년부터 2011년까지 발간된 유아교육정책과 보육정책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진흥재단에 등재된 학회지 논문 총 126편을 대상으로 유아교육정책과 보육정책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유아교육정책 영역, 보육정책 영역, 유아교육정책과 보육정책이 포괄적으로 관련된 영역 등 세 가지 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연도, 연구주제, 연구유형, 연구목적, 자료수집 방법, 연구형태, 연구자 수, 연구비 지원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한 다수의 논문이 발간되었으며, 특히 보육 분야의 정책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연구주제는 연도별로 다양한 주제의 논문이 발간되었고, 연구유형은 문헌연구, 연구목적은 정책의 현황 및 실태 분석, 자료수집 방법은 문헌고찰, 연구형태는 사례 연구, 연구자 수는 개인연구, 연구비 지원은 비지원을 통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교육정책과 보육정책에 대한 전반적 방향에 대해 논의한 후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미(2000). 유아교사관련 학위논문 경향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아교육 선진화를 위한 종합적인 발전 방안 마련-5개 정책분야, 25개 핵심과제 선정.추진.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3. 김미경(1998). 아동발달에 관한 연구동향에 대한 토론. 중앙유아교육학회 제5회 유아교육학술대회, 79-84.
  4. 김민정(2004). 한국과 일본의 유아체육 연구동향과 특징에 관한 연구. 발육발달, 12(1), 61-70.
  5. 김선영, 신나리, 김향은(2007). 보육(Child Care in Korea: A Look to the Future). 아동학회지, 30(6), 1-13.
  6. 김영실, 이경화, 김소양(2004). 유아 언어교육의 연구동향. 유아교육연구, 24(7), 205-225.
  7. 김영옥(2003). 유아교육연구의 동향 및 과제. 한국교육학회소식지, 237, 5-10.
  8. 김영옥, 최인화(2011).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81-203.
  9. 김지영(2006). 유아 수학평가 도구를 사용한 수학 연구의 동향 분석: 1981년 이후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6(1). 233-252.
  10. 김춘희, 남기원, 우영숙, 최순덕(2011).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569-597.
  11. 김호인(1997). 한국 유아교육과 영유아 보육정책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나 정, 박은실(2003). 유아교육과 보육정책에 대한 전문가 의견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7(4), 95-117.
  13. 노기호(2008). 현대 교육복지정책의 동향과 법제의 방향. 법과정책연구, 8(2), 623-650.
  14. 노영희(2009). 유아의 내러티브의 연구동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4(1), 303-330.
  15. 마송희(2007). 유아영어교육 연구동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85-208.
  16. 마송희(2011). 통합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227-247.
  17. 서정화(1997). 한국교육행정학회의 활동과 기여. 교육행정학연구, 15(3), 15-26.
  18. 서정화(2008). 한국교육행정학회의 역할과 기여에 관한 고찰. 교육행정학연구, 26(1), 119-139.
  19. 성인지(2008). 유아 음악교수법의 연구동향 분석.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2(1), 123-143.
  20. 신현석, 박균열, 전상훈, 주휘정, 신원학(2009). 한국 교육행정학의 연구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7(4). 23-56.
  21. 유수경, 황해익(2009). 유아교육분야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293-314.
  22. 윤진주(2007). 유아 언어능력 평가연구의 동향분석;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677-690.
  23. 이광욱(2006). 유아체육의 학문적 연구동향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0(4), 99-109.
  24. 이대균, 백경순(2001). 1990년 전.후반기 유아교육관련 학위논문의 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6(3), 219-234.
  25. 이대균, 백경순(2007). 유아교육기관 기관평가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1(3), 293-309.
  26. 이대균, 백경순, 김현수(2006). 열린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1(3), 169-188.
  27. 이대균, 백경순, 정명자(2006). 유아영어교육의 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0(2), 95-120.
  28. 이문옥, 이지영, 이방실(2006). 유아 언어교육관련 연구동향 분석: 1996-2005. 유아교육연구, 26(5), 401-424.
  29. 이상오(2005). 평생학습사회론: 교육복지의 차원. 교육과학사.
  30. 이소현(2005). 장애 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성 고찰. 유아교육연구, 25(6), 277-305.
  31. 이순란(2004). 교육정책의 성과에 관한 연구: 국민의 정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2. 이영주(1996). 유아수학교육 논문의 경향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이일용(2003).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연구방법 측면. 교육행정학연구, 21(1), 355-373.
  34. 이정화(2002). 유아들의 혼잣말에 관한 이론적 고찰: 혼잣말의 자기조절기능에 관한 제 견해 및 연구동향탐색. 유아교육연구, 22(1), 143-161.
  35. 이종승(1989). 교육연구법. 배영사.
  36. 이종재(1996). 교육행정연구법. 한국교육행정학회. 도서출판 하우.
  37. 이종재(2002).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이론 수립의 현황과 발전좌표. 교육학의 학문적 이론 수립의 현황과 발전좌표. 한국교육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15-156.
  38. 이종희, 조성연, 김선영(2005). 유아교육 관련 학술지에 나타난 연구방법 분석. 한국유아교육학의 이해, 806-829.
  39. 장효승(2003). 멀티미디어를 주제로 한 유아 연구의 동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정계숙, 김경숙(1998).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에 관한 연구동향: 미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논총, 8, 87-109.
  41. 정설희, 임양금, 안진경(2009). 유아 미술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1998-2008년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297-319.
  42. 정설희, 류은주, 안연경(2010).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333-352.
  43. 정성수(2008). 한국 교육정책학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6(4), 191-216.
  44. 정진환, 이일주, 이석경(1993). 한국교육학회 교육행정연구회의 업적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11(3). 한국교육행정학회.
  45. 조은경(1993). 유아교육에 관한 학위논문의 경향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조희숙(1998). 아동발달에 관한 연구 동향. 중앙유아교육학회 제5회 유아교육학술대회 발표자료, 51-78.
  47. 주삼환(1987). 교육행정학의 과제: 한국교육행정학의 연구방향. 교육행정학 연구, 5(1), 40-58.
  48. 최미숙(1994). 유아교육에 있어서의 연구방법론의 조명: 유아교육연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14(1), 199-205.
  49. 최미숙, 황윤세(2004). 유아발달에 관한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탐색, 유아교육연구, 24(5), 187-205.
  50. 최희선(2006). 교육정책의 탐구논리. 서울: 교육과학사.
  51. 한국유아교육학회(2003). 유아교육백서(1995-2000년). 서울: 양서원.
  52. 한태숙, 김연, 황혜정(2005). 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1994-2004. 유아교육연구, 25(3), 219-238.
  53. 허병기(2003).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1(1), 375-396.
  54. 황정규(1995).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55. 황해익(1998). 유아교육 관련 학위 논문의 연구방법론 고찰: 1980년 이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논집, 8, 111-135.
  56. 황해익, 김병만(2011). 교육과학기술부의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에 대한 공․사립유치원 교원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2), 245-266.
  57. Cuban, L. (1996). Myths about changing schools and the case of special education.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17(2), 75-82. https://doi.org/10.1177/074193259601700203
  58. Gallagher, J. J. (1997). The role of policy in special education reform. In J. L. Paul, M. Churton, W. C. Morse, A. J. Duchnowski, B. Epanchin, P. G. Osnes, & R. Lee Smith(Eds.), Special education practice: Applying the knowledge, affirming the values, and creating the future(pp. 26-42). Pacific Grove: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59. Osher, D., & Quinn, M. M. (2003). Policy matters: For Students, for teachers, and for better outcomes. Preventing School Failure, 47(2), 52-58. https://doi.org/10.1080/10459880309604430
  60. Swanson, C. B., & Stevenson, D. L. (2002). Standards-based reform in practice: Evidence on state policy and classroom instruction from the NAEP state assessments.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4(1), 1-28. https://doi.org/10.3102/016237370240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