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토지적성평가 평가방법 개선방안 연구 : 거리측정 및 임계치 설정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easuring Methods in Land Suitability Assessment: Focused on the Distance Measurement and Threshold Definition

  • 투고 : 2011.12.07
  • 심사 : 2012.01.26
  • 발행 : 2012.01.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토지적성평가 평가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지표값 측정 및 임계치 설정을 중심으로 현 제도에서 적용하고 있는 평가방법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에 비해 지니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과정은 1) 공간적 입지특성에 대한 거리측정시 저항을 고려한 분석, 2) 보전적성값 산정시 물리적 특성지표에 적용되는 귀속도 함수의 임계치 설정에 따른 평가결과를 측정하였다. 평가결과 첫째, 저항을 고려한 측정방법이 단순한 직선거리에 의한 방법에 비해 하천이나 임야 등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적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지역의 최고값을 최대임계치로 설정하는 현재의 방법이 지표의 측정값 분포를 고려한 임계치 설정 때보다 상대적으로 평가절하된 점수값을 도출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공위성영상자료를 평가결과에 중첩시켜 보았을 때 본 연구의 방법에 의한 적성등급이 현황과 보다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방법은 토지적성평가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더불어 그간 제도의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평가단위의 문제, 평가절차상의 문제, 기초자료 정비의 문제 등--이 보완된다면 국토 및 도시정책 수립시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SDSS)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oposes an approach to improve the accuracy of land assessment result focused on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The detailed analysis processes are; (a) that they are analyzed considering resistance in distance measurement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b) that an assessment result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threshold definition of membership function, which is applied in estimating conservation suitability. The assessment results are; firstly, the method considering resistance better reflects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area with worse accessibility including rivers and mountains than one by linear distance; secondly, the existing method that the maximum value of a target area is defined as the maximum threshold may draw a value evaluated lower than a threshold definition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measured indices. Finally, satellite images are overlapped with the assessed results, the applicability level from the approach proposed by this study is more coincident with the present status. The assessment method proposed by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view of that it improves the accuracy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Furthermore, it can be applied as SDSS, which can support effective establishment of urban policies, in case of complementing the problems in executing the assessment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연구원(2003), 토지적성평가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2. 김우혁, 황의진, 류지협(2007), "토지적성평가의 운용방법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4): 71-79.
  3. 김인현, 오규식, 양희범(2009), "토지적성평가 지표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GIS학회지, 17(2): 201-212.
  4. 김항집(2004), "도시계획시설의 설치를 위한 토지적성의 평가방법 개선을 위한 연구: 평가체계II의 문화체육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9(7): 85-95.
  5. 김항집(2004), "토지적성평가의 한계와 개선방안: 도시관리계획의 입안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429-441.
  6. 여홍구, 임종훈(2004), "토지적성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평가체계II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9(2): 107-116.
  7. 오규식, 정연우(1999), "GIS-퍼지 접근방법의 유용성", 국토계획, 34(4): 71-83.
  8. 이은옥, 이혜숙, 김성삼, 유환희(2007), "공간영상정보를 이용한 토지적성평가 DB 갱신", 한국GIS학회 2007 공동춘계학술대회논문집, 40(2): 300-306.
  9. 이종용, 이용범(2004), "효율적인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격자 평가단위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7): 97-110.
  10. 이종용(2005), "토지적성평가 데이터베이스의 정확도 향상방안", 국토계획, 40(3): 7-19.
  11. 임종훈(2004), "토지적성평가의 평가단위 및 지표 임계치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장현웅, 이명훈(2002), "비도시지역의 난개발 방지를 위한 토지 적성평가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7): 17-27.
  13. 채미옥(2002), "토지적성평가방법의 이론적 고찰", 국토연구, 35: 33-50.
  14. 채미옥, 오용준(2004),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1): 45-58.
  15. 최준성(2006), "토지적성평가의 지표분석개선과 전라북도 토지 특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황희연, 오용준(2005), "지역특성을 반영한 토지적성평가지표 개발과 효과분석", 국토계획, 40(2): 93-107.
  17. Altman, D. A. (1994), "Fuzzy set theoretic approaches for handling imprecision in spatial analysis", INT. J. GIS, 8(3): 271-289.
  18. Burrough, P. A. and R. A. McDonnell (2000),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 Davidson, D. A., S. P. Theocharopoulos, and R. J. Bloksma (1994), "A land evaluation project in Greece using GIS and based on Boolean and Fuzzy set methodologies", INT. J. GIS, 8(4): 369-384.
  20. Hall, G. B., F. Wang, and Subaryono (1990), "Fuzzy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in conventional GIS software: database design and application", INT. J. GIS, 8(4): 261-283.
  21. McHarg, I. L. (1969), "Design with Nature", New York: Doubleday/Natural History Press.
  22. Oh, K and Y. Jeong (2002), "The Usefulness of the GIS-Fuzzy Set Approach in Evaluating th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9: 589-606. https://doi.org/10.1068/b2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