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Delinquency of School Adolescents and Career Maturity - Focusing on vocational high schools -

학교청소년의 비행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전문계 고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2.01
  • Accepted : 2012.03.23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delinquency and career maturity in school adolescents and to determine whether activities for enhancing career maturity can have protective effects against juvenile delinquencies.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first, how serious school adolescents' delinquencies are; and second, what relation there is between delinquency and career maturity in school adolescents. Third, how different is school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in delinqu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55.8% of the school adolescents committed one or more of the 14 types of delinquent acts included in the delinquency inventory during the last one year, and the percentage was higher among male students than among female ones. Second,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school adolescents' overall delinquency level and overall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however, the overall delinquency level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bjectiven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dependence/decisiveness. That is, objectiveness was higher in the group without experiences in delinquencies than in the group with such experiences. and Type II status offenses (truancy, runaway)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career maturity, and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bjectiveness and confidence. Thir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areer maturity between those with experience in delinquencies and those without.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however, objectiveness was higher in those without experience in delinquencies than in those with. and Overall career maturity, and objectiveness and confidence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ithout experience in Type II (truancy, runaway) status offenses than those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bjectiveness of career maturity can be a protective factor against juvenile delinquency. Furthermore, they suggest that activities for enhancing career maturity may protect adolescents from Type II status offenses. These results may provide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develop career counseling approaches and interventions strategies for preventing school adolescents' delinquencies.

본 연구는 학교청소년의 비행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활동이 청소년비행에 대한 보호요소가 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청소년의 비행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청소년의 비행과 진로성숙도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학교청소년의 비행경험 여부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의 결과 첫째, 학교청소년의 55.8%는 지난 1년간 비행측정 문항에서 묻고 있는 14가지 비행행위 중 1가지 이상의 비행을 저지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비행 정도가 여학생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청소년의 비행과 진로성숙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비행과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독립성/결정성과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비행유형별로는 지위비행 II(가출, 무단결석)는 진로성숙도 전체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확신성 요인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비행경험이 있는 집단과 비행경험이 없는 집단 간 진로성숙도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 수준은 비행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이 비행을 경험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비행유형별로는 지위비행 II(가출, 무단결석)를 저지른 경험이 없는 집단이 비행을 저지른 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과 확신성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성숙도 목적성 요인이 청소년 비행에 대한 보호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 하였다. 또한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활동이 가출, 무단결석을 감소 시킬 수 있음을 시사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학교청소년의 비행예방에 대한 진로상담적 접근 및 개업전략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소연(2010).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성장발달 자산 및 진로태도성숙도 차이.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고홍월(2007).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 성숙수준 분석.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경식(1998). 중.고교 중퇴 청소년의 중퇴 이전과 이후의 비행 비교. 중등교육 연구, 제 41 권, 1-18.
  4. 김대연(2001). 한국 청소년의 의식구조와 가치관 교육의 과제. 한국청소년문화학회. 제1권, 89-119.
  5. 김선옥(2009). 시설 청소년의 부모 지각과 성격특성 및 비행유형. 상명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아영, 유성경, 김봉환(2005). 청소년 진로발달 검사 개발 : 1차연도 연구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7. 김은희(2001). 청소년이 지각하는 보모의 자녀학대와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구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김준호(1994). 청소년 비행 실태와 원인. 형사정책연구, 제17권, 63-94.
  9. 김준호, 이동원(1996). 청소년의 긴장과 비행. 형사정책연구원, 제1권, 13-165.
  10. 김충기(2000).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서울: 동문사
  11. 김혜래, 이혜원(2007).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비행과의 관계. 한국아동박지학회, 제23권, 33-63.
  12. 문미란(1998).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비행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배영태 (2003). 학교 중도탈락의 선행요인과 판별. 청소년상담연구, 22, pp. 23-35.
  14.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9 아동.청소년백서, 334-337.
  15. 심응철(1992) 심리적 성장환경과 자아개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연세대학교 사회발전 연구소(2010)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의 구축과 국제비교연구조사 결과보고, 7-12.
  17. 유성경 (2000) 청소년 탈비행과 위험요소 및 보호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학회, 38(3), 81-106.
  18. 유성경 (2002). 청소년 비행관련 위험요소 및 보호요소의 남녀별 차이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2), 201-217.
  19. 유현정 (2004). 인구학적 변인, 부모관계변인 및 또래 통조 성향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방법.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경상, 이순래, 박철현 (2007). 청소년 비행의 발전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
  21. 이기학(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이기학, 한종철(1997) 진로태도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도구. 진로교육연구, 8, 219-255.
  23. 이동원 (1997). 청소년의 긴장과 비행친구가 비행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형사정책연구, 제31권, 233-272.
  24. 이미경(1995). 충동성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이민영(1997), 청소년 진로발달 프로그램의 개발및효과. 전남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6. 이상식(1999). 비행친구와 비행과의 관계. 형사정책 연구, 제38권, 193-221.
  27. 이회란(2007).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간의 진로요구, 직업가치, 진로성숙의 차이.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이희정 (2009). 전문계 및 인문계 청소년의 지위비행과 학생징계 경험을 설명하는 변인. 21세기사회복지 연구, 6(2), 73-98.
  29. 장민석(1991). 진로성숙도 검사 요강. 한국교육 개발원.
  30. 조석훈(1996). 학생징계의 특성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지승희, 이은경, 이지은, 최수미, 정찬석,(2003). 청소년 비행예방 및 개입전략 개발을 위한 종단 연구IlI. 한국청소년 상담원.
  32. 한국교육 개발원 (2010), 2010 유초중등 교육통계, pp 71-73
  33. 한영희, 조아미(2008). 무단결석 청소년의 생활과 진로. 미래청소년 학회, 5(3), 29-53.
  34. 통계청 (2005) 연령별추계 인구, http//kosis.kr
  35. 구대선(2008.10.09) "대구고교생 35% 필요하연 뇌물쓸 것" 한겨례 신문.
  36. Cohen, A. K. (1955). Delinquent boys : The culture of the gang. Glence: the Free Press
  37. Compas B. E., Hinden B. R., & Gerhardt C. A. (1995). Adolescent Development: Pathway and Processes of Risk and Resilienc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6, 265-93. https://doi.org/10.1146/annurev.ps.46.020195.001405
  38. Eaton, D. K., Brener, N., & Kann, L. K.(2008). Association of health risk behavior with school absenteeism does having permission for the absence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school, 74:4, 223-229.
  39. Jessor, R.(1991). Risk Behavior in Adolescence: A Psychosoci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2, 597-605. https://doi.org/10.1016/1054-139X(91)90007-K
  40. JJDPA(2008). ACT4 Juvenile Justice. Juvenile Status Offenses Fact
  41. Merton, R. K. (1968). Soc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New York : the free press.
  42. Quay, H. (1987). Hanbook of juvenile delinquency. NY: W
  43. Rutter, M.(1979). Protective factors in children's responses to stress and disadvantage. In E. Rahdert, D.C. & I. AmseI (Eds.) Adolescent drug abuse : ClinicaI assessment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pp. 7-38)
  44. Weiner, I. B.(1982).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New York : John Wiley and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