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병원을 내원한 소아 청소년의 굴절이상과 안광학 성분간의 상관관계 연구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Refractive error and Components of Eye's Optical system in Children and Teenagers in an Optometric Practice

  • Ha, Na-Ri (Departmen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 ;
  • Kim, Hyun Jung (Departmen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
  • 투고 : 2012.02.02
  • 심사 : 2012.03.17
  • 발행 : 2012.03.31

초록

목적: 4~17세의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굴절이상과 안광학 성분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한국인의 소아 굴절이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방법: 2010년 10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서울 소재 안과 병원에 내원한 교정 시력이 0.7 이상으로 4~17세인 124명(230안)을 대상으로 조절마비 굴절검사 또는 현성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축적된 의무기록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등가구면 굴절력으로 굴절상태를 조사하고 IOL Master를 이용하여 안광학 성분을 측정하였다. 결과: 굴절이상도와 안광학 성분의 상관관계 연구에서 굴절이상도는 AL/CR(axial length/corneal radius) 비와 -0.92 음의 상관관계(p=0.00)를, 안축의 길이와는 -0.80 음의 상관관계(p=0.00)를, 전방 깊이와는 -0.35음의 상관관계(p=0.00)를, 각막 굴절력과는 -0.11 음의 상관관계(p=0.12)를, 각막 곡률반경과는 +0.11 양의 상관관계 (p=0.11)를 보였다. 안축의 길이는 AL/CR 비와 +0.84 양의 상관관계(p=0.00)를, 전방 깊이와는 +0.47 양의 상관관계(p=0.00)를, 각막 굴절력과는 -0.38 음의 상관관계(p=0.00)를, 곡률반경과는 +0.38의 양의 상관관계(p=0.00)를 보였다. 각막 곡률반경은 각막 굴절력과 -1 음의 상관관계(p=0.00)를, AL/CR 비와는 -0.19 음의 상관관계(p=0.00)를, 전방 깊이와는 -0.06 음의 상관관계(p=0.39)를 보였다. 각막 굴절력은 AL/CR 비와 +0.19 양의 상관관계(p=0.00)를, 전방 깊이와는 +0.06 양의 상관관계(p=0.39)를 보였다. 전방 깊이는 AL/CR 비와 +0.53 양의 상관관계(p=0.00)를 보였다. 결론: AL/CR 비는 안광학 성분들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눈의 굴절이상을 예측하는데 AL/CR 비가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valuat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state and measure and analyze the components of eye's optical system in children and teenagers. Methods: With subjects of 124 (230 eyes) children and teenagers who had no eye diseases, correlation between the correlation between refractive errors and component's of eye's optical system was investigated.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 of cycloplegic clinical refraction or manifest clinical refraction(SE), corneal power(CP), corneal radius(CR), axial length(AL), anterior chamber depth(ACD) and axial length to corneal radius (AL/CR) ratio were measured and analysed. Results: the S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L(r = -0.80, p = 0.00), the ACD(r = -0.35, p = 0.00) and the CR(r = -0.11, p=0.00)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P(r = +0.11, p=0.00). The 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L/CR ratio (r = +0.84, p = 0.00), the ACD(r = +0.47, p=0.00) and the CR(r = +0.38, p = 0.00)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P(r = -0.38, p=0.00). The C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P(r = -1.00, p = 0.00), the AL/CR ratio(r = -0.19, p = 0.00) and the ACD(r = -0.06, p = 0.39). The C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L/CR ratio(r = +0.19, p = 0.00) and the ACD(r = +0.06, p = 0.39). The AC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L/CR ratio(r = 0.53, p = 0.00). Conclusions: the highest change of refractive errors was shown that the AL/CR ratio was a very important indicator for diagnosing the refractive errors of the children and teenagers.

키워드

참고문헌

  1. 임현택, 조성일, 이성진, 박성희, "고도원시의 정시화에 대한 장기 관찰", 대한안과학회지, 43(7):1230-1237(2002).
  2. Atkinson J., "Infant vision screening: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strabismus and amblyopia from refractive screening in the Cambridge Photorefraction Program. In: Simons K., ed. Early visual development normal and abnormal",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335-348(1993).
  3. Brown N. P., Koretz J. F., and Bron A. J.,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emmetropia", Eye(Lond), 13(Pt 1): 83-92(1999).
  4. Stenstrom S., "Investigation of the variation and the correlation of the optical elements of human eyes", Am. J. Optom. Arch. Am. Acad. Optom., 25(10):496-504(1948). https://doi.org/10.1097/00006324-194810000-00006
  5. Ehrlich D. L., Braddick O. J., Atkinson J., Anker S., Weeks F., and Hartley T., et al., "Infant emmetropization: longitudinal changes in refraction components from nine to twenty months of age", Optom. Vis. Sci., 74(10):822-843(1997). https://doi.org/10.1097/00006324-199710000-00022
  6. Van Alphen G., "On emmetropia and ametropia", Opt. Acta. (Lond), 142(suppl):1-92(1961).
  7. 이은경, 이득봉, 진경현, 김재명, "한국인의 소아의 안축장과 굴절이상과의 관계", 대한안과학회지, 34(7):654- 660(1993).
  8. 전순우, 황혜경, 이선행, 박천만, "취학전 어린이들의 안광학 성분 측정 및 상관성 분석", 한국안광학회지, 15(3):201-206(2010).
  9. Tarkkanen A., Uusitalo R., Mianowicz J., "Ultrasonographic biometry in congenital glaucoma", Acta. Ophthalmol. (Copenh), 61(4):618-623(1983).
  10. 윤동호, 박인원, 유영석, "유, 소아의 안압과 안축장", 대한안과학회지, 31(4):397-401(1990).
  11. 정세준, 이혜정, 백승선, 정미아, 마기중, "연령 및 굴절이상에 따른 각막 곡률반경 분석", 대한시과학회지, 11(3):173-185(2009).
  12. 마기중, "한국인 눈의 광학상수 측정 및 모형안 설계",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72(1999).
  13. 고명규, 김갑석, "굴절이상에 따른 전방깊이의 변화와 세극등만으로의 전방 깊이 측정방법", 대한안과학회지, 22(4):763-768(1981).
  14. Fontana S. T., and Brubaker R. F., "Volume and Depth of the anterior chamber in the normal aging human eye", Arch. Ophthal., 98(10):1803-1808(1980). https://doi.org/10.1001/archopht.1980.01020040655013
  15. 김창식, 이학준, "정상 대학생의 눈 굴절이상, 안축장, 전방깊이, 수정체두께 그리고 각막두께의 연관성", 한국안광학회지, 13(1)89-94(2008).
  16. 최억, 임승정, "근시안에서의 굴절이상도와 안축장 및 전방 깊이와의 상관관계", 대한안과학회지, 27(3):371-376(1986).
  17. 정미아, 이혜정, 정세준, 강인산, 송윤영, "연령에 의한 안광학 상수와 굴절이상의 변화도 분석", 대한시과학회지, 10(4):291-302(2008).
  18. Lin J. T., "Analysis of refractive state ratios and the onset of myopia", Ophthal. Physiol. Opt., 26(1):97-105(2006). https://doi.org/10.1111/j.1475-1313.2005.00354.x
  19. 서용원, 최영준, "굴절이상과 안축장/각막곡률반경 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4(2):23-31(1999).
  20. 마기중, 이혜정, 권용성, "한국인 눈의 광학상수 측정 및 상호연관성", 대한시과학회지, 2(2):145-159(2000).
  21. Harrie R. P., "Factors in emmetropization. In: Ossoing KS ed", Martinus nijhoff & W. Junk, Ophthalmic. Echography, pp. 66-72(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