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사회에서 지역사회연계와 정책참여를 통한 가정과교육의 역할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a Low Fertility Society by Community Involvement, Public Policy Participation, and Advocacy

  • 투고 : 2012.01.26
  • 심사 : 2012.04.02
  • 발행 : 2012.03.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사회에서 가정교과내용, 지역사회와 연계활동,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의 측면에서 가정과교육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저출산 관련 내용을 살펴본 결과, 가정교과에서는 8학년, 9학년, 10학년에서 학년별 연계성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미래에 가정을 꾸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가족관과 자녀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반면 사회교과에서는 저출산 고령화 현상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살펴보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고, 과학교과에서는 임신과 출산의 과정을 과학적 지식으로 다루고, 도덕교과에서는 저출산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내용을 거의 다루고 있지 않았다. 즉, 가정교과가 저출산을 다루는 주 교과로서의 역할과 책임이 있다. 중등학교와 지역사회, 대학과 지역사회를 연계한 교육과정의 개발, 동아리 활동, 구체적인 수업 방법을 개발하여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의 맥락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인구문제와 관련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가정학 전문가의 적극적인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은 개인, 가족, 사회, 국가정책에 기여하며, 교과의 역랑을 발휘하여 저출산과 관련한 인구문제를 해결하는 교과로 거듭날 수 있다. 가정과교육의 나아갈 방향으로 저출산 극복을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 활동, 지역사회 봉사활동, 범교과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가정과 교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역사회에서 가족 아동 육아 저출산 고령화와 관련한 인구문제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가정과 교사로서 평생교육의 강사요원으로 활동하며,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에 참여할 것이 제안되었다. 이를 통하여 자신의 삶과 지역사회, 국가의 안녕을 위한 변화의 주체를 육성하는 교과로 위상을 높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a low fertility society in the contexts of curriculum contents, community involvement, public policy participation, and advocacy. The results showed following. First, home economics is a key subject matter in dealing with a low fertility problem among 2007 revised curriculum for secondary education level.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s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through 8th grade to 10th grade in 4 units, where as curricula contents of social studies, science, and moral education deal with a low fertility problem in partial. Second, it is proposed to be active in community involvement incorporating with secondary education, college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by service learning, outreach program, and extension program. Third, public policy and advocacy particip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are crucial for transformative leadership and practice in enhancing the condition of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wellbeing such as a low fertility problem. To perform this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ome economics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developing curricula and teaching materials for the extra curricula activity, creative experiencing activity, and service learning activity. Home economics teacher educators also should actively involved in outreach program and extension program as well as in public policy advocacy activity for solving a low fertility proble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