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tial Factors on High School Students' School Dress Code Compliance

고등학생들의 학교 외모규제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Received : 2012.01.19
  • Accepted : 2012.03.22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at identifying the influential factors on high school students' dress code compliance.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strength and importance of dress codes and dress code compli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ress code compliance and creativity, self esteem, and school adaptation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reliability tests, multiple regressions, and t-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866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six Co-E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students perceived the school dress codes to be stronger and more important, they were more likely to comply to the dress codes. Second, compared to the low-compliance group, the high-compliance group had higher self-esteem and creativity. Third, compared to the low-compliance group, the high-compliance group showed better adaptation to their teachers, classes, and school rules. However,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ir adaptation to peer groups.

본 연구는 외모규제에 대한 찬반입장이 대립되고 외모규제에 대한 학생들의 심리적인 저항이 거센 상황에서 학교에서의 외모규제를 위한 실질적인 지침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외모규제 준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먼저 외모규제의 강도지각과 외모규제 중요도 지각이 외모규제 준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외모규제 준수도와 자기존중감, 창의성,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남녀 고등학생 866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고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외모규제 강도를 크게 지각할수록, 그리고 외모규제의 중요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외모규제 준수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외모규제 중요도 지각의 회귀계수가 외모규제 강도 지각의 회귀계수보다 커서, 외모규범의 중요도 지각을 통한 자기통제가 더 큰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둘째, 외모규제 준수도가 높은 집단에서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모규제를 준수함으로써 학교의 규범에 적절하고 조화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는 학생들이 자기존중감이 높고 창의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외모규제 준수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교사적응, 수업적응, 규칙적응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 외모규범 준수도가 높은 학생이 학교라는 집단의 규범에 적절하게 행동하고 학교생활을 원만히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친구적응의 평균값은 외모규제 준수도가 낮은 집단에서 오히려 더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