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lanning Technique in Low Carbon Rural Village by Using Delphi Method

델파이방법을 이용한 저탄소 농촌마을 계획기술에 관한 연구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이창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임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최진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이정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2.02.27
  • Accepted : 2012.03.20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lanning technique for low carbon rural village planning. planning techniques (169 cases : waterside Technique 87, inland Technique 82) were extracted through a various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planning techniques of 43 cases for low carbon rural village have been developed by the importance validity evaluation for planning techniques using the Delphi Method. Developed techniques can be utilized to plan low carbon rural village for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se techniques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recognition of the need about low carbon rural village and the development of national green strategy.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진, 김현수, 서충원, 허재완, 2005, 지속가능한 신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지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 강상준, 2009, 저탄소 사회 형성을 위한 지역의 실천전략(I), 경기개발연구원, 43-75.
  3. 경기도시공사, 2009, 동부권 자연보전권역내 전원형 명품주거단지 조성방안 연구.
  4. 고재경, 2009, 저탄소 사회 형성을 위한 지역의 실천전략(II), 경기개발연구원.
  5. 국토연구원, 2009, 저탄소 녹색도시 모델개발 및 기본구상 연구, 연구보고서.
  6. 국토해양부, 2009, 기후변화에 대비한 도시 계획적 대응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7. 김남순, 김민자, 김동숙, 2006, 항생제 사용실태 조사 및 평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8. 김동숙, 김남순, 이숙향, 2008, 수정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의약품의 DDD(일일상용량) 결정과 항생제 사용량 분석: WHO 일일상용량이 없는 항생제를 중심으로. 한국임상약학회지 17(1), 19-32.
  9. 김은자, 2007, 농촌어메니티의 평가준거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은자, 고아라, 이정원, 김상범, 2011, 저탄소사회 실현을 위한 농촌마을 계획지표 개발, 농촌계획학회지 17(1), 30-31. https://doi.org/10.7851/ksrp.2011.17.1.029
  11. 김정희, 2009, 환경친화적 농촌마을개발을 위한 계획요소의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충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충래, 이광영, 2003, 환경친화적 도시 마을계획 세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회지 23(1).
  13. 농촌생활연구소, 2001, 환경친화적인 농촌마을 조성 전략, 농촌생활연구소, 연구보고서.
  14. 농촌진흥청, 2005, 농촌마을 어메니티 계획 매뉴얼.
  15. 농촌진흥청, 2006, 농촌어메니티 활용유형별 마을계획지침. 연구보고서.
  16. 도인환, 2010, 농촌형 저탄소 녹색마을의 사례분석을 통한 타당성 검토,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17. 박현신, 2010, 기후변화에 대비한 저탄소 신도시 계획지표 개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반영운, 이재준, 김정곤, 오용선, 설영선, 최정석, 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토 및 도시개발 전략,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발표자료.
  19. 변병설, 2009,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신도시 해외사례 및 조성전략. 대학국토도시계획학회 학술발표자료.
  20. 송정석, 2008, 생태마을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안진성, 2011, 델파이 기법(Delphi)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의 적용을 통한 전통정원의 보존상태 평가지표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왕광익, 2009, 저탄소 녹색도시의 국내외 정책 및 계획사례, 도시설계학회 생태도시연구회 학술발표자료.
  23. 이광영, 2002, 환경친화적 농촌마을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지 4(1), 99-117.
  24. 이재준, 2005, 한국형 생태도시 계획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학회지 40(4).
  25. 이종성, 2001, 델파이 방법, 교육문화사.
  26. 이종인, 조근태, 신봉철, 2007, 농업환경분야의 델파이 기술예측조사, 강원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논문집 18, 126-127.
  27. 전우선, 성재욱, 오덕성, 2010, 해외 신도시계획 사례에 나타난 저탄소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
  28. 조항원, 2009,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유형별 저탄소 농촌계획요소 정립 연구, 협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환경부, 2007, 에코시티 모델 개발 및 사례 적용 연구, 연구보고서.
  30. 황은진, 2011, 지역 내 에너지자립도 제고를 위한 녹색마을 모델 개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Custer, R. L., J. A. Scarcella, B. R. Stewart, 1999, The Modified Delphi Technique - A Rotational Modification, Journal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15(2).
  32. Douglas Farr, 2008, Sustainable Urbanism : Urban Design with Nature.
  33. Energy Saving Trust, 2008, Emission Impossible? : A Vision for a Low-Carbon Lifestyle by 2050.
  34. Harriet Bulkeley, Michele M. Betsill, 2003, Cities and Climate Change.
  35. Herring, H. and Sorell, S. 2009, Energy Efficiency and Sustainable Consumpion, UK:Palgrave Macmillan.
  36. James A. Fay, Dan S. Golomb, 2002, Energy and the Environment.
  37. Johnson, A. and Jacobsson, S. 2000, The diffusion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y: ananalytical framework and key issues for research, Energy Policy 28.
  38. Lauber, V. and Jacobsson, S. 2006, The politics and policy of energy system transformation-explaining the German diffusion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y, Energy Policy 34.
  39. Prescott, Matt, 2008, A Persuasive Climate : Personal Trading and Changing Lifestyle, RSA.
  40. Simin Davoudi, Jenny Crawford, Abid Mehmood, 2009, Planning For Climate Change, London.Sterling, VA.
  41. Sterman,John D., Linda Booth Sweeney, 2007, Understanding Public Complacency about Climate Change: Adult's Mental Models of Climate Change Violate Conservation of Matter, Climate Change 80.
  42. Stern, Nicholas, 2006,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 The Stern Review, HM Treasury.
  43. Volker Ruwisch, Benedikt Sauer, 2007, Bioenergy Village Juhnde : Experience in rural self-sufficiency.

Cited by

  1. Establishment of Best Management Indicator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Water Quality using Delphi Survey Method vol.48, pp.5, 2015, https://doi.org/10.7745/KJSSF.2015.48.5.379
  2. Application Evaluation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using Delphi Survey Method vol.33, pp.2, 2014, https://doi.org/10.5338/KJEA.2014.33.2.144
  3. Traffic Vulnerability Analysis of Rural Area using Road Accessibility and Functionality in Cheongju City vol.21, pp.2, 2015, https://doi.org/10.7851/ksrp.2015.21.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