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tate of Boundary Barriers Resources in Rural Villages

농촌마을 담장자원 조사연구

  • 임종현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최수명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조중현 (동신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2.02.07
  • Accepted : 2012.03.20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Functional mismatch and thought and plan-less material use of recently built boundary barriers in rural areas should greatly degrade their amenity value as one of linear villagescapes, but, their present state-of-art basically necessary for problem-solving had never surveyed up to now.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present stock quantities and qualities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areas by sample studies on 21 case villages(7 types ${\times}$ 3 cases)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planned or improved and nots. Wall type was absolutely dominated in the structural terms, of which more than half was used cement block as building material and, therefore, grey-colored. More than half of total barrier length were fully shielded, while relatively partially shielded in the mountainous villages in open space and 'Cultural villages' with closed housing structures. Free standing style of barriers was shown along over two thirds of their total length, although not more than half in planned reclaimed villages. Especially, because of one-sided wall type structure, mismatched over-shieldness and poorer maintenance condition of the boundary barriers in peri-urban villages, there should be provided with very intensive improvement efforts for amenity barriers.

Keywords

References

  1. 강형록, 1987, 도시담장이 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방배동 주거단지 담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강섭, 2004, 농촌지역 개발정책의 변천과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6(3), 1-14.
  3. 김영미, 2004, 농촌담장의 평가에 관한 연구: 도시민과 농촌주민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주현, 2010,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마을 공간 디자인 연구, 경북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해영, 2009, 전통성 개념을 표출한 현대주택의 내-외부공간 경계요소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경준, 2007, 간척지 농촌마을의 시설계획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도영 등, 2004, 문화마을 거주자 특성에 따른 공간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6(3), 51-59.
  8. 박시헌, 2001, 한국의 농촌개발 정책의 변천과정과 그 효과, 제2회 한.중 국제 공동학술대회 발표집. 69-77.
  9. 엄붕훈, 1990, 한국 농촌마을의 옥외공간체계 변화에 관한 연구: 취락구조 개선사업에 따른 주거환경의 변화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8(2), 31-44.
  10. 연규봉, 1996, 농촌주택의 공간이용과 취락구조개선 사업에 관한 조사,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윤정숙, 1997, 도시근교 농촌주택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도 용인군 삼가3리를 중심으로,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8(1), 35-43.
  12. 이건식, 2004, 문화마을의 주택유형 및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디지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윤정, 2005, 한국 전통담과 그 현대적 재현에 관한 연구:서울시 소재의 전통담을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진숙, 2005, 농어촌 지역의 경관개선을 위한 색채 정비, 대한건축학회지 49(6), 113-118.
  15. 장경원, 2008, 경상북도 전통마을의 담장형태와 기능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건채, 2004, 문화마을의 현황과 주택외관 및 입면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6(3), 83-92.
  17. 정무웅, 1979, 외부공간의 담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3(6), 9-13.
  18. 정성관 등, 1993, 담장의 구조에 대한 의식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환경과학논문집 7('93.12), 185- 207.
  19. 주남철, 1976, 한국건축에 있어 담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논총 28, 161-200.
  20. 진정, 1997, 도시근교 농촌주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도시근교 농촌의 사회문화적 변화요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대학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3), 45-56.
  21. 최경은, 1999, 농촌 취락체계 개선책으로서 '문화마을 조성사업'의 실효성 평가, 지리학논총 33, 107-127.
  22. 최장순, 2002, 해방이후 영동지역 농촌주택의 주거공간 변화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보고서, 삼척대학교.
  23. 최재문, 1999, 한국 전통상류주택의 담장 특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芦原 義信, 建築の 外部空間, 技文堂.
  25. Ayuk, E. T., 1997, Adoption of agroforestry technology: The case of live hedges in the central plateau of Burkina Faso, Agricultural. Systems 54(2), 189-206. https://doi.org/10.1016/S0308-521X(96)00082-0
  26. Croxton, P. J. et al, 2004, The restoration of neglected hedges: a comparison of management treatments, Biological Conservation 117, 19-23. https://doi.org/10.1016/S0006-3207(03)00258-1
  27. Gruttke, H., 1995, The development of epigenic fauna in new hedges - a comparison of spatial and temporal trend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1, 217-231. https://doi.org/10.1016/0169-2046(94)01048-D
  28. Harvey, C. A., 2005, Contribution of live fences to the ecological integrity of agricultural landscape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11, 200-230. https://doi.org/10.1016/j.agee.2005.06.011
  29. Kendal, D., 2008, Preference for and performance of some Australian native plants grown as hedge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7, 93-106. https://doi.org/10.1016/j.ufug.2008.02.002
  30. Martinez-Ghersa, M. A., 2001, The use of hedges to reduce winter wheat losses caused by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European Journal of Agronomy 14, 61-74. https://doi.org/10.1016/S1161-0301(00)00085-X
  31. Hinsley, S. A. and Bellamy P. E., 2000, The influence of hedge structure, management and landscape context on the value of hedgerows to birds: A review,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0, 33-49. https://doi.org/10.1006/jema.2000.0360
  32. Sage, R. B., 2009, The flora and structure of farmland hedges and hedgebanks near to pheasant release pens compared with other hedges, Biological Conservation 142, 1362-1369. https://doi.org/10.1016/j.biocon.2009.01.034
  33. http://www.drystone.org/history/
  34. http://www.handbooks.btcv.org.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