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sual Aisthesis of the Communication Visualization through Twitter

트위터를 이용한 상호소통 시각화의 감각적 경험

  • 유미옥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 박경주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Received : 2012.08.08
  • Accepted : 2012.08.28
  • Published : 2012.09.01

Abstract

As the distribution rate of the Smart mobile increased, the software technology and ideas for the ubiquitous systems advanced day after day to establish an environment where the public can easily access and experience such technologies. The communica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many became more convenient through th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nd the individuals started to attempt to communicate in various methods. The communication methods and techniques became more diverse and the media art pieces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s among many also became more interesting. This study attempted to create a prototype of the visual communication media art through the indirect participation of one of the widespread SNS, Twitter, for the communication and also to suggest the direct and indirect communication routes among the humans. In addition, the use of the typography in the pieces also attempted to examine a new type of work that combines the SNS and media art while delivering the text messages.

스마트 모바일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유비쿼터스 체제에 상응하는 소프트웨어 기술 및 아이디어가 나날이 발전하면서 대중들은 이를 쉽게 접하고 경험 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다. 개인과 다자간의 상호소통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하여 용이해지기 시작하면서 개인은 다양한 소통 방식으로 대화하려 한다. 이러한 상호소통 참여 형태와 방법들이 다양해지면서 다자간 소통을 중시하는 미디어 아트 작품은 흥미롭다. 본 논문은 상호소통이 원하면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SNS 중의 하나인 트위터를 이용하여 간접적인 참여를 통한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아트를 선험적으로 제작하여 보고, 작품을 통하여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직간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의 통로를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성정숙, "스마트폰에서의 콘텐츠 보안 연구", 보안공학연구논문지, 제8권, 제6호, pp.665-675, 2011
  2. Danah m. boyd, Nicole B. Ellison,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ume 13, Issue 1, pp. 210-230, 2007
  3. Slater, M., Usoh, M. & Steed, A., "Depth of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 3, pp.130-144
  4. Baecker, RM., and Marcus, A. "Human Factors and Typography for More Readable Programs", ACM Press, Addison-Wesley, Reading, Mass., 1990
  5. 오세나,이지연,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포털 서비스 이용 현황에 관한 연구", 제18회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8월호, pp.123-130, 2011
  6. Jacques Ranciere, "Thingking between disciplines : an aesthetics of knowledge", PARRHESIA, Vol. 1, 2006
  7. 이수정, "하이데거의 예술론", 하이데거연구, 제7집, pp.212, 2002
  8. 전현회, "디지털 아트의 미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2권, 제1호, pp.203-212, 2012
  9. http://andybest.net/2009/07/twitter-generative-music/
  10. http://www.variousways.com/blog/2011/03/happyrain-twitter-art/
  11. 한국문화원, http://www.koreanculture.org/?document_srl=28834&mid=cr_exhibitions
  12. 제갈병직, "스마트폰 시장과 모바일OS동향" 삼성전자 Semiconductor Insight, 2010
  13. Emil Ruder, "Typography", Arther Niggli Ltd., 1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