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Assessment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Development

신기술개발을 위한 사전평가지표 개발

  • Received : 2012.11.15
  • Accepted : 2012.12.10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e study demonstrated the pre-feasibility evaluation of the new agricultual technology R&D project and the ways to improve it. The study created new criteria for pre-feasibility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acquired from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pre-feasibility evaluation systems and criteria of various institutions at home and abroa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evaluation method conduc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to seek ways for its improvement. The new criteria include indices for technicity, marketability, and feasibility. Based on these,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and the answers on them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set weights between indices. It was found that feasibility appeared the highest, in particular, feasibilities related to budget appropriateness, novelty, possibility of demand for the technology, and potential of commercialization appeared high. Referring to this conclusion, a simple operation process of pre-feasibility evaluation was introduced in the study.

본 연구에서는 신기술 연구개발사업의 사전타당성 평가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해 설명하였다. 농촌진흥청이 수행하고 있는 사전타당성 평가방법을 파악하고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여러 기관의 사전타당성 평가제도와 평가지표를 조사 분석하여 새롭게 사전타당성 평가지표를 구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도출된 평가지표에는 기술성, 시장성, 사업성과 관련된 지표들이 새롭게 산출되었다. 이를 기본내용으로 설문지를 개발하고 응답내용을 통계처리하여 지표간의 비중을 설정하였다. 결과는 사업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 예산적절성, 신규성, 기술수요가능성, 상용화가능성의 타당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참고하여 사전평가지표의 운영프로세스에 대해 간략하게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윤명, 이우형, 오해영, 윤문섭 (2004). 신기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 타당성 평가: 정부지원 타당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2. 농촌진흥청 (2008). 어젠다 중심 농업과학기술개발을 위한 2009년 시험연구사업 지침.
  3. 박미경 (2005). 국가연구개발 평가시스템의 개선방안,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정우 (2005).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사전) 타당성 조사제도 도입을 위한 사전기획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5. 박지영.박수동 (2006). 200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6. 엄익천, 김인자 (2008). 2008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7. 윤문섭, 이우형, 김윤명, 오해영, 손성혁 (2004). 신기술 연구기획 사전 타당성분석을 위한 지식맵 작성 방법론 개발 및 활용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 이봉문 (2009). 대학.공공연구기관의 출원전 발명평가를 통한 기술이전대상 발굴 전략1, 2009.12.20, R&D특허센터 뉴스레터.
  9. 임흥섭 (2006). 국가연구개발 평가시스템의 효율적 개선 방안 : 과학기술계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서울: 상명대 디지털미디어대학원.
  10. 장선근 (2004). 실패하는 R&D평가 시스템, 2004.1.21, LG주간경제.
  11. 정근하 (2007) 국가차원의 기술기획수단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환경부 (2007), 연구개발 사업화 타당성 사전 평가 기법개발.
  13. 황용수 (1999). 김갑수, 과학기술정책 조정기구 운영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Barry Bozeman and Juan D. Rogers (2002). A Churn Model of Knowledge Value: Internet Researchers as a Knowledge Value Collective. Research Policy, 31.
  15. Doering, D. S. and R. Parayre (2000),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Emerging Technologies" in Day, G. S., Schoemaker, P. J. H., and Gunther, R. E., Wharton on Managing Emerging Technologies,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16. Kerssen-van Drongelen, Inge C. and Cook Andrew (1997). Design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system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es, R&D Management, 27(3).
  17. Stephan, P. (1996). The Economics of Science, The Journal of Economic Literiture,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