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losure Ratio for Tunnel Face Stabilization during Tunnel Excavation in Sand Soil

사질토지반에서 터널굴착시 막장안정을 위한 폐합비에 관한 연구

  • Kim, Sang-Hwa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
  • Kim, Ji-Ta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
  • Lim, Chae-Ho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
  • Lee, In-Keu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Received : 2012.01.20
  • Accepted : 2012.04.19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n the closure ratio of tunnel face to reduce pressure and displacement occurring at tunnel face during tunnel excavation. In experimental study, model tests a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losure ratio of tunnel face and tunnel depth. Model test results are analyzed and interpreted by numerical calculation in order to verify results obtained from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It is clearly found that tunnel face stability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closure ratio of tunnel face. The results also show that tunnel face is stable when the closure ratio of tunnel face is larger than 80%. This research will be very useful to develop the economical tunnel face closing system.

본 논문은 터널 굴착시 막장면 안정성 확보를 위한 막장폐합비에 따른 막장면 응력 및 지반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실내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내모형실험에서는 터널막장면의 폐합비와 토피고에 따른 막장면 응력 및 지반의 거동을 실험하였다. 실내모형실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차원 수치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서로의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막장 폐합비가 증가할수록 터널 막장면 안정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막장 폐합비가 80% 이상일 경우에는 막장 안정성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경제적인 터널 막장폐합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9), 터널표준시방서, 한국터널공학회
  2. 김상환, 민병헌 (2010), 터널 막장폐합비에 따른 지반 응력 및 침하량에 대한 연구, 한국터널공학회논문집, 제12권 제5호, pp.369-378.
  3. 김상환, 정우진 (2010), 신개념 터널 막장폐합비에 따른 지반 변위에 대한 연구, 한국터널공학회 정기학술발표회, pp.199-204.
  4. 김창용, 배규진, 문현구, 최용기 (1998), Umbrella Arch 공법이 적용된 터널의 3차원 유한요소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암반공학회, 제8권, pp.209-225.
  5. 변위용, 이승래 (2007), "대변형을 고려한 Flat DMT의 3차원 관입 해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3권 제1호, pp.67-76.
  6. 유충식, 신현강 (2000), 수평보강재로 보강된 터널 막장의 거동, 한국터널공학회논문집, 제2권 제1호, pp.130-138.
  7. 백두현 (2007), 산악지형터널이 붕락특성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최용기 (2004), 굴진면 보강에 의한 토사터널의 종방향 아칭 효과,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Atkinson, J. H. and Mair, R.J (1993). Soil mechanics aspects of soft ground tunnelling. Ground Engineering, Vol.14, No.5, pp. 20-26,38.
  10. Broms, B. B. and Bennermark, H. (1967). "Stability of clays at vertical openings". ASCE, J.SMFD, 99, SM1, pp.71-94.
  11. Davis, E. H,. Gunn, M.J., Mair, R.J. and Seneviratne, H.N. (1980). The stability of shallow tunnels and underground openings in cohesive material. Geotechnique 30, No.4, pp.397-416. https://doi.org/10.1680/geot.1980.30.4.397
  12. Vermeer, P. A. and Ruse, N. (2001), "Die stabilitat der tunnelortsbrist im homogenen Baugrund", Geotechnik, Vol.24, No.3, pp.186-193.
  13. Uriel, A. O and Sagaseta, C. (1989), Selection of design parameters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Proc.of the 12th ICS MFE, Rio de Janerio, Vol.4, pp.2521-2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