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Bus Accidents Influential Factors on Bus Exclusive Lane in Seoul (Bus Median Lane and Bus Curb Lane Defined)

서울시 버스전용차로구간의 버스사고 영향요인 분석 연구 (중앙전용차로 및 가로변전용차로 구분)

  • 임준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홍지연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장일준 (가천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 박준태 (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처)
  • Received : 2012.02.16
  • Accepted : 2012.02.28
  • Published : 2012.04.15

Abstract

At present, Seoul City is putting the bus exclusive lane system into practice according to mass transit revitalization policy. Starting with the installation of roadside bus exclusive lane in the past, at present, even the road sections for central- lane bus exclusive lane system are on the increa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factors giving impacts on bus accident on central bus exclusive lane and roadside bus exclusive lane. In case of the central bus exclusive lane, the 6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bus routes, number of access & entrance to central lanes patterns, whether the stop line of central lanes retreats or not, separated distance between the stop line of central lanes and crosswalks, traffic volume, and number of bus routes stopping at bus stops on reversible lan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bus accidents. In case of roadside bus exclusive lane sections, the four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right-turn bus routes, whether to be chronic illegal parking & stopping, time for the walk signal, and forms of land use, etc.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bus accident.

현재 서울시는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에 따라 버스전용차로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과거 가로변버스전용차로 설치를 시작으로 현재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구간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중앙버스전용차로와 가로변버스전용차로에서 버스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방법으로 교통사고가 확률적으로 극히 드물게 일어난다는 점을 생각하여 포아송 회귀모형과 음이항 회귀모형을 선택하였으며, 과산포 존재여부에 따라 음이항 회귀모형으로 최종모형을 정립하였다. 중앙버스전용차로구간은 버스노선수, 중앙차로 진출입 유형수, 중앙차로 정지선 후퇴유무, 중앙차로 정지선과 횡단보도 이격거리, 교통량, 가변차로 정류장 정차노선수 6개의 변수에서 버스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로변버스전용 차로구간은 우회전 버스노선수, 상습 불법주정차 유무, 보행신호시간, 토지이용형태 4개의 변수에서 버스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규영, "도로안전시설물의 사고감소효과 평가 및 사고감소 계수 추정모형 구축",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 이기영, "고속도로 사고모형의 개발과 적용", 대한교통학회 제 36회 학술발표회논문집, 1999
  3. 이수범, "도로등급 및 특성에 따른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3권 제4호, 2003, pp495-504
  4. 임삼진, "서울 대중교통체계 개편 전후의 버스사고 비교", 서울도시연구, 제7권 제2호, 2006, pp1-12
  5. 장태연, "과산포 검정을 통한 택시교통사고 모형설정", 대한토목학회지, 제23권 제1D호, 2003, pp27-34
  6. 한상진, "도로안전진단을 통한 중앙버스전용차로 안전도 향상방안", 한국교통개발연구원 교통정책브리프, 2006
  7. Hasan Ziari et al, "Analysis characteristics and provide a prediction model of public bus accidents in Tehran", Journal of Applied Science, Vol.6-2, 2006
  8. Joshua, S C and Garber, N, "Estimating truck accident rate and involvements using linear and poisson regression models", Transportation Planning and Technology, Vol.15-6, 1990
  9. Mohammad A., "Analysis of commercial mini-bus accident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30-5, 1998
  10. Zegeer, "Commercial bus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roadway treatment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Issue No.1467,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