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System in Long Span Bridge

해상초장대교량의 지진재난 방재시스템개발

  • Received : 2012.01.18
  • Accepted : 2012.02.23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emergency response procedures by BDMS [Build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 when earthquake occurs on long-span bridge structures. The study is about developing a computer-based algorithm for various earthquake intensities that works with the System. Presently, long-span bridge disaster prevention relies on closed-system centered on human intervention alone. However, this study combines IT technology and internet-based open system creating a more practical system. Additionally, assigned duties and tasks are clearly defined to all personnel involved in various disaster situations using the Active Action Diagram(AAD) techniques. Also, the design of 3-dimensional view assist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initial response in times of earthquake and other disasters. The combination of the existing manual emergency response procedures and the scenario-based (IT) response system being developed will create an efficiency and fast response actions in times of emergencie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진발생 시 발생할 수 있는 초장대교량의 관리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비상대응절차를 정의하고, 지진의 레벨(Level)별 비상대응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구조물의 센서와 연동하는 교량재난관리시스템인 BDMS(Bridge Disaster Management System) 개발이다. 지금까지의 초장대교량의 지진에 대한 방재시스템은 메뉴얼(Manual) 중심의 방식이며 패쇄적인 시스템을 활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IT 기술을 접목하고 인터넷 기반의 개방적 시스템을 활용하여 보다 실용적인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교량관리자별로 업무를 할당하고 그 절차마다 수행해야할 임무를 AAD(Activity Action Diagram)을 통하여 명확하게 규정하였다. 3D 상황판 기능을 제공하여 지진재난 뿐 아니라 다른 자연재난의 중복 발생 시에도 적절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비상대응 주체별로 행동요령을 정의 하고 비상대응절차를 구축하여 이를 시스템화한 BDMS을 개발 활용한다면 기존의 경험적, 매뉴얼 중심의 대처방식에서 신속성, 효율성을 가진 지진 재난 방제시스템을 갖게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익범(2011), 지진위험과 지진방재정책의 현황과 과제, 국토위원회, 통권355호, pp. 16-23.
  2. 건설기술연구원(2010), 특수교량 건전도모니터링 관리기준 수립에 관한 연구, p. 44.
  3. 공병승(2009), 장대해상교량의 방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3권, 제3호, pp. 59-64.
  4. 오순택(2010), 아이티.칠레 지진을 통해 본 한국의 지진대책, 한국철도학회, 철도저널, 제13권, 제3호, pp. 14-22.
  5. 이상철(2008), 특수교량의 유지관리 매뉴얼소개, 한국강구조학회, 제20권, 제3호, pp. 57-67.
  6. 정길호(2011), 우리나라 지진현황 및 지진방재종합대책, 대한지방행정공제, 제 46권, pp. 28-33.
  7. 통계청(2011), 지진발생빈도, p. 1.
  8. 한국도로공사(2008), 고속도로 대형재난사고 종합대응체계 연구, pp. 185-188.
  9. 한국도로공사(2010), 고속도로 재난관리 매뉴얼, pp. 72-74.
  10. 함은구(2008), 도시재난 관리를 위한 u-철도 방재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24권 제1호, pp. 72-80.
  11. Eguchi, R. T.(1997), Real-time loss estimation as an emergency response decision support system: the early post-earthquake damage assessment tool(EPEDAT), pp. 815-832. https://doi.org/10.1193/1.1585982
  12. Huang, R. Q.(2009), Analysis of the geo-hazards triggered by the 12 May 2008 Wenchuan Earthquake, pp. 363-371. https://doi.org/10.1007/s10064-009-0207-0
  13. SHUAI Xianhua(2001), Earthquake emergency response information system based on Arc View, p 1.
  14. Sunaryo Sumitro(2001), Current and Future Trends in Long Span Bridge Health Monitoring System in Japan, p.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