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Measure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Industrial Cluster : A Case Study of the FOODPOLIS ( KOREA NATIONAL FOOD CLUSTER )

산업클러스터 효과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국가식품클러스터조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김정욱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
  • 김석영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
  • 양승민 (이정회계법인)
  • Received : 2012.01.19
  • Accepted : 2012.02.05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a genuine method to estimate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Industrial Cluster focusing on the FOODPOLIS (KOREA NATIONAL FOOD CLUSTER).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wo issues related to the clustering effect. First, Clusters affect productivity, and a cluster allows companies to operate more productively in inputs; accessing technology, human resource, information, services, and needed institutions. Second, we assume that the effects of Industrial Cluster can be estimated from measurement on differency of an added value between large-scale enterprises and smaller ones. To demonstrat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the estimated effect was compared with that from the related study (A Mini-Cluster). Industry Clusters have been considered as critical factors for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revitalization. For this,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hould find a way and strategy to provide useful contents that can attract the participation of firms and to secure strategic positioning and competition strategies.

이 논문에서는 지역별 산업별로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는 '산업클러스터' 조성에 있어 사전 타당성의 중요성과 클러스터 효과 추정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 사례를 중심으로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산업클러스터의 경우 집적 및 HW시설 및 SW지원을 통한 혁신으로 인해 개별 입지해 있던 혹은 개별 입지하게 될 중소기업의 생산성이 혁신 클러스터 입주 후 입주기업간 혹은 지원기관간 하나의 대기업과 같은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대기업의 효율성 수준으로 증가함을 가정하여 이들의 차이인 부가가치 증가분을 클러스터 효과 즉 생산성 제고로 계량하는 모형을 가정하였다. 이러한 모형 설정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해 개별 기업 집적을 위한 산업단지 조성, 연구개발을 위한 지원시설로서의 6개 HW시설과 4개 SW지원 계획을 포함하고 있어 클러스터의 구성요소가 모두 포함된 '국가식품 클러스터'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식품산업에 있어 클러스터 입주 후 각 개별기업은 3.84%만큼의 부가가치 개선 효과를 얻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논문에서 산정한 집적을 통한 생산성 제고 효과 즉 산업클러스터 효과가 구현되고 증진되기 위해서는 산업단지 계획 수립 및 각 부처 혹은 지자체의 각종 클러스터 조성에 대한 사전 전략과 계획 수립에 있어 면밀한 검토 및 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