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의 계획 지침에 관한 연구

Planning Guidelines for the Superstructure of Floating Architecture

  • Ko, Min-Chul (Graduate school of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Song, Seog-Ki (Department of Architecture & Building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3.02
  • 심사 : 2012.04.02
  • 발행 : 2012.04.30

초록

최근의 몇몇 사례를 통해 국내에서도 플로팅 건축물의 확산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플로팅 건축계획과 관련되어 참고할 만한 가이드라인이나 규정이 제정된 바가 없다. 이 연구는 플로팅 건축물 상부시설에 대한 계획 지침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기존 국내외 지침 중 플로팅 건축물 상부시설 계획에 참조가 될 수 있는 지침을 선택하고 관련 구성 항목 및 구성 체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지침 구성 항목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렇게 추출된 항목을 유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몇 가지의 범주로 구분하고 각각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이 분석된 지침 구성 항목과 체계, 그 내용을 토대로 플로팅 건축물 상부시설에 대한 계획 지침 구성 체계를 제안하였고, 구성 항목 및 주된 규정 내용을 검토하였다.

Recently constructed several floating buildings, in Korea, provoked the discussion about the activation of floating architecture. But, there is no guideline for the planning of floating architecture in Korea.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framework of planning guidelines for the superstructure of floating architecture. For the purpose, collected various exiting guidelines related to floating architecture, and then analysed the structure and components of those guidelines. As a result of analysis, many components, could be used as references, are extracted. After the classification of the components into several categories, then, compared the content of components, derived from different guidelines, in same category. Based on the former analysis and comparison, proposed the framework of planning guidelines for the superstructure of floating architecture, consist of various set of compon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2009),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구조 및 설비 등에 관한 기준.
  2. 문창호(2011), "플로팅 호텔의 건축계획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5권 제6호, pp.515∼522.
  3. 박성신(2011), "플로팅건축의 유형 및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5권 제5호, pp.407∼414.
  4. 한국항만협회(2005), 마리나,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5.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2011), 수해양 문화공간을 위한 정주형 플로팅건축 설계기술 개발 중간평가 보고서.
  6. 日本建築學會(1988), "海洋建築物計劃", 海洋建築計劃指針.
  7. Anne Loes Nillesen & Jeroen Singelenberg(2011), Amphibious Housing in the Netherlands, NAi Publishers.
  8. American Bureau of Shipping(2002), Guide for Crew Habitability on Offshore Installations.
  9. British Columbia(1998), British Columbia Float Home Standards.
  10. City of Vancouver(1993), Marina Neighborhood CD-1 Guidelines for Marina Development
  11. Floating Home Association Pacific Canada(2000), Hitchhiker's Guide to the Float Home Standards.
  12. Koen Olthuis & David Keuning(2010), Float! : Building on Water to Combat Urban Congestion and Climate Change, Frame Publishers.
  13. NORSOK(2006), "Living quarters area", Standard CD-001.

피인용 문헌

  1. The Key Points of Architectural Planning for Floating Residential Architecture vol.14, pp.10,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10.5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