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브릭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중학생 학습문제 및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problem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 정정순 (호남신학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 변상해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Jung, Jung-Soon (Dept. of Social Welfare Counseling, Honam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
  • Byun, Sang-Hae (Dept. of Social Welfare Counseling, Seoul University of Venturing & Information)
  • 투고 : 2012.03.05
  • 심사 : 2012.03.09
  • 발행 : 2012.03.30

초록

본 연구는 루브릭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중학생 학습문제 및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 학습전략 사용에 효과가 있는지 검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 활용된 실험설계는 전 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로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한 루브릭 학습전략 훈련을 독립변인으로,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 학습전략을 종속변인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Y 중학교 1, 2, 3학년 중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30명씩 모두 60명의 학생이었다. 이 연구는 2009년 6월 25일부터 8월 27일까지, 10주간 매주 1회 90분씩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루브릭(rubrics) 학습전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습동기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상당히 의미 있게 변화되었다. 이는 하위 변인인 수업동기, 계속동기, 외재적 동기, 내재적 동기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둘째, 루브릭(rubrics) 학습전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하위 변인인 과제수준선호, 자기조절 효능감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으나, 자신감영역은 조금 향상되었을 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자기효능감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루브릭 학습전략 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루브릭(rubrics) 학습전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조절력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 집단에 비하여 하위 변인인 자기조절양식과 의지적 억제양식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넷째, 루브릭(rubrics) 학습전략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하위 변인인 시연, 정교화, 조직화, 점검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으나, 계획과 조절영역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전략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루브릭 학습전략 프로그램은 학습전략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problem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The objects of this investigation was 60 students sampled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of Y Middle school in Seoul, which was divided equally -30 students each-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progress covered 10 weeks period, a hour and half every week on Tuesdays and Thursdays.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motivation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learning problems has changed quite meaningful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showed positive changes in all suborn ate variables such as class motivation, continuing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Second, the self-efficacy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learning problems has changed quite meaningful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preference level to subjects and self-control efficacy, though did not show notable changes in confidence area. However as confidence area doesn't really matter in total score,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is considered to have good influence in self-efficacy. Third, the self-regulation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learning problems has changed quite meaningful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showed positive changes in all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self-control mode and inhibitory will mode. Fourth, the use on learning strategy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learning problems has changed quite meaningful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rehearsal, elaboration, organization and inspection, though did not show notable changes in schedule and control area. However, as the total score of use on learning strategy has changed prominently,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is considered to have good influence in use of learning strateg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