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과정 담당교사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Drawbacks of Teacher Training System and Improvement Plan for Performance of Nuri-educators

  • 권은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 성영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Kwon, Eun Hee (Division of Child Welfare & Studies of College of Human Ecology, Sook Myung University) ;
  • Sung, Young Hye (Division of Child Welfare & Studies of College of Human Ecology, Sook Myung University)
  • 투고 : 2012.11.12
  • 심사 : 2012.12.15
  • 발행 : 2012.12.30

초록

우리나라는 2012년 3월부터 만5세 모든 유아들을 위한 교육과 보육에 대한 국가책임의 강화라는 차원에서 무상으로 교육 및 보육서비스를 통합한 국가수준 공통과정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적용함으로써 양질의 교육 보육경험을 균등하게 제공한다는 취지에서 '5세 누리과정'을 도입하였고 2013년부터는 3월부터는 3 4세 유아들에게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누리과정의 성공적인 정착과 효과성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자질을 구비한 유아교사 양성이 필수이다. 그럼에도 현재 유아교사 양성시스템이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로 이원화되어 있고 자격기준, 명칭, 교육연한, 교육커리큘럼, 양성기관 등도 모두 달라 유아교사의 균등하고 수준 높은 전문성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바람직한 유아교사상의 확립, 둘째, 이원화되어 있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일원화, 셋째, 이원적인 행정체계의 일원화 및 유아교사의 자격기준 일원화, 넷째, 인간의 삶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안목을 갖출 수 있도록 커리큘럼 재조정, 다섯째, 유아교사의 직무영역과 내용 및 기준의 명확화 및 이에 준한 커리큘럼 체계화, 여섯째, 유아교사 양성기준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orean government imposed a free education policy called "Nuri-Curriculum program" available for children under age of 5 ever since march 2012 due to consolidation of national responsibility. The policy presents providing of cost-free and high-quality education/childcare services to people. Nuri program services will expand to applied age of 3-5 children from march 2013. however, because to gain successful outcomes from the program requires well-trained professional educator,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education infrastructure in order to improve employees' professionality. Therefore study suggests followings: fisrt, establishment of desirable role-model. second, unification of the training process. third, unifications of administration system and qualification standard. fourth, readjust curriculums to focus on basic knowledge of human life. fifth, clarify the duty of educator and systematize curriculums. sixth, consolidate base criteri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