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들의 BSC기반 창업 준비도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SC Based Four Perspectives of Preparation and Operational Performance for Small Businesses

  • 김도관 (원광대학교 정보전자상거래학부) ;
  • 진찬용 (원광대학교 정보전자상거래학부)
  • Kim, Do Goan (The Division of Information and Electronic Commerce(Research Center of Information Science) in Wonkwang University) ;
  • Jin, Chan Yong (The Division of Information and Electronic Commerce(Research Center of Information Science) in Wonkwang University)
  • 투고 : 2012.11.29
  • 심사 : 2012.12.23
  • 발행 : 2012.12.30

초록

성공적인 창업은 창업을 위한 충분한 준비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실행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성공적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창업 교육이 정부의 지원 하에 다양한 기관을 통하여 실행되고 있으나, 창업교육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는 실증적인 조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실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초기 창업자(창업 5년 미만)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이를 창업교육이수 집단과 미이수 집단으로 나누어 창업의 준비도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창업에 대한 준비도는 다양한 창업 성공요인이 선행연구를 통해서 제시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균형이 있는 사업 운영의 관점과 보편적인 접근 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결과 및 사용된 변수들을 종합하여 BSC 기반의 네 가지 창업 준비도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개발된 네 가지 준비도를 변수로 사용하여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252명의 초기 창업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집단에서는 재무준비도와 고객/마케팅 준비도가 경영성과와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교육 이수집단에서는 재무준비도, 고객/마케팅 준비도, 성장전략 준비도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창업교육 미이수 집단에서는 재무준비도만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 간 준비도 변수와 경영성과에 관계에서의 차이는 창업교육이 실질적 창업의 준비에 직간접적인 영향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존의 창업 교육이 창업에 이르는 과정으로서 의미가 있다는 실효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개발된 BSC기반의 창업 준비도는 사업의 운영관점에서 균형이 있는 시각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가지며, 이를 창업교육에 개발에 있어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A success of opening a business should be supported with complete preparations and implementation. While there have been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opening a business to support its success, there have not been a lot of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programs and operational performance in small businesses, due to the difficulties of empirical survey. In this point,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paration of opening a business and operational performance, while dividing samples into two groups (1. a group completing educational programs for opening a business, 2. a group non-completing). For the perspectives of the preparation of opening a business, various success factors have been suggested through various studies, but the perspectives and approaches of balanced business operation have been required. Therefore, using BSC, it developed a framework with the four perspectives of preparation for opening a business, and empirically review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our perspectives and operational performances in small businesses. It conducted a survey on the total 252 samples, whose business periods are less than 5 years. As the results, the preparations of financial and customer/marketing perspective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operational performances in total samples, preparations of financial, customer/marketing, and growth-strategies perspectives in the educational program completing group and only preparation of financial perspectives in the non-completing group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perational performanc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may imply that educational programs for opening a business may be helpful for preparation of opening a business and have some possibility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for the success of opening a business. Also, the developed BSC based-preparation framework for opening a business is meaningful for the view of balanced business operations, and can contribute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opening a busine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