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Report of Sanhupung Patient Diagnosed of Postpartum Thyroiditis

산후 갑상선염 진단을 받은 산후신통(産後身痛) 환자 치험 1례

  • Kim, Mi-Rim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Ga-Chon University) ;
  • Kim, Yoon-Sang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Ga-Chon University) ;
  • Lim, Eun-Mee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Ga-Chon University)
  • 김미림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 김윤상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 임은미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Received : 2012.10.24
  • Accepted : 2012.11.10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Objectives: Postpartum thyroiditis patient's symptoms are very similar to symptoms of postpartum disease which can be called sanhupung.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on sanhupung patient diagnosed of postpartum thyroiditis. Methods: We treated a 32-year-old female patient who had symptoms of postpartum thyroiditis and sanhupung with Jaeumganghwa-tang and Jayumkeonbi-tang. Results: After herbal medicine treatment the symptoms of postpartum thyroiditis such as general weakness, hot flush on the palms and soles of the feet, fever pattern of malaria and symptoms of sanhupung such as arthralgia, depression, imsomnia, sweating were improved. Conclusions: This case report shows that herbal medicine can be used to treat patient with postpartum thyroiditis and Jaeumganghwa-tang, Jayumkeonbi-tang is effective for mitigating the symptoms of postpartum thyroiditis. However, patient is still in thyroxine treatment, and additional care is required.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가천대학교

References

  1. 대한한방부인과학회. 한방여성의학(하). 서울:의성당. 2012:691-3, 765-7.
  2. 송한얼 등. 산후갑상선염과 동반된 횡문근융해증 1예. 대한내과학회지. 2006; 71:1133-7.
  3. 김현만 등. 산후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환자의 병후경과에 관한 연구. 대한내분비학회지. 1986;1(1):43-8.
  4. 이성진 등. 그레이브스병 여성의 산후 갑상선 중독증 감별진단에서 항갑상선 수용체 항체 측정의 임상적 의의. 대한내분비학회지. 2001;16(1):75-84.
  5. 전국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신계내과학. 서울:군자출판사. 2011:102-5, 286, 289.
  6. 김주현, 백승희.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 15(4):174-82.
  7. 조진형. 자가면역질환 및 갑상선질환으로 인한 속발성 무월경 환자 2례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 24(3):203-11.
  8. 이정은 등. 갑상선 종을 동반한 산후 우울증 환자에 대한 한방치험 1례에 대한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 14(2):273-83.
  9. 민헌기. 임상내분비학. 서울:고려의학. 1999:597-618.
  10. 조윤성 등. 정상 임산부에서 fT4와 TSH에 관한 연구. 대한주산회지. 2009; 20(4):332-8.
  11. 조여원 등. 산모의 요오드섭취가 산후 갑상선염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1997;30(1):1195-202.
  12. 신광철 등. 항갑상선 항체 양성율과 산후 갑상선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주산회지. 1998;9(3):279-84.
  13. Abalovich M et al. Management of Thyroid Dysfunction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07;92(8):1-7. https://doi.org/10.1210/jc.2006-2555
  14. 김희진, 성연아, 경난호. 산후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환자의 임상적 관찰. 대한내분비학회지. 1996;11(3):302-10.
  15. 대한산부인과학회. 산과학. 서울:군자출판사. 2010:805-9.
  16. 이종석. 그레이브스병, 하시모토병 및 산후갑상선염 환자의 혈청에서 Anti-Microsomal antibody 및 Anti- Thyroglobulin Antibody 측정의 임상적 의의. 대한내분비학회지. 1990; 5(2):124-30.
  17.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부인과학. 서울:고려의학. 2008:394-5.
  18. 김시영, 이인선. 産後風의 原因에 對한 文獻的 考察.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3;6(1):117-24.
  19. 박종효, 한양희. 신과 갑상선의 상관성에 관한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7;18(2):305-31.
  20. 김이화 등. 자가면역에 관한 동서의학적 문헌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6; 13(2):38-53.
  21. 龔延賢. 校正增補 萬病回春, 서울:의성당. 1993:204, 221.
  22. 김홍준 등. 자음강화탕의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억제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2):174-82.
  23. 정홍매 등. 자음강화탕 투여 후 상열감의 호전을 보인 타목시펜 복용 중인 유방암 환자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31(2):395-400.
  24. 이재휘 등. 자음건비탕가미방을 투여한 어지럼증 환자 70례에 대한 분석 및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 24(1):171-6.
  25. 신선호, 정용준. 양성 발작성 자세변환성 현훈으로 의심되는 현훈증 환자를 자음건비탕 가미방과 Dix-hallpike Maneuver로 치료한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0;21(1):181-4.
  26. 이해연, 백태현. Indomethacin으로 유발된 위점막 손상에 대한 滋陰健脾湯의 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4;25(3): 111-22.
  27. 정현우. 滋陰健脾湯加枳殼.天麻가 腦虛血動物의 腦血流力學 變動 改善에 미치는 작용기전.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5):1194-201.
  28. 윤용갑. 자음건비탕의 방제구성 및 임상활용.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2; 10(1):5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