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llective Understanding through Social Mediational Processes in a Collaborative Workshop between Science Teachers and Researchers: Focusing on 'Conflict' Aspect

과학 교사-연구자간 협력적 워크숍에서 사회적 중재를 통한 집합적 이해 과정: '갈등' 양상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5.30
  • Accepted : 2012.11.26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Recently, there have been growing interest i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since teachers were regarded as a critical factor in the context of the reform efforts. Along with these efforts, educational researchers have continued to implement various programs to improve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beliefs, and their practices. Although considerable researches have been done regarding the efficiency of these programs, most of them have focused on individual teacher's change. However, a "teacher's mind is socially formed" (Edwards, 2001). This perspective indicates that teacher change is necessarily viewed in terms of social mediational process between individual and the social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researchers in order to explore the mediational processes and the aspects of collective understanding, which has emerged from the collaborative worksho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mall group activities in a workshop and then analyzed using interactional sociolinguistic approach. Futhermore, activity system was employed to describe the social mediational process. The findings show that participating teachers constructed knowledge through conflict regarding collective understanding. This process of collective understanding was mediated by object, rules, and roles within each activity system. Findings from the study suggest that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s to teacher education are essential in understanding how teachers learn to teach and that teachers' professional discourse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최근 급변하는 사회와 함께 교육의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교육의 질적 향상과 직결되어 있는 교사 전문성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의 자질을 향상, 발전시키기 위한 각종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제안되었고, 또한 그러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뒤따랐다. 특히 프로그램의 목적이 교사의 변화를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연구들이 교사의 지식, 신념, 또는 실행 등 교사의 개인적 변화에 주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교사의 마음(mind)은 사회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Edwards, 2001), 교사의 변화는 사회적 맥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중재되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즉 개인 주체가 어떻게 시스템 안에서 상호작용하는지, 집합적인 측면에 대한 탐색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 연구자간 협력적 워크숍에서의 집합적 이해(collective understanding) 양상과 각 양상에 따른 사회적 중재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자체를 분석하였다. 워크숍 기간 동안의 소그룹 활동을 녹화한 비디오 및 오디오 자료를 주 자료원으로 하였으며, 상호작용을 통해 드러난 집합적(collective) 측면을 포착하기 위해, 녹화물과 전사본을 상호작용 사회언어학(interactional sociolinguistic)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집합적 이해 양상에 따른 맥락적 요소들의 중재과정을 기술하기 위해 활동 시스템(activity system)을 도입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교사들은 집합적 이해와 관련하여 갈등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였으며, 활동 시스템 내 목적, 규칙, 역할 등에 의해 그 과정이 중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가 가르치기 위해 어떻게 배우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사교육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이 필수이며, 교사의 전문적 담화가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