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Through Investigation of Their Coping Strategy Types for Anomalous Situations in Science Classes

과학 수업에서 불일치 상황에의 대처 전략 유형 조사를 통한 초등학생들의 인식론적 신념 분석

  • Received : 2012.02.10
  • Accepted : 2012.06.21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ping strategies for anomalous situations in science classes. Their epistemological beliefs were then analyzed on the basis of types. To do this, the students (N=75) from 2 elementary schools were asked to respond to an open-ended question about their coping strategies on anomalous situations and some of them underwent in-depth interview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indicated five types of coping strategies and were identified as follows: Abandoning, asking a teacher for help, trying the experiment again with same methods, trying the experiments again with different methods, and trying the experiment again after actively analyzing the causes. Among these, the major types were 'trying the experiment again with same methods', 'trying the experiments again with different methods', and 'asking a teacher for help'. The five types were grouped again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transferring facts', 'constructing facts', 'transferring meanings', and 'constructing meanings' on the basis of the epistemological beliefs toward knowledge and the epistemological beliefs toward rel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rying the experiment again after actively analyzing the causes' was only included in 'constructing facts' and the others were included in 'transferring fac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 불일치 상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대처 전략 유형을 조사한 후, 이에 기초하여 그들의 인식론적 신념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2개 초등학교의 5학년 79명을 대상으로 불일치 상황에 대한 대처 전략을 조사하기 위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했다.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도 실시했다. 연구 결과, '포기', '교사에게 도움 요청', '같은 방법으로 다시 실험', '다른 방법으로 다시 실험', '능동적인 원인 분석 후 다시 실험'의 다섯 가지 대처 전략 유형이 나타났다. 그 중에서 '같은 방법으로 다시 실험', '다른 방법으로 다시 실험', '교사에게 도움 요청' 유형의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다섯 가지 유형들을 지식에 대한 인식론과 관계에 대한 인식론 차원에 기초하여 '사실 전달', '사실 구성', '의미 전달', '의미 구성'의 네 가지 관점으로 다시 분류했다. 그 결과, '능동적인 원인 분석 후 다시 실험' 유형만이 '사실 구성'에 해당되었고, 나머지 유형은 모두 '사실 전달'에 해당되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신숙희, 노태희 (2002). 변칙 사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반응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52-260.
  2. 강훈식, 김민영, 노태희 (2007). 밀도 학습에서 인 식론적 신념이 개념변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학교육학회지, 27(5), 412-420.
  3. 고한중, 석종임, 노태희, 강석진 (2005). 불일치 사례로 유발되는 초등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정성적 연구. 초등과학교육, 24(4), 426-434.
  4. 김지나, 김선경, 김동욱, 김현경, 백성혜 (2008). 초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교수 효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7(3), 261-272.
  5.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1999). 과학교육학개론. 서울: 북스힐.
  6. 노태희, 김영희, 한수진, 강석진 (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82-891.
  7. 노태희, 최용남 (1998). 인식론적 신념과 화학 교재 이해도와의 관계. 화학교육, 25(4), 189-194.
  8. 문병상 (2009). 인식론적 신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22(4), 49-68.
  9. 문성숙, 권재술 (2004). 학습자의 역학적 에너지에 대한 개념변화 중에 살펴본 물리지식과 앎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499-518.
  10. 박현지, 권영국 (2007). 모바일 관광정보서비스 특성과 지각된 가치, 행동의지, 실제사용간의 관계분석. 호텔경영학연구, 16(1), 121-138.
  11. 양미경 (2006).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 연구의 동향과 과제. 열린교육연구, 14(3), 1-25.
  12. 원정애 (2006).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 적 신념에 따른 과학개념 변화과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원정애, 백성혜 (2011). 6학년 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 관련 요소들과의 관계 분석. 초등과학교육, 30(3), 282-295.
  14. 윤혜경 (2008).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초등과학교육, 27(2), 102-116.
  15.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 (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16. 이주연, 백성혜 (2006).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자 특성과의 관련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25(2), 167-178.
  17. 임성민 (2001).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파동 개념의 이해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장병기 (2004).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생의 생각을 조사하기. 초등과학교육, 23(2), 159-171.
  19. 조헌국, 송진웅 (2011). 불일치 상황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관찰 유형과 학습자의 과학의 관점이 관찰 활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30(4), 405-414.
  20. 조현철 (2011).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인식론적 신념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10(1), 5-26.
  21. 조희형, 최경희 (2002).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20-836.
  22. 차정호, 윤정현, 노태희 (2005). 중학생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개념 이해 및 학습 전략 사이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563-570.
  23. 한수진, 이인혜, 강석진, 노태희 (2011). 위기 상황 에의 대처 전략을 통한 초등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연구. 초등과학교육, 30(1), 61-70.
  24. 홍선희, 우애자 (2009).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과학적 소양과 비과학적 신념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3), 331-346.
  25.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6. Braten, I., & Stromso, H. I.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epistemological beliefs,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mong Norwegian postsecondary studen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4), 539-565. https://doi.org/10.1348/000709905X25067
  27. Cano, F. (2005). Epistemological beliefs and approaches to learning: Their change through secondary school and their influence on academic performanc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2), 203-221. https://doi.org/10.1348/000709904X22683
  28. Chinn, C. A., & Brewer, W. F. (1993). The role of anomalous data in knowledge acquisition: A theoretical framework and implications for science instruc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1), 1-49. https://doi.org/10.3102/00346543063001001
  29. Driver, R., Leach, J., Miller, R., & Scott, P.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Philadelphia, PA: Open University Press.
  30. Dunbar, K. (2000). How scientists think in the real world: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1(1), 49-58. https://doi.org/10.1016/S0193-3973(99)00050-7
  31. Elder, A. D. (1999). An exploration of fifthgarde students'epistemological beliefs in science and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 to science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ichigan.
  32. Hammer, D. (1994). Epistemological beliefs in introductory physics. Cognition and Instruction, 12(2), 151-183. https://doi.org/10.1207/s1532690xci1202_4
  33. Leach, J., Millar, R., Ryder, J., & Sere, M. G. (2000).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in science learning: The consistency of representations across contexts. Learning and Instruction, 10(6), 497-527. https://doi.org/10.1016/S0959-4752(00)00013-X
  34. Mason, L. (2003). Personal epistemologies and intentional conceptual change. In G. M. Sinatra & P. R. Pintrich (Eds.), Intentional conceptual change (pp. 199-236).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5. Muis, K. R. (2007). The role of epistemic beliefs in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2(3), 173-190. https://doi.org/10.1080/00461520701416306
  36. Nott, M., & Wellington, J. (1998). Eliciting, interpreting and developing teachers'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 Education, 7(6), 579-594. https://doi.org/10.1023/A:1008631328479
  37. Qian, G., & Alvermann, D. (1995). Role of epistemological beliefs and learned helplessness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learning science concepts from tex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7(2), 282-292. https://doi.org/10.1037/0022-0663.87.2.282
  38. Rigano, D. L., & Rotchie, S. M. (1995). Student disclosures of fraudulent practice in school laborator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4), 353-363. https://doi.org/10.1007/BF02357382
  39. Roth, W. M., & Roychoudhury, A. (1994). Physics students'epistemologies and views about knowing an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1), 5-30. https://doi.org/10.1002/tea.3660310104
  40. Samarapungavan, A., Westby, E. L., & Bodner, G. M. (2006). Contextual epistemic development in science: A comparison of chemistry students and research chemists. Science Education, 90(3), 468-495. https://doi.org/10.1002/sce.20111
  41. Schommer, M. (1993). Epistemological develop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secondar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3), 406-411. https://doi.org/10.1037/0022-0663.85.3.406
  42. Songer, N. B., & Linn, M. C. (1991). How do students'views of science influence knowledge integr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9), 761-784. https://doi.org/10.1002/tea.3660280905
  43.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44. Tsai, C. C. (2000). The effects of STSorientated instruction on female tenth graders'cognitive structure outcomes and the role of student scientific epistemological belief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10), 1099-1115. https://doi.org/10.1080/095006900429466

Cited by

  1. Why did I Cope with so?: A Teacher's Strategy to Cope with Anomalous Situations in Primary Practical Science Lessons vol.35, pp.3, 2016, https://doi.org/10.15267/keses.2016.35.3.277
  2. 불일치 상황의 활용을 통한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분석 vol.33, pp.2,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