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iveness of Traffic Safety Education to Seniors

노인교통안전교육의 효과평가

  • Received : 2011.07.26
  • Accepted : 2011.12.07
  • Published : 2012.02.15

Abstract

While the number of crashes and fatalities has decreased for the last few decades, the proportion of elderly-involved crashes ha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19.5% in 2001 to 29.6% in 2008.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affic safety education to seniors, which has been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more systematic knowledge such as safety regulations and making the elderly more aware of the risks of crashes, and eventually to reduce elderly-involved crashes. First, we investigated the levels of traffic safety knowledge of the elder people who attend senior community centers and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provided traffic safety education. Then, the effectiveness of traffic safety education was evaluated by using the before-and-after analysis. We set up two different group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one for control group and the other for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s of the control group after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the 95% significance level compared to the average scores before education, whereas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scores before and after education except for two questions. This indicates that the levels of traffic safety knowledge of the control group have been improved through education and therefore, the safety education seem to be effective to some extent.

우리나라의 교통사고건수 및 사망자 수는 감소하고 있으나, 노인 교통사고 사망자 비중은 2001년 19.5%에서 2009년에는 31.3%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교통안전교육의 효과평가를 분석하여 노인 스스로 교통사고의 위험을 인식하고 안전수칙 등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하여 실질적인 노인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의 경로당과 사회복지관의 노인을 대상으로 교통안전교육을 제공한 후 교육을 진행하는 동안에 노인의 개선된 교통안전지식의 변화된 정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노인교통안전교육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효과평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이용한 효과평가 결과,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사전조사와 비교할 때 사후조사의 값이 2가지 항목을 제외하고는 95%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교통안전교육을 제공받지 못한 대조군에서는 교육 전 후의 교통안전행동 점수가 변화되지 않았음을 증명해주는 결과이다. 한편, 실험군의 경우 교육 전 후의 점수를 비교할 때 상당한 증가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5% 신뢰수준에서 모든 문항이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실험군이 교통안전교육 후 교통안전행동 점수가 모두 상승한 것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교육이 효과적이었음을 입증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상순(2005), "초등학생 고학년생의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평가",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 경찰청(2010), 교통사고통계2010, 경찰청 교통기획담당관실.
  3. 경찰청(2010), 도로교통 안전백서2010, 경찰청 교통기획담당관실.
  4. 교통안전공단(2010), 2009년도 안전운전체험교육 성과분석, 교통안전공단 녹색교통안전연구원.
  5. 김상호(2005) "노인교통사고 위험요인과 지역사회 복지관의 역할", 사회복지정책,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제23집, pp.235-241.
  6. 김현수(2010), "유아교육기관의 교통안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교통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 : 민간보육시설(수도권) 취학 전 7세 유아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7. 김흥진, 김흥순(2004) "노인 보행자 교통사망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한국도시행정학회, 제17집, 제3호, pp.139-163.
  8. 도로교통공단(2009), "교통사고 분석 자료집 : 2009년 노인교통사고 특성분석", 도로교통공단 안전사업본부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9. 박상선(2010),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사상자 감소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10. 손주현(2006), "참여 중심 프로그램의 어린이 교통안전교육효과 평가 :서울시 일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1. 손은영, 차정은, 김아영(2007) "사회적 바람직성 상.하위 집단 간 성격검사의 구인동등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한국심리학회, 제21권, 제2호, pp. 71-87.
  12. 오옥순(2010),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의 효과성 분석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3. 이준범, 김비아, 이세원, 이재식(2007) "교통안전행동의 이해를 위한 심리학적 접근 ; 노인의 도로횡단 행동 분석: 시뮬레이션 연구",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심리학회, pp.46-47.
  14. 정철우, 조은순(2010) "교통안전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경찰법연구, 한국경찰법학회, 제8권, 제1호, pp.192-209.
  15. 조은순(2010), "교통안전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교통법규위반 운전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16. 지우석(2009), "노인 교통안전 개선방안", 경기개발연구원, pp.3-18.
  17. 한국생활안전연합(2009), 노인교통안전교육 매뉴얼, 한국생활안전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