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Work as Creative Labor?: Toward Critical Inquiry of Media Work with Critical Cultural Economy

창의적 일로서의 미디어 노동?: 미디어 노동의 문화경제 분석을 위한 시론

  • Seo, Dong-Jin (Humanities Center, Kaywon School of Art and Design)
  • 서동진 (계원디자인예술대 인문교양부)
  • Received : 2011.12.01
  • Accepted : 2012.02.08
  • Published : 2012.02.15

Abstract

Over the last decades, the issue of work or labor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prevailing discourses to represent the changed economic reality. Aesthetic labor, cultural work, network labor, team-work and alike, have played a dazzling role to represent the emerging economic order, employing the word of labor. Certainly, it is not less than a part of a wide range of shifts in order to make capital work with more effect by making up a workable and governable subject. In this article, I try to examine shifts around the media work which has contributed to expand the new discourse of 'labor.' I will say that it is quite crucial for accounting for the reality of media work to shed light on moves to represent media work, and, among others, one to transform the subjectivity involved in it among others. Furthermore, it would be necessary to take a close look at the subjectivity of media work and its modification to deal with and eliminate the precariousness of media work. Saying about media work without paying any attention to heterogenous and various practices to compose a media work, one is forced to regard media work as the matter of economic and legal interests. In addition, it would bring about that the cultural political concerns of media work will be detached from critical sight of the media cultural studies. Referring to major studies around media work in critical media studies, cultural studies and political economy of communication, this article will briefly look into the arrangement of contentions around subjectivity of media work in South Korea. And it will try to suggest what cultural-political strategy we need to investigate, fighting against the hegemonic power to generate and regulate media work and its workers in precarious conditions. It does not intend to search the media work and its complicated realities in detail in South Korea. I wish that it would make a preliminary step to propose and elaborate the critical analysis of media work and its form of subjectivities.

노동 혹은 일은, 변화된 경제 현실을 제시하고 표상하는 담론 속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여 왔다. 지식 노동, 심미적 노동, 체험 노동, 네트워크 노동, 팀워크 같은 노동의 서사들은 일의 변화를 둘러싼 새로운 표상을 생산하며 새로운 경제 질서의 동일성을 규정하고 지배하고자 애쓴다. 물론 이는 새로운 노동주체를 형성함으로써 자본의 효과적인 지배를 가능케 하였던 여러 전략 가운데 일부이다. 나는 이 글에서 새로운 노동 담론에서 핵심적인 의의를 차지하는 미디어 노동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한다. 그리고 미디어 노동의 정체성의 변화, 그 가운데서도 미디어 노동의 주체성의 전환을 이해하는 것이 현재 미디어 노동의 '현실'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임을 주장하려 한다. 특히 최근 광범한 비정규직 고용의 형태로 나타나는 미디어 노동의 불안정성에 대한 비판과 개입이 효과적이기 위해 무엇보다 미디어 노동의 주체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려 한다. 미디어 노동에 참여하는 노동자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연관되어 있는 이질적이고 복잡한 실천들을 고려하지 않은 채 미디어 노동을 이해하는 한, 미디어 노동은 단순히 법률적이고 경제적인 이해의 대상에 머물고 말 것이다. 그리고 이는 미디어 노동을 둘러싼 문화정치적 쟁점을 간과하도록 말 것이다. 이런 물음을 보다 가다듬고 정의하기 위하여, 이 글은 기존의 비판적 미디어 연구와 문화연구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담론 안에서의 미디어 노동에 대한 논의를 참고한다. 그리고 한국에서의 미디어 노동 특히 미디어 노동의 주체의 정체성을 둘러싼 주요한 논의를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로부터 미디어 노동을 생산하는 헤게모니적인 권력에 대항하고자 한다면 어떤 이론적이고 분석적인 과제가 요구되는지 제안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 글은 미디어 노동의 현실에 대한 경험적인 분석이라기보다는 그러한 분석을 확장하기 위한 질문을 다듬어 보려는 시론적인 글에 불과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