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Change Pattern of Spatio-Temporal Land Price in Gongju City Using the Geostatistical Methods

공간통계를 이용한 공주시의 시공간적 지가변화패턴 분석

  • 김정희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GIS공학과)
  • Received : 2012.02.02
  • Accepted : 2012.03.12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patio-temporal land price change pattern in Gongju city including the area incorporated and surrounding area depending on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For this, GIS data was built by calculating the average land price each 209 Dong and Ri by the time of the year 2000, 2005 and 2010 based on. The first, the change in the land price was to identify in the 5-year intervals through a kriging interpolation as a kind of geostatistical techniques. The second, a trend analysis was conducted to know directional change pattern of the east-west axis and the north-south axis. Finally, the weighted mean center was calculated by the land price at a weight to examine moving direction on the center point of land price, point of view. The result is that the land price change pattern appeared visible higher growth on the eastern built in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moving direction on the center point of the land price appeared that the phenomenon was concentrated in the northeastern area.

본 연구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에 따라 이에 편입되는 지역과 그 주변지역을 포함한 공주시를 대상으로 지가의 시공간적 변화패턴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2005년, 2010년을 기준시점으로 209개의 동/리별 평균지가를 산출하여 GIS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크게 3가지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공간통계기법의 일종인 크리깅 보간에 의한 5년 단위의 지가변화 추이를 파악하였다. 둘째, 동서축과 남북축의 방향별 변화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경향분석(trend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시점별 지가중심점의 이동 방향을 살펴보기 위해 지가를 가중치로 하여 가중평균중심점(weighted mean center)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지목(Land Category)별 지가변화추세는 행정중심복합도시에 편입되는 동부지역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심점의 이동방향 역시 동북부지역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동회, 2010, 부산시 지가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국토지리학회지, 제44권 2호, pp.199- 212.
  2. 김성준 외(역), 2006, GIS개념과 기법, 시그마프레스.
  3. 김흥관, 2006, GIS를 활용한 부산시공간구조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9권 4호, pp.204-214.
  4. 백기영, 박종광, 황희연, 재해성, 강병주, 김성종, 박상범, 2011, 명품도시세종, 현재와 미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pp.3-19.
  5. 서경천, 이성호, 2001, 지가의 공간적 변동에 따른 입지지대의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제36권 1호, pp.55-71.
  6. 신정엽, 이상일, 2008, GIS의 개념과 원리, 다락방.
  7. 윤창훈, 김철수, 2003, 대구시 주거지역의 지가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제38권 2호, pp.99-110.
  8. 이희연, 1995, 지리통계학, 법문사.
  9. 정대영, 김상수, 김계현, 2009, GIS를 이용한 지가분포 특성에 따른 중심지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3호, pp.65-70.
  10. 채미옥, 1998, 서울시 지가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지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제33권 1호, pp.159-160.
  11. 최종근, 2007, 지구통계학, 시그마프레스.
  12. Burrough, P. A. and McDonnell, R. A., 1998,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3. Hillier, B., 2007, Space is the Machine,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Cambridge.
  14. Jun, L. and Yehua, D. W., 2004, A Geostatistical Modeling of Urban Land Values in Milwaukee, Wisconsin, Taylor & Francis, Annals of GIS, Vol.10, No.1, pp.49-57. https://doi.org/10.1080/10824000409480654
  15. Pacione, M., 2005, Urban Geography: a global perspective, Routledge, London.
  16. Schabenberger, O. and Gotway, C. A., 2005, Statistical Methods for Spatial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 BocaRaton.
  17. 국토해양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http://www.realtyprice.or.kr
  18.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http://www.macc.go.kr

Cited by

  1. Analysis of Pattern Change of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in Seoul vol.22, pp.1, 2014,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1.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