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외환시장의 차익거래 유인에 대한 분석

Margin and Funding Liquidity: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overed Interest Parity in Korea

  • Jeong, Daehee (Department of Macroeconomic and Financial Polic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투고 : 2011.08.01
  • 발행 : 2012.03.27

초록

한국 원화와 미 달러화 간 무위험 이자율 평형관계(covered interest parity)의 괴리는 2007~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 큰 폭으로 증가하여 1,000bp(2008년 11월)를 상회한 바 있고, 최근에도 100bp를 기록하는 등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본고는 금융위기시 무위험 이자율 평형관계가 큰 폭으로 붕괴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Garleanu and Pedersen(2011)의 마진을 기초로 한 자산가격결정모형(margin-based asset pricing model)을 상정하고 칼만 필터(Kalman filtering) 기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무위험 이자율 평형관계의 괴리는 글로벌 달러 유동성 및 원화를 이용한 자금조달여건과 유의한 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동성과 자금조달여건 간에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여 달러 유동성 위기 시 무위험 이자율 평형관계의 괴리가 추가적으로 증폭되는 유동성 악순환(liquidity spiral) 현상이 나타났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고는 달러 유동성 공급 및 자금조달여건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차익거래 유인이 높은 것은 환율 변동성이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During the global financial turmoil in 2007-2008, deviation from the covered interest parity (CIP) between the Korean won and US dollar through the foreign exchange swap has escalated in its magnitude beyond 1,000bp in November 2008, and it still persists around 100bp level. In this paper, we examine a newly developed margin based asset pricing model using Kalman filter approach and show that the escalation of the CIP deviation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lobal dollar funding illiquidity and country-specific funding conditions. Furthermore, we find evidence that the poor funding conditions (or higher margins) are driven by the general money market illiquidity and may lead to higher funding illiquidity, which suggests the reinforcing effects of the liquidity spiral. We also show that the supply of dollar liquidity and improved funding conditions help alleviate the deviations from the parity, however the persistent anomaly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high level of volatility in the FX swap marke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