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해외건설시장의 신성장동력 공종선정 및 진출전략 도출

Selection and Strategies of New Leading Businesses in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 최석진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이강욱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한승헌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투고 : 2011.08.01
  • 심사 : 2011.12.05
  • 발행 : 2012.03.31

초록

최근 해외건설시장의 급격한 확대추세 속에서 국내기업들은 지속적인 진출확대와 사업성과 제고를 달성하기 위한 신성장 동력 확보에 힘쓰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떤 공종이 신성장동력 공종인가?'와 '신성장동력 공종에 어떻게 진출하여야 하는가?'라는 두 가지 질문을 바탕으로 신성장동력 공종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산업분석 이론과 자원기반 관점 등을 바탕으로 시장진입 가능성, 수익창출 가능성, 부가가치창출 가능성을 신성장동력 공종의 조건으로 파악하는 한편, 시장의 경쟁강도 및 성장세, 국내기업 경쟁력 수준, 국내시장 파급효과 등을 기준으로 하는 공종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그린에너지플랜트, 환경플랜트, 담수화플랜트, 원자력플랜트, 신도시개발, 초고층빌딩 등의 공종을 신성장동력 공종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시장개척 및 선점, 경쟁력 중점강화, 지속적 발전 및 파급효과 확대 등을 목적으로 그린에너지플랜트, 환경플랜트, 신도시개발 공종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공종의 진출전략을 도출하였다.

As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is rapidly expanding, Korean contractors have the need for having new leading businesses for their sustainable growth and high performance. Thus, this research tried to explore new leading businesses with two questions: 'What can be the new leading businesses?' and 'How can Korean contractors implement new leading businesses?' To this end, based on Porter's five forces framework and the resource-based view (RBV), we first derive three evaluation criteria (possibility of market entry, possibility of profit earning, and possibility of value-added earning). Next, we developed a framework for business evaluation which considers external market condition, internal competitiveness, and spin-off effects toward domestic market. Based on the framework, we defined green-energy plant, environmental plant, desalination plant, nuclear power plant, new urban development, and high-rise building as new leading business. Then, we selected green energy plant, environmental plant, and new urban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prior occupation of the market, consolidation of the competitiveness, and expansion of the ripple effect, respectively. Finally, we deduced market entry strategies for each business by investigating experts' opin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2004). 해외공사 CM 진출 확대방안, 연구용역보고서, 건설교통부.
  2. 건설교통부 (2007). U-City를 활용한 신도시 해외진출 전략, 연구용역보고서, 건설교통부.
  3.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6). 건설교통 R&D 혁신로드맵 보고서, 건설교통부.
  4. 권구혁, 정기원 (2008). "전략경영의 역사적 배경과 학문적 발전", 21세기 매니지먼트 이론의 뉴패러다임, 이학종, 신동엽, 위즈덤하우스, pp. 520-581.
  5. 김성일 (2009). 고부가가치형 해외건설 전략과 과제,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6. 국토해양부 (2009). 고부가가치 공종 해외건설 수요조사와 비즈니스 모델 수립, 연구용역보고서, 2009-03.
  7. 송기훈 (2009). 국가별 환경산업 시장전망 및 진출 전략, 한국환경산업기술원.
  8. 이군희 (2003).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법문사, 초판 3쇄.
  9. 이충렬(2006)." 건설산업의 성장 동력 확보 방안", 건설경제, 국토연구원, 통권49권, pp. 30-39.
  10. 장현승, 이복남, 김우영, 장철기 (2009). 녹색 건설상품 진단 및 전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11. 최석인, 김상범, 이영환, 김우영, 장현승(2008)." 해외 유망 건설 상품의 기술 경쟁력 평가",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9권 제1호, pp. 107-117.
  12. 최석진, 전지호, 한승헌, 박상혁 (2009). "신도시개발 공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역량평가 및 진출방안 제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7호, pp. 229-239.
  13.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09). 제13회 원자력산업실태조사, 교육 과학기술부 조사보고서, 10506호.
  14. 한기주 (2003)." 세계 환경산업 시장 전망", KIET 산업경제, 산업연구원, 2003년 7월호, pp. 55-67.
  15. 해외건설협회 (2005). 신도시.재개발시장 진출 확대방안, 건설교통부 연구용역보고서, 2005-03.
  16. 해외건설협회 (2011). 해외건설종합정보서비스 건설통계 (2011.4.7)
  17. Barney, J. B. (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Vol. 17, No. 1, pp. 99-120. https://doi.org/10.1177/014920639101700108
  18. Cox, W. E. Jr. (1967). "Product life cycles as marketing models", The Journal of Business, Vol. 40, No. 4, pp. 375-384. https://doi.org/10.1086/295003
  19. Day, G. S. (1981). "The product life cycle: analysis and applications issues", Journal of Marketing, Vol. 45, No. 4, pp. 60-67. https://doi.org/10.2307/1251472
  20. ENR (2010). The top 225 international contractors, Engineering News-Record, pp. 46.
  21. Fleisher, C. S. and Bensoussan, B. (2002). Strategic and competitive analysis: methods and techniques for analyzing business competition, Pearson Education, New Jersey.
  22. Global Insight (2009). Global construction outlook, IHS Global Insight, Boston.
  23. Hallowell, M. R. and Gambatese, J. A. (2010)." Qualitative research: Application of the delphi method to CEM research",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6, No. 1, pp. 99-107. https://doi.org/10.1061/(ASCE)CO.1943-7862.0000137
  24. Hambrick, D. C. and Fredrickson J. W. (2001). "Are you sure you have a strategy?", The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 15, No. 4, pp. 48-59.
  25. Han, S. H., Kim, D. Y., Jang, H. S., and Choi, S. (2010). "Strategies for contractors to sustain growth in the global construction market", Habitat International, Vol. 34, pp. 1-10. https://doi.org/10.1016/j.habitatint.2009.04.003
  26. Hax, A. C. and Majluf, N. S. (1982). "Competitive cost dynamics: the experience curve", Interfaces, Vol. 12, No. 5, pp. 50-61.
  27. Penrose, E. T. (1959). The theory of the growth of the firm, Wiley, New York.
  28. Porter, M. E. (1980). Competitive strategy, Free Press, New York.
  29. Wernerfelt, B. (1984)." A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5, pp. 171-180. https://doi.org/10.1002/smj.4250050207

피인용 문헌

  1. Evaluation of CM Capability based on Business Functions for International Plant Construction vol.15, pp.6,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6.003
  2.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Condition and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vol.15, pp.5,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5.022
  3. Evalu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Green Construction Projects using FiT and CDM Support Mechanisms vol.14, pp.3,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3.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