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ights of Patients as Consumers

환자의 소비자로서 권리

  • Kwon, Yong Jin (Center for Healthcare Policy & Communication,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 Sang Sik (Constitutional Research Institue) ;
  • Lim, Young Deok (Center for Healthcare Policy & Communication,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권용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정책실) ;
  • 손상식 (헌법재판연구원) ;
  • 임영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정책실)
  • Received : 2012.05.01
  • Accepted : 2012.08.30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and physician is legally equal relationship. But, in times past, patients be compelled to sign an unequal contract, substantially. Because of the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in the health care market. Today, the law of supply and demand in the health care market is running well. And as the cognition of citizens' rights grows,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and physician can also get a lot of changes. Patients have the right to know the information about medical care, and to decide whether or not to get treatment including invasions against their own bodies. In other words, Doctors have an obligation to explain to their patients. If doctors did not provide patients sufficient explanation or information, it violates the right of patients. This is a tort, or a breach of contract. To improve the remedy for violation of patient's right, patient is able to be protected by status as consumer. If patient is a kind of consumer in terms of medical consumption, he/she as consumer can enjoy supplementally the consumer's right. The patient as a consumer can exercise now a consumer's right as a constitutional right. In addition, with respect to consumer's rights, Framework Act on Consumers was enacted. This Act is based on constitutional provisions of Article 124 and the Act can be seen as a law that embodies consumer right because the provision of the constitutional law delegates specific contents. In the health care field, patients need to win recognition the statue of the consumer to hold the sovereignty of the consumer. In particular, if patients are consumers, they may be able to make good use of the quickly and efficiently collective dispute resolution and association lawsuit to rescue their damage,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ADR) of Framework Act on Consumer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근, 헌법, 법문사, 2002 : 541
  2.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4 : 572-577
  3. 구병삭, 신헌법원론, 박영사, 1993 : 520-526
  4.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4 : 407-695
  5. 권오승, 경제법, 법문사, 2008 : 77
  6. 권오승, 민법의 쟁점, 법원사, 1993 : 527
  7.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0 : 368-737
  8.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4 : 182
  9.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8 : 417
  10. 이기수.유진희, 경제법, 세창출판사, 2004 : 382
  11. 주호노, 의사법총론, 법문사, 2012 : 275-280
  12. 추호경, 의료과오론, 육법사, 1992 : 66-76
  13. 최대권, 헌법학강의, 박영사, 1998 : 193
  1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4 : 245-337
  15. 김강운, 헌법상 자기결정권의 의의, 법학연구 제20권, 한국법학회, 2005 : 169
  16. 김민중, 의료사고책임, 로스쿨 채권법(불법행위편), 청림출판, 2007 : 58-60
  17. 김지선, 허위.과장광고의 규제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 3 : 29
  18. 석희태, 의료계약의 법적 성질과 내용, 월간고시 제21권 제3호, 법지사, 1994. 2 : 18-19
  19. 석희태, 의사의 설명의무, 고시연구 제290호, 고시연구사, 1998. 5 : 144
  20. 석희태, 의사의 설명의무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연세행정논총 제7집,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81. 2 : 343
  21. 양건, 헌법과 소비자보호, 공법연구 제10집, 한국공법연구, 1982 : 98-99
  22. 윤명선, 소비자의 권리, 월간고시, 법지사, 1993. 9 : 76
  23. 이부하, 공법체계에 있어서 소비자권리의 보장, 경제기술법연구 제1집 제2권, 관동대학교 사헌경제기술법연구소, 1999 : 106-109
  24. 이상돈.홍성수, 법사회학, 박영사, 2000 : 127
  25. 이성환, 소비자보호법의 개정방향, 공법학연구 제6권 제1호, 공법학연구, 2005. 2 : 314
  26. 이영규, 의료계약의 특질과 구조, 법학논총 제12집,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1995 : 2
  27. 이영환, 의료와 인권, 법학연구 제32권 제1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1990. 12 : 78-82
  28. 이준복, 소비자기본권 확립을 위한 헌법적 고찰, 세계헌법연구 제15권 제1호,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09 : 291-294
  29. 이창범, 소비자권리의 기본권성에 관한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제11호, 한국소비자보호원, 1993 : 94
  30. 전현희, 의료현장에서의 환자의 인권문제, 인권과정의 제371호, 대한변호사협회, 2007. 7 : 166
  31. 정극원, 헌법체계상 소비자권리의 보장, 공법연구 제31집 제3호, 한국공법학회, 2003 : 284-294
  32. 정미영, 의료분쟁조정법 제정 관련 동향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신설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동향 제9호, 한국소비자원, 2010. 2. 9 : 13
  33. 정영철 외, 국내 e-Health 발전에 따른 정책대응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 248-249
  34. 최병록, 우리나라 광고규제의 개선방안 -소비자보호측면에서-, 광고연구 제19호, 한국방송광고공사, 1993. 6 : 23
  35.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실 거래조사팀, '비급여 진료비용 등 고지' 시행 실태 및 소비자 활용도 조사, 한국소비자원, 2011. 7 : 7-8
  36. 한삼인, 설명의무론과 자기결정권의 법적 평가, 비교사법 제2권 제1호, 한국비교사법학회, 1995 : 260
  37. 한상범, 헌법상의 경제질서와 소비자보호의 제문제, 공법연구 제5집, 한국공법학회, 1977 : 76
  38. 홍성방, 한국헌법과 경제질서, 고시계 2003년 3월호. 고시계사, 2003. 2 : 15
  39. 홍성방, 헌법과 경제질서, 서강법학연구 제5권.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5 : 52
  40. 황만성, 의사와 환자간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적.제도적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5 : 37
  41. 헌재 1990. 09. 10. 선고 89헌마82.
  42. 헌재 1991. 06. 03. 선고 89헌마204.
  43. 헌재 1992. 04. 14. 선고 90헌마82.
  44. 헌재 1992. 12. 24. 선고 92헌가8.
  45. 헌재 1995. 07. 21. 선고 93헌가14.
  46. 헌재 1995. 07. 21. 선고 94헌마136.
  47. 헌재 1996. 10. 31. 선고 94헌가7.
  48. 헌재 1996. 11. 28. 선고 95헌바1.
  49. 헌재 1996. 12. 26. 선고 96헌가18.
  50. 헌재 1997. 01. 16. 선고 90헌마110.
  51. 헌재 1997. 04. 24. 선고 95헌바48.
  52. 헌재 1998. 07. 16. 선고 96헌마246.
  53. 헌재 2002. 10. 31. 선고 99헌바76, 2000헌마505(병합).
  54. 헌재 2002. 12. 18. 선고 2001헌마370.
  55. 헌재 2003. 07. 24. 선고 2001헌가25.
  56. 헌재 2004. 06. 24. 선고 2002헌가27.
  57. 헌재 2004. 08. 26. 선고 2003헌마457.
  58. 헌재 2007. 08. 30. 선고 2006헌마417.
  59. 헌재 2010. 03. 25. 선고 2009헌마170.
  60. 헌재 2010. 07. 29. 선고 2008헌바108.
  61. 대법원 1988. 12. 13. 선고 85다카1491 판결.
  62. 대법원 1992. 05. 12. 선고 91다23707 판결.
  63. 대법원 1994. 04. 15. 선고 93다60953 판결.
  64. 대법원 1995. 01. 20. 선고 94다3421 판결.
  65. 대법원 2002. 10. 25. 선고 2002다48443 판결.
  66. 대법원 2007. 05. 31. 선고 2005다5867 판결.
  67. 대법원 2009. 05. 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

Cited by

  1. Effects of a Colonoscopy based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vol.27, pp.2, 2015, https://doi.org/10.7475/kjan.2015.27.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