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s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Models and Estimation Method of Their Parameters for Solid Waste Landfills

폐기물매립지에서의 온실가스 발생량 예측 모델 및 변수 산정방법 개발

  • Received : 2012.08.26
  • Accepted : 2012.10.15
  • Published : 2012.11.15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greenhouse gas generation models and estimation method of their parameters for solid waste landfills. Two models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Modified Gompertz and Logistic models were employed to evaluate two parameters of a first-order decay model, methane generation potential ($L_0$) and methane generation rate constant (k). The parameters were determined by the statistical comparison of predicted gas generation rate data using the two models and actual landfill gas collection data. The values of r-square obtained from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wo data showed that one model by differentiating the Modified Gompetz was 0.92 and the other model by differentiating the Logistic was 0.94. From this result, the estimation methods showed that $L_0$ and k values can be determined by regression analysis if landfill gas collection data are available. Also, new models based on two models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Modified Gompertz and Logistic models were developed to predict greenhouse gas generation from solid waste landfills that actual landfill generation data could not be available. They showed better prediction than LandGEM model.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ratio of Qcs (LFG collection system) to Q (prediction value) was us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models. The new models showed higher accuracy than LandGEM model.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models developed in this research are suitable for the prediction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from solid waste landfills.

본 연구의 목적은 폐기물매립지에서의 온실가스 발생량 예측모델 및 모델에 적용된 변수들의 산정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실가스 발생예측 모델 중 1차 반응모델의 변수인 메탄잠재발생량과 메탄발생속도상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정 Gompertz 식과 Logistic 식을 미분한 2개의 식을 적용하였다. 변수들은 실제 폐기물매립지에서의 매립가스 발생량에 대한 실측값과 예측값과의 통계학적 비교를 통해 산정하였다. 매립가스 발생량에 대한 실측값과 수정 Gompertz 식 및 Logistic 식을 미분하여 나타낸 2개의 식을 이용한 매립가스 발생량 예측값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결정계수는 각각 0.92와 0.94로 나타나, 폐기물매립지에서의 매립가스 발생량에 대한 측정값이 있을 경우 회귀분석을 통해 변수를 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측값이 없는 폐기물매립지에서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정 Gompertz 식과 Logistic 식을 미분한 2개의 식을 기초로 하여 예측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 모델들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Qcs(실측값):Q(예측값)의 비에 대한 빈도분포를 평가한 결과 LandGEM 모델보다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들은 폐기물매립지에서의 온실가스 발생량 예측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욱 등(2008) 매립지 온실가스 현장 측정 및 연구, 연구보고서, 환경관리공단.
  2. 김혜진, 정새롬, 박진규, 이남훈(2008) Diauxic Growth를 고려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생분해도 평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제25권 제7호, pp. 652-658.
  3. 나제현, 배성진, 우진춘, 이동훈(2010) 폐기물 매립지의 메탄발생 속도상수(k) 산정 및 불확도 분석(사례 연구:국내 A매립지를 중심으로).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연구회발표논문집,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pp. 351-353.
  4. 박진규(2012) 폐기물매립지에서의 온실가스 예측 모델 및 변수 산정방법 개발, 박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5. 범봉수, 배제호, 조광명(2003) 적층매립시 전체매립층과 활성매립 층간의 적정 높이 비 결정, 대한환경공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제25권 제1호, pp. 39-48.
  6. 배원재, 김승도, 정주영(2009) 수도권매립지 매립가스 발생량 산정 및 예측에 대한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제26권 제6호, pp. 572-579.
  7. 서동천, 이동훈, 한현수, 유만식, 서창일, 김낙주, 이남훈, 김승도 (2001) 매립가스 발생량의 현장측정을 통한 메탄발생속도상수(k)의 평가. 한국폐기물학회지, 한국폐기물학회, 제18권 제7호, pp. 580-589.
  8. 송상훈, 김홍규, 박진규, 이남훈(2011) 폐기물매립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모델의 보정 및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제28권 제4호, pp. 370-377.
  9. 송종석, 김승도(2006) 매립지에서의 메탄발생속도상수 결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연구회발표논문집,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pp. 380-383.
  10.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녹색기술연구센터(2011) 수도권매립지통계연감, 통계보고서, 2011-11-017-10,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11. 신성호, 유병옥, 이준흥, 진병복, 윤완우, 백원석(2010) 현장측정을 통한 매립지 메탄배출량 산정 및 배출계수 개발.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연구회발표논문집,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pp. 377-379.
  12. 이남훈 등(2009) 매립가스 발생량 산정 및 CDM 사업연계방향 연구, 연구보고서, (주)건화 부설기술연구소.
  13. 전은정(2007) 폐기물매립지에서의 메탄 발생특성조사 및 발생량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14. 조한상, 김재영, 천승규, 배영신(2007) 폐기물 종류별 매립가스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제24권 제3호, pp. 226-233.
  15. 천승규(2010) 매립가스 일차분해 모델의 불확실성도 분석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제27권 제8호, pp. 726-732.
  16. 천승규 등(2011) 2010 수도권매립지 매립가스 발생량 현장 모니터링 및 발생특성 분석, 연구보고서, 2011-11-010-01,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17. Alexander, A. Burklin, C., and Singleton, A. (2005) Landfill Gas Emission Model (LandGEM) Version 3.02 User's Guide, Report, EPA-600/R-05/047, U.S.EPA, Washington, DC.
  18. Amini, H.R., Reinhart, D.R., and Mackie, K.R. (2012) Determination of first-order landfill gas modeling parameters and uncertainties, Waste Management, Vol. 32, No. 2, pp. 305-316. https://doi.org/10.1016/j.wasman.2011.09.021
  19. Cossu, R., Andreottola, G., and Muntoni, A. (1996) Modelling landfill gas production, Landfilling of Waste: Biogas, Christensen, T.H., Cossu, R. and Stegmann, R., E&FN SPON, London, pp. 237-268.
  20. Garg, A., Achari, G., and Joshi, R.C. (2006) A model to estimate the methane generation rate constant in sanitary landfills using fuzzy synthetic evaluation, Waste Management & Research, Vol. 24, No. 4, pp. 363-375. https://doi.org/10.1177/0734242X06065189
  21. 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Report.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Japan.
  22. Lay, J.J., Li, Y.Y. and Noike, T. (1998) Developments of bacterial population and methanogenic activity in a laboratory-scale landfill bioreactor, Water Research, Vol. 32, No. 12, pp. 3673-3679. https://doi.org/10.1016/S0043-1354(98)00137-7
  23. Machado, S.L., Carvalho, M.F., Gourc, J.P., Vilar, O.M. and Nascimento, J.C.F. (2009) Methane generation in tropical landfills: Simplified methods and field results, Waste Management, Vol. 29, No. 1, pp. 153-161. https://doi.org/10.1016/j.wasman.2008.02.017
  24. Scharff, H. and Jacobs, J. (2006) Applying guidance for methane emission estimation for landfills, Waste Management, Vol. 26, No. 4, pp. 417-429. https://doi.org/10.1016/j.wasman.2005.11.015

Cited by

  1.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Reduction Potential by Treatment Methods of Excavated Wastes from a Closed Landfill Site vol.22, pp.6, 2013, https://doi.org/10.7844/kirr.2013.22.6.3
  2. Methods for determining the methane generation potential and methane generation rate constant for the FOD model: a review vol.36, pp.3, 2018, https://doi.org/10.1177/0734242X17753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