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mpression of Construction Period by the Improvement of Trench Excavation for Slurry Wall Method

지하연속벽 시공 시 트렌치 굴착방법 개선을 통한 공기단축에 관한 연구: 현장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이영수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박형근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강규병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투고 : 2012.06.29
  • 심사 : 2012.07.23
  • 발행 : 2012.09.15

초록

As the excavation depths during excavation works in urban sites are getting deeper and bigger,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the improvement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excavation processes.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excavation method that can not only minimize the effect on the surrounding constructions, but als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excavation work. For this research, there have bee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f the bibliographic data about Slurry Wall Method, which is recognized around the world, and the analysis of the major problems in the existing ineffective construction step. These efforts led to the technical improvements. Accordingly, a new construction method applied with the new technical factors has been suggested, and it was possible to compare Slurry Wall Method with the construction method and analyze them on the base of the examples using the suggested method. This new method decreased the excavation period by 15 days. It took only 33days to finish the excavation work, as compared to 48 days that can be seen on the pre-modification schedule. Furthermore, the suggested method in this research is safer, more economically feasible, and better for the environment than Slurry Wall Method. It will contribute to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Slurry Wall Method in the end.

도심지의 굴착공사 시 굴착심도가 깊어지고 있어 굴착공정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도심지 굴착공사 시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면서, 주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굴착공법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국내 및 국외에서 다수 시공된 벽식 지하연속벽의 공법인 Slurry Wall 공법의 문헌자료를 통해 지하연속벽 시공의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기존 지하연속벽 공법의 트렌치 굴착 시 발생되는 비효율적인 시공단계의 주요한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술요소를 반영하여 개선 가능한 새로운 공법을 제시하였고, 제시된 굴착공법을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바탕으로 기존 굴착공법과의 공사기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공법을 현장에 적용한 결과, 기존예정공정표에 표시된 48일에서 15일 단축된 33일에 굴착공정을 마칠 수 있었다. 또한, 제안된 공법은 기존 지하연속벽 공법들에 비해 공기단축의 효과는 물론 경제성, 환경성 및 안정성 또한 뛰어난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지하연속벽 시공의 공기단축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규병, 박형근, 이영수(2011)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트렌치 굴착시 굴착방법 개선방안,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논문집, 대한토목학회.
  2. 강현정, 임홍철, 이강, 윤대중, 김상일(2006) Top-Down 공사의 공정관리 방법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 393.
  3. 곽광수, 김재수(2003) Slurry Wall 공법에 의해 발생하는 건설소음, 진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제25권 1호, pp. 79-85.
  4. 구봉근, 구본성(1985) Slurry Diaphragm Wall Method에 대한 연구,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건설기술논문집, 충북대학교, 제4권, pp. 1-13.
  5. 권기태(1983) Slurry Trench Cut off Wall 시공,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1권 제2호, pp. 45-49.
  6. 박상현, 이강, 최명석, 강현정, 임홍철(2006) 지하공사 사례를 기반으로 한 터파기 공법 선정프로세스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7권 제1호, pp. 101-104.
  7. 반경오, 황선경, 윤현도, 정수영(2002) 슬러리월 공법의 시공상 문제점 및 대책방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대한건축학회, pp. 467-470.
  8. 윤해동, 이한진, 이병윤, 김재수(2001) Slurry Wall 공법에 의한 작업시 발생하는 건설소음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대한건축학회, pp. 525-528.
  9. 이용수, 정하익(1997) 오염지역 차폐용 슬러리월 재료와 침출수의 반응 특성,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13권 제2호, pp. 9-16.
  10. 이동희(2001) 탑다운 공법시공, 기문당.
  11. 토목공법연구회(2003) 톱다운공법-구조와 시공, 도서출판 일광.
  12. 한국지반공학회(2002) 굴착 및 흙막이 공법.
  13. Steven R Day, Stephanie F O'Hannesin, and Lloyd Marsden (1999) Geotechnical techniques for the construction of reactive barrier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67, Issue 3, pp. 258- 297.